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 김용규
  • 조회 수 1115
  • 댓글 수 0
  • 추천 수 0
2017년 1월 6일 00시 37분 등록

 

나는 요즘 자주 내가 좋아하는 책 중용,中庸의 첫 구절을 끌어와 강연을 합니다. ‘하늘이 모든 존재에게 제 고유의 성()을 내리는 바, 저마다 자신의 을 따라서 살면 그것이 곧 도(), 그 도를 닦는 작업이 가르침과 배움의 과정이라는 구절입니다. 거짓된 삶을 거부하고 참된 삶, 주인으로 사는 삶을 추구하는 인문주의자에게 이것은 언제 떠올려 보아도 보석 같은 구절이 아닐 수 없습니다.

 

내가 깨달은 바로 위 구절에 있어 ()’은 이런 것입니다. 나무에게는 나무의 성, 물에게는 물의 성, 바람에게는 바람의 성, 인간에게는 인간만의 고유한 성이 부여되었으니 물이 물의 성을 따르고, 나무가 나무의 성을 따르며 바람은 바람의 성을 따라 제 길을 운행하듯, 인간도 인간의 성을 따라서 살면 그것이 곧 인간의 도()가 된다는 것입니다. 나무를 더 자세히 논해보면 버드나무에게는 버드나무의 성이 있고 갈매나무에게는 갈매나무의 성이 있으며 주목에게는 주목의 성이 주어져 있으니 버드나무가 버드나무의 성을 따라 살고 갈매나무는 갈매나무의 성을, 주목은 주목의 성을 따라서 살면 그것이 곧 도라는 것이지요. 냉이는 열린 벌판에 태어나 살아가는 성으로 존재하고 산삼은 깊고 그윽한 숲에 태어나 제 크기와 빛깔과 향기로 살아가는 성을 가졌으니 냉이는 냉이로, 산삼은 산삼으로 제 삶을 살아가면 그것이 곧 도라는 것으로 해석해도 될 것입니다. 확장하면 그런 개개의 성을 지닌 존재들이 저의 성을 추구하며 사는 공동체가 바로 도를 이룬 공동체가 될 것입니다. 그것이 곧 민주사회의 전형일 테고요.

 

최근 누군가가 내게 이렇게 고백하고 또한 물었습니다. “당신의 짧은 강의를 듣고 또한 당신의 책을 읽고 또 대화하며 나는 조금씩 나를 알아가게 되었습니다. 지난번에 당신이 권한 과거 여행을 길고 진지하게 해본 뒤, 나는 지금 내 모습이 진짜 내가 아닌 것을 알았습니다. 지금의 내 모습은 본래의 나, 다시 말해 당신이 말해준 그 본래의 성()이 아니라 왜곡된 성이란 것을 알아채게 되었어요. 지금 내 모습은 오랜 시간 내 삶의 모퉁이마다에서 만난 어떤 두려움으로부터 나를 지키기 위해 뒤집어쓴 분가루이거나 갑옷의 결과로서의 나인 것을 알게 된 것입니다. 과거여행을 통해 더 늦기 전에 스스로 이것을 알아챘다는 것이 나는 참 좋습니다. 미약하긴 하지만 이 각성(覺性)을 통해 나 아닌 내가 내 일상을 지배하는 것을 어느 부분에서 조금씩 알아채고 멈춰 설 수 있고 또 방향을 바로잡는 경험을 해보니 진짜로 좋습니다. 그래서 결심했습니다. 더는 가짜에 의존해서, 분가루를 뒤집어쓰거나 갑옷의 두께에 의탁해서 살아가고 싶지가 않습니다. 그런데 이게 참 어렵습니다. 자꾸 습관처럼 분가루를 뒤집어쓰려 하고 얼른 갑옷을 입으려 하는 나를 느끼게 됩니다. 그러고 나면 신경질이 날 정도로 내가 한심합니다. 어쩌면 이것을 극복하고 진짜의 나로 살 수 있습니까?”

 

나는 그의 귀한 질문에 이런 은유를 써서 대답했습니다. “우리는 본래 바늘이었는데 어찌하다보니 못이 돼버린 존재들이 아닐까 싶습니다. 바늘로는 자신을 지킬 수 없을까봐 녹을 뒤집어쓰고 다시 도금용 원료를 덧칠해가는 것을 반복하다가 어느새 못처럼 뚱뚱한 몸이 돼버린 게 아닐까 싶습니다. 못이 된 바늘! 바늘은 어디에 있을까요? 달리말해 따르기만 하면 도가 된다고 하는 그 본래의 성! 그 성은 어디에 있을까요? 우리는 어떻게 그 잃어버린 바늘과 본래의 성을 찾을 수 있을까요? 못을 바늘로 되돌리는 방법은 의외로 간단합니다. 계속 갈고 닦는 것이지요. 숫돌에 몇 번 문지른다고 못이 막 바로 바늘로 되돌아가겠습니까?”

 

새해 첫 편지입니다. 올 한 해 잃어버린 바늘을 찾아, 도에 가까워지는 한 해 이루시기를 기원합니다.

 

 

______________________

주인으로 살기 위한 공부, 여우숲의 인문학 공부모임! 2017년 첫 공부모임이 이번 주 토요일 여우숲 숲학교 오래된미래에서 열립니다.

이번에는 우리를 속이며 지배하고 있는 경제에 관한 공부입니다. <민중의 소리> 이완배 기자를 초대했습니다. 그의 진솔하고 명쾌한 강연과 토론에 그대를 초대합니다. 여우숲 홈페이지, ‘여우숲 소식게시판의 공지를 참조하여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_______________________

2017년 변화경영연구소 1차 출간 기념회에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변경연 홈페이지 공지사항 게시판을 참조하여 참여하시기 바랍니다.

 

_______________________

변화경영연구소 꿈벗 42기 참여자를 모집합니다. 변경연 홈페이지 공지사항 게시판을 참조하여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IP *.120.7.31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116 그냥 행복한것과 책을 써서 행복한것 한 명석 2016.06.09 1135
3115 일흔한번째 편지 - 1인 기업가 재키의 초심 재키제동 2016.09.23 1136
3114 할 수 있었다는 말보다 더 가슴아픈 말은 없다 file 한 명석 2016.10.05 1136
3113 [알로하의 두번째 편지] 벨리로의 초대, 나를 기다리는 선물 file 알로하 2020.05.10 1136
3112 [알로하의 맛있는 편지] 황제들이 사랑한 치즈 2 file 알로하 2019.07.28 1137
3111 [변화경영연구소] [월요편지 43] 넌 어떻게 영어 공부해? 습관의 완성 2021.01.17 1137
3110 [월요편지 2] 습관 Data가 쌓이면 알게되는 놀라운 사실들 file [2] 습관의 완성 2020.03.29 1138
3109 [화요편지] 그녀가 다시 아이를 안을 수 있게 된 이유 아난다 2021.02.23 1138
3108 심장의 두근거림을 듣는 독서 연지원 2016.10.31 1139
3107 [화요편지] 조바심의 자격 [4] 아난다 2021.12.14 1139
3106 [라이프충전소] 외국어를 1년간 매일 하면 얼마나 늘까? 김글리 2023.02.24 1139
3105 여성 리포트 - 여성 리더의 실종 [1] 書元 2017.02.18 1140
3104 [월요편지 11] 육아휴직을 앞 둔 직장 동료의 수줍은 고백 file 습관의 완성 2020.06.07 1140
3103 [알로하의 맛있는 편지] 한 여름에 즐기는 '우리나라' 와인 file 알로하 2019.08.11 1141
3102 [화요편지]소리없는 중독 file 아난다 2020.06.08 1141
3101 현실을 구름 위까지 끌어올리는 법 file 한 명석 2017.01.18 1142
3100 이제는, 생긴 대로 살아야 [4] 장재용 2020.03.24 1142
3099 월급쟁이 무기력 장재용 2020.09.22 1142
3098 ‘월급쟁이’ 내려놓고 ‘산’으로 [1] 장재용 2020.10.06 1142
3097 아흔여덟번째 편지 - 1인 기업가 재키의 평가에 대하여 재키제동 2017.04.14 11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