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2017년 2월 7일 07시 02분 등록


'1코노미(1conomy)'와 얼로너(Aloner)


작년 가을 한 케이블 방송에서 <혼술남녀>란 드라마를 방영한 적이 있습니다. 거의 드라마를 보진 않지만(하지만 최근 <도깨비>만큼은 홀딱 빠져서 봤습니다.^^) 제목이 특이해서 기억에 남았는데요, 알아보니 ‘혼자서 술을 마시는 남녀라는 의미’라 하더군요. 혼자서 술을 마신다? 왜 혼자 술을 마시지? 그리고 ‘혼술’이란 것이 과연 드라마의 주제가 될 수 있을까 하는 의문이 들더군요.


그 즈음부터 각종 언론에서 ‘혼’이란 접두사를 붙인 각종 단어들이 사용되기 시작했습니다. 대표적인 것이 ‘혼밥(홀로 밥먹기)’이었고요. 여기에 더해 혼술, 혼영(홀로 영화보기), 혼행(홀로 여행하기) 들의 단어들이 등장했습니다. 아, 혼곡(曲)도 있더군요. 이건 홀로 노래방 가서 (선곡한 후) 노래부르는 것이랍니다. 이런 신조어들도 특이했지만, 혼밥의 일정 수준에 오른 사람을 ‘프로 혼밥러’라고 부르는 것에는 뭐랄까요, 젊은 친구들의 조어능력 하나만큼은 참 대단하단 생각이 들더군요.


매년 소비트렌드를 예측하여 발표하는 <트렌드 코리아 2017>에서는 이러한 나홀로 ‘혼’족의 행동들을 새로운 키워드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먼저 이들의 소비행태를 ‘1코노미’라 부르고 있는데, ‘1코노미’란 ‘1인’과 ‘이코노미(Economy)’라는 단어를 조합한 것으로, 소위 ‘1인 경제’라 할 수 있겠죠. 또한 이렇게 혼자인 삶을 즐기는 사람들을 ‘얼로너(aloner)'로 명명하고 있는데, 이들은 최근 소비자를 상대하는 기업들의 뜨거운 마케팅 타겟이 되고 있다 하네요. 왜냐하면 기성세대에 비해 취미나 여가생활 등 자신이 원하는 가치에 과감히 지갑을 여는 파워 컨슈머의 위치를 차지하고 있기 때문이랍니다.



얼로너의 1~3단계


사실 이러한 혼밥, 혼술은 우리나라가 아닌, 옆나라 일본에서 자주 보던 풍경이라 할 수 있는데요, 일본에만 존재하는 특유의 개인화가 이러한 전형적인 일본 문화를 만들었다 할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일본 사람들은 혼자서 밥을 먹거나 술을 먹는데 전혀 거리낌이 없을 뿐 아니라 눈치 또한 보지 않고요. 하지만 한국은 혼자서 하는 것에 대해 웬지 부끄러움을 느끼거나 남의 눈치를 보는 경향이 있었습니다. 왜냐하면 한국의 정서는 관계에 밑바탕을 두고 만들어져 왔기 때문이죠. 그래서 특별한 경우가 아니라면 혼밥이나 혼술이 드물었던 거고요.


자, 그렇다면 왜 지금은 이렇듯 ‘혼’이 성행하는 걸까요? 단순히 일본처럼 개인화가 유행하며 일본의 문화를 쫓아가고 있는 걸까요? 어떻게 보면 일정 부분 그럴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왜냐하면 <트렌드 코리아 2017>에서 제시하고 있는 얼로너의 1~3단계를 보면 대충 알 수 있습니다. 일단 한번 보시죠.


* 얼로너 1단계 : 혼밥, 혼술은 기본 - 편의점 명절 도시락과 1인 식당(특히 1인 고기집)의 인기

* 얼로너 2단계 : 당당히 혼영, 혼행, 혼곡(曲) - 스테이케이션(Staycation), 나홀로 해외여행


참고로 ‘스테이케이션이’란 쾌적한 환경(집과 같은)에서 움직임을 최소화하며 정적인 취미생활, 즉 독서, TV시청(영화나 드라마 몰아보기), 게임 등을 즐기는 라이프 스타일을 의미한다네요. 얼로너 3단계는 뭘까요? 바로 이겁니다.


* 얼로너 3단계 : 나 홀로 덕(후)질 - 덕업일치(덕질과 직업의 일치), 성덕(성공한 덕후)


‘덕후(또는 오덕)’란 단어에 대해 아시나요? ‘덕후’란 일본어 오타쿠(御宅)를 한국식으로 발음한 ‘오덕후’의 줄임말로써, 원래 집이나 댁(당신의 높임말)이라는 뜻이지만 주로 집 안에만 틀어박혀 취미 생활을 하는, 사회성이 부족한 사람이라는 의미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또한 한 분야에 몰두해 마니아 이상의 열정과 흥미를 가지고 있는 사람이라는 긍정적인 의미로도 쓰이고 있는데, 최근에는 오타쿠가 폐쇄적 의미가 강한 반면에 ‘덕후’는 보다 긍정적이며 전문적인 의미로 쓰이고 있습니다.


이처럼 우리나라에도 점차 혼밥, 혼술은 물론이고 혼영, 혼행이 늘어나고 있으며, 더 나아가 얼로너의 최고봉이라 할 수 있는 ‘덕후’까지 증가하고 있는 추세라 할 수 있습니다. 덕후들은 덕질을 통해 덕업일치를 이루기 바라며, 최종적으로는 성덕(성공한 덕후)이 되길 원합니다. 실제로 최근에 그런 사례들(뷰티 유튜버 씬님, 윤짜미, 포니 등)이 심심치 않게 등장하고 있고요. 이렇게 본다면 오타쿠라고 하는 일본 문화가 일정부분 한국에 영향을 주고 있음을 부인하긴 어려울 듯 싶습니다.



한 손에는 젓가락, 한 손에는 스마트폰을


트렌드 리포트의 분석에 의하면 얼로너들은 어쩔 수 없이 군중 속에 있다 하더라도 정녕 혼자이고 싶은 사람들, 즉 타인과의 관계를 멀리 하고 스스로 ‘자발적인 고립’을 선택한 사람들이라고 합니다. 왜 이들은 혼밥, 혼술을 시작하게 되었을까요? 사회학자들은 현대의 경쟁관계가 갈수록 치열해짐에 따라, 경쟁에서 뒤떨어지면 도태되고 말 것이라는 강박관념이 급기야 이 모든 것들로부터 벗어나고 싶다는 강렬한 욕구를 만들었다고 말합니다. 어떻게든 자기 만의 독립된 시간을 가지고 싶다는 욕구의 표출이 ‘혼’ 문화를 가져온 것이죠.


‘관태기’란 신조어가 있습니다. 이는 타인과의 ‘관계맺음’에 권태로움을 느낀다는 의미로, 최근 젊은 세대들이 SNS상에서 자주 쓰는 단어입니다. 얼로너들은 어찌보면 ‘관태기’를 온몸으로 느끼는 사람들이라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아이러니한 건 자발적으로 혼자가 되었지만, 그럼에도 타인과의 관계맺음을 여전히 끊을 수는 없다는 겁니다. 그래서 이들은 SNS에 더 열중합니다. ‘좋아요’와 ‘팔로워’의 수치가 자신의 인간관계를 대변해 준다고 생각하죠. 한 손에는 젓가락을 들고, 다른 한 손으로는 스마트폰으로 SNS 소통하고 있는 이 모습이 어찌보면 얼로너들을 상징하는 모습이라고도 할 수 있을 것입니다.


-------------------------------------


혼밥, 혼술, 혼영, 혼행, 혼곡과 같은 ‘혼’ 문화가 더 심화될지 아니면 어느 정도 유행하다 사라질지 명확하게 판단하긴 어렵습니다. 다만, 유추해 볼 수 있는 것은 앞으로도 무한경쟁의 사회가 계속적으로 이어진다면, 얼로너들은 더 많아지게 될 것이며, 더 나아가 각종 ‘프로 혼○러’들이 자리잡게 될 것입니다. 한번 생각해보죠. 혼밥, 혼술이 주류인 사회, 어떠신가요? 제가 보기에는 그다지 좋아 보이진 않은데 말이죠...


마지막으로 드라마 <혼술남녀>에 등장하는 대사 일부분을 소개해 드립니다. 잘 음미해 보시기 바랍니다. 혼술의 진짜 의미가 어떤 것인지 말이죠.


“내가 혼술을 하는 이유는 힘든 일상을 꿋꿋이 버티기 위해서다. 누군가와 잔을 나누기에도 버거운 하루, 쉽게 인정하기 힘든 현실을 다독이며 위로하는 주문과도 같은 것. 그래서 나는 오늘도 이렇게 혼술을 한다.”




차칸양(bang_1999@naver.com) 올림





***** 구본형변화경영연구소 공지 ***** 


1. 2017년 변화경영연구소 11기 연구원 모집 안내

“변화의 핵심은 자신을 바꾸는 것이 아니라 진정한 자신을 찾아가는 여정이다.” 생전 구본형 선생님은 사람들의 변화를 돕기 위해 연구원 제도와 꿈벗이라는 2가지 프로그램을 진행하였습니다. 그중 하나인 연구원 제도가 2년 만에 부활됩니다. 10기에서 멈춰졌던 발걸음을 11기로 다시 힘차게 내딛을 예정입니다. 1년의 도전 자체가 매우 힘들고 어려운 과정이지만, 이 과정은 사람을 진정으로 변화시켜 줍니다. 도전함으로써 직접 그 변화를 맛보시기 바랍니다. 

http://www.bhgoo.com/2011/815782


2. 취직보다 좋은 창직, 창직 워크숍(2월 12일 예정) 참가 안내

변화경영연구소 5기 연구원이자 AL문화기획의 수희향 대표가 지난 1월에 이어 2월 창직 워크숍에 참가할 분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1인 지식기업가의 길을 가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먼저 자신의 기질을 파악하고, 기질에 맞는 필살기를 찾아야 하며, 최소 경비와 더불어 자신 만의 컨텐츠를 개발해야 한다고 합니다. 창직 워크숍에서는 각 개인에 맞는 창직 로드맵까지 그려준다고 하니 관심있으신 분들의 많은 참가 바랍니다. 

http://www.bhgoo.com/2011/814560


3. 홍승완, 박승오 연구원의 나침반 프로그램 안내

변화경영연구소 1,3기 연구원이자 『위대한 멈춤』의 공저자이기도 한 홍승완, 박승오 연구원의 나침반 프로그램이 2월 18일, 19일 양일에 걸쳐 진행될 예정됩니다. ‘나침반, 춤추듯 나를 찾아가는 여행’이란 부제가 알려주듯, 자신의 인생에 대해 그리고 자신의 진짜 직업을 찾고자 하는 사람이라면 필히 관심을 가져볼만한 주제일 것입니다. 많은 관심과 참여 바랍니다.

http://www.bhgoo.com/2011/815954


4. [출간소식] 『몸여인』 오미경 지음

변화경영연구소 9기 오미경 연구원의 첫 책 『몸여인(몸으로 여행하는 인문학』이 출간되었습니다. 연구원 시절부터 끊임없이 몸과 욕망(!)에 관해 탐구를 거듭하던 그녀가 드디어 몸에 관한 책을 출간했네요. 그녀의 포기를 모르는 도전의식에 뜨거운 박수를 보냅니다. 이 책은 십대들을 위한 동의보감 이야기지만, 성인들 또한 많은 도움이 된다하니 먼저 읽으신 후 자녀들에게도 꼭 읽혀주시기 바랍니다.

http://www.bhgoo.com/2011/815406

IP *.122.139.253

프로필 이미지
2017.02.07 10:29:39 *.45.30.238

어쩜 혼술을 하는 이유중 하나는 진정으로 마음을 나눌수있는 상대가 없기때문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듭니다.

 

글 감사히 잘읽었습니다.

프로필 이미지
2017.02.09 06:39:53 *.122.139.253

맞습니다.

같이 마음을 나눌 친구가 있다면, 그리고 그 친구가 더 없이 편하다면 굳이 혼술을 할 이유가 없겠지요.

혼술은 사회가 만들어 낸, 다소 우울한 사회현상인 듯 싶습니다.

프로필 이미지
2017.02.07 12:34:02 *.8.191.103

오늘 신문기사 중 2012학번 대학생들이 올해 취업문에 나오는데 만만치 않다는 기사가 오버랩 됩니다.

대학입학 인원수 최대, 근래 최악의 채용수준이 겹치면서 더 많은 혼술족들이 늘어나겠구나 하는 생각이 들게 됩니다.

언제부턴가 회사 내에서도 혼자만의 시간을 즐기는 친구들이 많아 졌습니다. 특히 신입사원들의 경우 상사들과 부대끼면서(?)

업무도 배우고 처세의 노하우(?)도 배우던 제 신입사원 시절과는 많이 다르다는 느낌입니다.

시대가 그렇게 만든 거겠지만 인정하기 힘든 현실입니다.

술 한잔 기울이며 고민을 털어놓을 수 있는 선배가 못 된 제 부족함도 있겠죠...ㅠㅠ



프로필 이미지
2017.02.07 17:57:16 *.45.30.238

저역시 마음을 터놓을수있는 선배는 못되는것같습니다. 그러하기에는 먼저 다가갈수있는 용기가 필요한데 말입니다.

프로필 이미지
2017.02.09 06:41:55 *.122.139.253

선배가 선배다워야 선배일 수 있겠지요.

솔직히 그런 선배를 같은 직장에서 만나기도 힘들고요.

그렇다면 우리라도 제대로 된 선배 노릇을 해야하는데, 아직 부족한게 많고요.

어렵네요. 그래서 혼술을 하나 봅니다... ㅠㅠ

프로필 이미지
2017.02.11 13:42:57 *.120.85.98

음... 혼술문화, 한편으로 짠하네요.

힘겨운 일상을 버티는 방법이라니...

프로필 이미지
2017.02.14 06:57:56 *.122.139.253

그렇지? 우린 혼술말고 짝술함 해야지?ㅋ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656 일상에 스민 문학 - 왕의 연설 file [14] 정재엽 2017.03.01 1449
2655 이제 막 사회에 진출하는 너를 위한 경제조언 file [9] 차칸양(양재우) 2017.02.28 1236
2654 우리가 '흙수저'라고? - 두번째 이야기 [4] 제산 2017.02.26 1410
2653 우리가 ‘흙수저’라고? - 첫번째 이야기 [6] 제산 2017.02.26 1039
2652 내가 알고 있는 건 모두 틀렸다 [4] -창- 2017.02.25 1155
2651 아흔한번째 편지 - 1인 기업가 재키의 졸업식 file [8] 재키제동 2017.02.24 1164
2650 감기랑 창업자의 조건 [4] 이철민 2017.02.23 1149
2649 제주에 집을 얻어 <글쓰기여행 in Jeju>공저를 진행합니다 file [6] 한 명석 2017.02.22 1259
2648 당신은 유튜브 세대인가요? [4] 차칸양(양재우) 2017.02.21 1366
2647 한바탕 깨지기 위해 읽는다 [1] 옹박 2017.02.20 1120
2646 여성 리포트 - 여성 리더의 실종 [1] 書元 2017.02.18 1145
2645 아흔번째 편지 - 1인 기업가 재키의 1미터만 더 [2] 재키제동 2017.02.17 1290
2644 운명처럼, 창업을 예감한다면 [2] 이철민 2017.02.16 1146
2643 제주에서 일년살기 집 구하기 5일째 file 한 명석 2017.02.15 4876
2642 디톡스 프로그램 ‘더비움’ 좌충우돌 수행기 file [2] 차칸양(양재우) 2017.02.14 2005
2641 평온하신가요? [10] -창- 2017.02.11 1136
2640 여든아홉번째 편지 - 1인 기업가 재키의 커리어 로드맵 [6] 재키제동 2017.02.10 1440
2639 '창업준비' 중이라고...... [4] 이철민 2017.02.09 1136
2638 두 달 만에 청소를 하다가 [2] 한 명석 2017.02.08 1140
» 내가 혼술을 하는 이유는, [7] 차칸양(양재우) 2017.02.07 15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