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2017년 2월 28일 07시 20분 등록
college-graduation.png


동료 연구원의 아들을 만나다

얼마 전 구본형변화경영연구소의 동료 연구원으로부터 전화가 한통 걸려 왔습니다. 일상적인 안부에 이어 부탁 하나만 하자네요. 들어보니 첫째 아들이 이제 막 사회생활을 시작할 참인데, 아무래도 경제에 대해 잘 모르니 재무관리나 설계, 이런 부분에 대해 조언을 해줄 수 있냐며 조심스럽게 물어보네요. 흔쾌히 오케이 했죠. 전 차칸! 양이니까요.^^

그렇게 평일 점심 때 만남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원래는 동료 연구원도 같이 만나기로 했는데, 급한 일이 생겨 그 분의 아들과 저, 둘이서만 만나게 되었죠. 29살의 잘 생긴 청년이더군요. 특히 웃는 모습이 맑고 순수해 보여 더 좋았습니다. 이제 막 의학전문대학원을 졸업하고 인턴 생활을 시작할 참이라 하네요. 오~ 그러고보니 의사 선생님에게 경제상담을 하게 된 거네요. 영광이 아닐 수 없었죠.

이야기를 조금 나누다보니 대출금이 상당히 많았습니다. 무려 8,000만원이나 되더군요. 대학과 대학원 학비를 학자금 대출로 해결하다보니 대출규모가 커질 수 밖에 없었고, 그러다보니 앞으로 대출금은 어떻게 갚아 나가야 할지 그리고 투자는 어떻게 해야할 지에 대해 고민이 많아 이렇듯 재무상담을 요청하게 되었다 합니다. 참 기특하죠?


재테크보다는 경제라는 큰 숲을 바라볼 수 있어야 한다

본격적인 이야기를 꺼내기에 앞서 잘 찾아 왔다고 했습니다. 제가 바로 사회 초년생 전문이라 했죠. 웃더군요. 웃는 타이밍이 아닌데 말이죠. 뭐 그래도 웃으니까 좋더군요. 같이 웃었습니다.^^ 일단 짧은 경제 강의를 먼저 시작했습니다. 대충 아래와 같은 순서로 이야기를 진행했죠. 

1. 문명의 시작 - 농업이 인류에게 차지하는 중요성
2. 중세 - 일의 의미, 화폐 이야기
3. 근대 자본주의 – 산업혁명, 애덤 스미스(국부론), 칼 마르크스(자본론)
4. 돈의 흐름, 경기의 변화, 정부의 역할, 기업의 역할, 개인의 위치
5. 자본주의하에서 개인의 경제관리법

시작을 문명에 대한 이야기부터 꺼낸 이유는, 경제라고 하는 큰 숲을 보지 못한 채 단순히 재무, 재테크, 투자에만 빠져들게 되면 돈을 잃게 되기도 쉽지만, 설사 번다 할지라도 금새 무너질 수 있기 때문이며, 이럴 경우 다시 일어서기가 아주 어렵기 때문입니다. 즉 경제에 대한 공부는 무엇보다도 먼저, 자신의 경제관 또는 경제철학을 만들어 가는 것부터 시작해야만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부익부빈익빈의 자본주의 사회에서 갈 길을 잃고 방황할 여지가 너무나 크며, 더 나아가 돈만 바라보며 사는 사람, 돈에 의해 자신의 삶이 좌우될 수 있는 불행한 사람으로 살게 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죠.


사회초년생이 학자금 대출을 가장 빨리 갚아나가는 방법

50분에 이르는 짧고 숨가쁜(?) 강의를 마치고, 본격적인 고민에 대해 이야기를 나눴습니다. 아무래도 8,000만원에 달하는 대출금을 어떻게 갚아나갈 것이냐가 가장 중요한 주제였죠. 먼저 인턴을 하게 되면 얼마정도 받는지 물어봤습니다. 세금떼고 월 300만원 정도 될 거라 하더군요. 월 지출은 얼마 정도 될지도 물었습니다. 자신이 계산을 좀 해보았는데, 아껴쓸 경우 8,000만원에 대한 이자와 월세, 각종 비용으로 약 130만원 정도는 들어갈 것 같다 하네요. 그렇다면 지출을 제외하고 170만원(수입의 57% 수준) 정도는 저축이 가능하단 말이겠죠. 연간으로 따지면 약 2,000만원 정도, 흠... 나쁘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그렇다고 아주 만족스러운 수준도 아닙니다. 왜냐하면 그가 아직 독신이기 때문이며, 갚아야 할 대출의 규모가 너무 크기 때문이죠.

그 친구에게 130만원의 지출을 다시 조절해 보라고 했습니다. 조금 더 아낄 수 있는 부분이 있는지 찾아내어 줄여보라 했습니다. 만약 월 200만원(수입의 67% 수준)까지 저축할 수 있다면, 그리고 이 돈으로 대출을 갚아나간다면, 약 3년이면 8.000만원이란 거대한 빚을 다 청산할 수 있게 될 거라 말해 주었습니다. 그 얘기를 듣자 얼굴이 환해지더군요. 어떻게 대출을 갚아나가야 할지 막막했었는데, 3년이면 다 갚을 수 있다고 하니 앞으로 어떻게 살아가야 할지에 대한 방향이 잡히는 것 같다네요. 그러면서 한가지 질문을 합니다. 그렇다면 투자는 어떻게 해야 하냐고요. 그건 지금 고민하지 말라 했습니다. 무조건 대출부터 갚으라 했습니다. 빚이란 자신의 발목을 옥죄는 족쇄와 같아, 이것을 먼저 해결하지 않으면 결코 경제적으로 자유로워질 수 없기 때문이라 설명해 주었습니다.

그리고 다시한번 당부했습니다. 돈을 모으기 위해 중요한 것은 투자가 아니라, 자신의 수입과 지출을 어떻게 관리하느냐에 달려있다고요. 그러기 위해서는 먼저 지출을 어느 정도에서 묶어 놓을 수 있느냐가 제일 중요하다고 말이죠. 지출을 잘 조절할 경우 돈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저절로 모이게 되어 있습니다. 물론 재테크를 잘할 경우 더 빨리 자산을 증식시킬 수 있을 겁니다. 하지만 굳이 그런 리스크를 안지 않더라도 단순히 지출만 잘 조절해도 자산은 충분히 빠르게(생각보다 훨씬 빠릅니다) 모이게 되어 있습니다.

-------------------------------------------

그 친구를 보내고 꽤나 뿌듯했습니다. 저렇게 자신의 경제상황에 대해 고민하고, 전문가(?)의 조언까지 잘 받아들여 실행하고자 하는 친구라면 앞으로 충분히, 아니 그 이상으로 잘 살 것이란 생각이 들었습니다. 더불어 약간의 사심(?)이 들기도 했습니다. 나중에 저 아플 때 한번쯤은 봐달라고 해도 되겠지, 하는.^^



차칸양(bang_1999@naver.com)



***** 구본형변화경영연구소 공지 ***** 

1. 2017년 변화경영연구소 11기 연구원 모집 안내
“변화의 핵심은 자신을 바꾸는 것이 아니라 진정한 자신을 찾아가는 여정이다.” 살아생전 구본형 선생님은 사람들의 변화를 돕기 위해 연구원 제도와 꿈벗이라는 2가지 프로그램을 진행하였습니다. 그중 하나인 연구원 제도가 2년 만에 부활됩니다. 10기에서 멈춰졌던 발걸음을 11기로 다시 힘차게 내딛을 예정입니다. 1년의 도전 자체가 매우 힘들고 어려운 과정이지만, 이 과정은 사람을 진정으로 변화시켜 줍니다. 도전함으로써 직접 그 변화를 맛보시기 바랍니다. 문은 열려져 있습니다.
http://www.bhgoo.com/2011/815782

2. 제주에 집을 얻어 <글쓰기 여행 in Jeju> 공저자 모집 안내
변화경영연구소 2기 한명석 연구원이 글쓰기와 여행을 사랑하는 분, 여행을 할 만큼 해 왔는데 남는 것이 없다 싶은 분, 이게 전부인가 싶을 때 딱 한 스푼의 모험을 더 하고 싶은 분들을 위하여 단순 글쓰기 여행이 아닌 제주도에 집을 얻어 글을 쓰는 <글쓰기 여행 in Jeju>를 기획하고, 공저자를 모집하고 있습니다. 제주를 공부하고, 나만의 제주를 발굴하며, 제주에 대해 글을 쓰고, 마침내 한 권의 공저로 결실을 맺고자 하는 <글쓰기 여행 in Jeuj>에 많은 신청 바랍니다.
http://www.bhgoo.com/2011/817007

3. <1인기업과의 만남> 토크콘서트 신청 안내
변화경영연구소 회원이자 1인기업 <사람과 직업 연구소> 대표, 커리어 컨설턴트로 활동하고 있는 정소영 소장이 1인기업가를 꿈꾸는 사람들을 위한 토크콘서트를 계획하고 있습니다. 매월 자신만의 분야에서 '스스로 벌어 먹고 살기'를 실천하고 있는 1인기업가를 한 분씩 초청, '그들이 어떻게 1인 기업이 되고, 또 어떻게 자신만의 분야에서 살아남았는지'를 듣는 자리라 하니 관심있으신 분들의 많은 신청 바랍니다.
http://www.bhgoo.com/2011/817139

4. <출간소식> 『운을 경영하라』 수희향 지음
변화경영연구소 5기 연구원이자 AL문화기획의 수희향 대표가 자신의 5번째 책 『운을 경영하라』를 출간했습니다. 수희향 대표는 이 책에서 지금까지 외부에서 주입된 내 안의 낡은 운명을 타파하고 더는 내 인생을 운명에 맡기지 않고 내 힘으로 자기 개성화를 이루어 운명을 전환하라 강조하고 있습니다. 에니어그램의 9가지 유형을 활용한 운명전환 성공법, 관심있는 분들의 일독을 권합니다.
http://www.bhgoo.com/2011/817166


IP *.122.139.253

프로필 이미지
2017.02.28 09:49:32 *.8.191.103

훌륭한 재능기부를 하신 것 같습니다.

한 편으로는 미래를 위한 투자가 어머어마하다는 부담감에 걱정이 앞서기도 합니다.

우리 아이들도 정상적인(?) 사회인으로 성장시키려면 부모의 역할이 정말 중요하다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자주 언급하셨던 "경제적 자유인"이 되기 위한 방법들 다시 한 번 읽어보고 마음을 다잡아야 할 것 같습니다.


즐거운 하루 보내세요...^^

프로필 이미지
2017.03.02 11:33:38 *.122.139.253

항상 좋은 댓글 감사드립니다.

재능기부까지는 아닌 듯 싶고요, 재능기부로 연결시키려면 조금 더 내공을 쌓아야 할 듯 싶습니다.

그래서 보다 더 많은 젊은이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프로필 이미지
2017.02.28 13:06:20 *.45.30.238

자신의 경제관, 경제철학을 만들어가는것부터 시작해야한다는 말씀 저역시 마음에 새기겠습니다.

 

글 감사히 잘읽었습니다.

프로필 이미지
2017.03.02 11:34:54 *.122.139.253

김경목님의 멋진 경제관, 경제철학이 세워지길 바라겠습니다.

혹 경제공부 하시다가 궁금하신 점이나 질문있으시면 얘기해 주세요.

제가 아는 한도 내에서 최대한 성심껏 답변 드릴게요~^^

프로필 이미지
2017.03.02 14:07:48 *.45.30.238

감사합니다.

 

언젠가 기회가된다면 직접뵙고 배움을 청하고싶습니다.

프로필 이미지
2017.02.28 22:52:29 *.148.27.35
아름다운 공헌하셨습니다. 멋져부러~
재테크의 첫걸음은 지출의 통제죠. 훌륭한 수업이었습니다!
프로필 이미지
2017.03.02 11:35:31 *.122.139.253

요즘은 연대님께서 더 아름다운 공헌을 하고 계신 듯.

멋지십니다, 연대님~^^

프로필 이미지
2017.03.03 08:59:50 *.153.200.103

아버지의 지인에게서 일대일 경제코칭을 받는 장면이 아름답기 그지없네요.


지출만 조절해도 자산은 모이게 되어 있다!


모르는 말은 아니지만 그동안 귓등으로만 들었다면

차칸양님의 목소리는 가슴으로 맹돌격하네요.


이제부터라도 명심해서 꿈을 이루는 자본을 만들어 보겠슴다.

늘 연구소의 대소사를 솔선수범해서 안내해 주는 자세에도 감사드립니다.

프로필 이미지
2017.03.03 15:08:45 *.122.139.253

다다익선이라고 표현하지만, 돈만큼은 꼭 그렇지는 않다고 생각합니다.

왜냐하면 많은 돈은 오히려 몸과 생각을 무겁게 만들 수도 있기 때문이죠.

하지만 반대로, 돈이 없다면 우리의 일상은 돈에 의해 끌려갈 수 밖에 없을 겁니다.

그래서 전 '최경자(최소한의 경제적 자유)'가 제일 좋다고 봅니다.

몸과 마음이 가벼울 뿐 아니라 돈으로 인한 구속을 안 받으며 살 수 있는 기준이 될 수 있기 때문이죠.


한선생님의 '최경자'를 응원합니다~ 으싸으싸~!!^^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656 일상에 스민 문학 - 왕의 연설 file [14] 정재엽 2017.03.01 1449
» 이제 막 사회에 진출하는 너를 위한 경제조언 file [9] 차칸양(양재우) 2017.02.28 1235
2654 우리가 '흙수저'라고? - 두번째 이야기 [4] 제산 2017.02.26 1410
2653 우리가 ‘흙수저’라고? - 첫번째 이야기 [6] 제산 2017.02.26 1039
2652 내가 알고 있는 건 모두 틀렸다 [4] -창- 2017.02.25 1154
2651 아흔한번째 편지 - 1인 기업가 재키의 졸업식 file [8] 재키제동 2017.02.24 1164
2650 감기랑 창업자의 조건 [4] 이철민 2017.02.23 1148
2649 제주에 집을 얻어 <글쓰기여행 in Jeju>공저를 진행합니다 file [6] 한 명석 2017.02.22 1259
2648 당신은 유튜브 세대인가요? [4] 차칸양(양재우) 2017.02.21 1366
2647 한바탕 깨지기 위해 읽는다 [1] 옹박 2017.02.20 1120
2646 여성 리포트 - 여성 리더의 실종 [1] 書元 2017.02.18 1145
2645 아흔번째 편지 - 1인 기업가 재키의 1미터만 더 [2] 재키제동 2017.02.17 1290
2644 운명처럼, 창업을 예감한다면 [2] 이철민 2017.02.16 1145
2643 제주에서 일년살기 집 구하기 5일째 file 한 명석 2017.02.15 4875
2642 디톡스 프로그램 ‘더비움’ 좌충우돌 수행기 file [2] 차칸양(양재우) 2017.02.14 2005
2641 평온하신가요? [10] -창- 2017.02.11 1136
2640 여든아홉번째 편지 - 1인 기업가 재키의 커리어 로드맵 [6] 재키제동 2017.02.10 1439
2639 '창업준비' 중이라고...... [4] 이철민 2017.02.09 1136
2638 두 달 만에 청소를 하다가 [2] 한 명석 2017.02.08 1139
2637 내가 혼술을 하는 이유는, [7] 차칸양(양재우) 2017.02.07 15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