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 -창-
  • 조회 수 1435
  • 댓글 수 2
  • 추천 수 0
2017년 3월 11일 09시 53분 등록


혹시 같이 근무하는 사람 중에 마음에 안 드는 사람이 있나요? , 있다고요. , 바로 그 놈. 이런, 몇 사람이나 되네요. 누구나 그런 사람이 있을 겁니다. 내 생각대로 이렇게 하면 좋겠는데. 저러면 안 되는 건데. 저걸 왜 저렇게 할까, 참 마음에 안 드네.” 자기도 모르게 툭 말이 튀어나오죠. 사람 사는 게 다 그렇겠지요. 혹시 같이 살고 있는 배우자는 마음에 드시나요? 무척, 그럭저럭, 조금, 대충, 별로어디쯤인가요. 저런, 아주 마음에 안 든다고요. 충분히 그럴 수 있는 일이죠. 사는 게 다 그렇잖아요. 우리는 참 많은 사람을 마음에 들어 하지 않네요.

 

그런데 말이죠. 누가 누구의 마음에 들어야 하는 건가요? 누가 누구의 마음에 들게 살아야 하나요? 범죄를 저지르거나, 남을 해하거나, 보편적 도덕률을 어기는 게 아니라면, 뭐 저런 인간이 있나 싶을 정도가 아니라면, 누가 누구의 마음에 들도록 살아야 할 이유는 없는 것 같습니다. 이렇게 생각해보면 어떨까요. “그 사람이 왜 내 마음에 들어야 하지?” “배우자는 왜 내 마음에 들게 살아야 하지?” 우리는 서로의 방식으로 서로의 인생을 살아갑니다. 살을 맞대고 사는 배우자 역시 마찬가지지요. 부부라고 같이 사는 사람의 방식대로 따라야 할 이유는 없는 거지요. 자기의 인생이 있으니까요. 내 마음에 들어야 옳은 것이고, 제대로 된 것이고, 상식이며, 절대선이라고 생각하는 건 아집이고 폭력이겠지요.

 

내가 그렇듯이, 사람은 모두 자기만의 살아가는 방식이 있을 겁니다. 그 모습이 마음에 들지 않는다면, 서로 맞지 않는 것이겠지요. 그는 그런 사람이고 나는 이런 사람인 것입니다. 서로 다르고 맞지 않을 때 옳고 그름을 구분하는 건 어렵습니다. 그런 상황에 옳고 그름이 있지 않을 테니까요. 내 방식이 꼭 맞는 것도 아닐 테고요. 부부의 연으로 같이 살고, 직장의 연이 연결돼 함께 일할 때, 상대방이 나에게 맞춰져야 하는 건 아닐 겁니다. 그런데 사람들은 자기 말대로 하는 것이 옳은 것처럼 생각하고 스스로 속을 태웁니다.

 

내가 누군가의 마음에 들게 살아야 한다면 나라는 존재는 사라지고 누군가의 그림자만 남게 되겠지요. 반대로 누군가 내 마음에 들기를 바란다면 그의 존재방식을 흔들고 지우는 일이 됩니다. 그럴 권한을 부여받은 사람은 아무도 없습니다. 아내이든 남편이든 상사이든 말이죠. 누군가가 내 마음에 들기를 바라지 않아야 합니다. 자기만 속을 태우게 될 뿐 다른 사람을 내 마음에 들게 바꾸는 건 불가능 합니다. 바뀐다면 내가 가지고 있는 사회적 힘이나 필요에 의해서겠지요. 내가 좋으라고 자기 삶의 방식을 바꿔줄 사람은 없습니다. 누가 내 마음에 들지 않는다고 속 썩을 필요가 없다는 말이죠. 그런 일로 속 썩지 않는 방법은 감정을 일으키는 게 아니라 받아들이고 접점을 찾는 것입니다. 나는 나 자신도 마음에 들지 않을 때가 많습니다. 그런데 남이 내 마음에 들 리 없잖아요?

 


 

IP *.236.112.236

프로필 이미지
2017.03.11 11:18:20 *.38.70.8

선배님의 이 글은 참으로 마음에 듭니다! ^^ ㅎㅎ

프로필 이미지
2017.03.11 14:39:39 *.120.85.98

'분별심'을 내려놓는 것이 우선인 것 같습니다.

음... 다음 글, 기대합니다. So, What should I do?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676 피해자가 되지 말고 해결자가 되라 문요한 2008.01.22 3048
1675 길 위에 남고 싶다 [2] 문요한 2007.04.03 3051
1674 상황을 다시 설계하라 [1] 신종윤 2010.07.12 3052
1673 이것을 또 어디에 적용할 수 있을까? 문요한 2008.01.08 3053
1672 단순함으로 나아가고 있는가 [3] 문요한 2010.12.22 3053
1671 어둠이 그 밝음을 이기지 못한다. 그녀, 써니 구본형 2009.04.30 3054
1670 약점을 극복하는 지혜 문요한 2009.12.16 3054
1669 울음으로 시작한 세상, 웃음으로 끝내라 [1] 문요한 2008.04.08 3057
1668 두려움을 다루는 가장 좋은 방법 김용규 2009.05.14 3057
1667 삶의 전환기에 읽으면 좋은 책 file [6] 승완 2010.03.02 3057
1666 약초는 밭에서 자라지 않는다 문요한 2008.06.03 3058
1665 저항의 양면적 역학에 대하여 김용규 2014.03.06 3058
1664 모든 문제에는 기회가 있다 [2] 문요한 2008.03.18 3059
1663 첫 번째 욕심 [3] 김용규 2011.03.31 3060
1662 겨우 인생의 맛을 알기 시작한 것이다 [4] 박미옥 2013.10.25 3060
1661 약점의 보완 보다 재능의 활용이 중요하다 file [2] 승완 2010.01.19 3061
1660 흔들리지 않으면 무너진다 [1] 문요한 2010.06.02 3062
1659 영웅을 벨 칼은 영웅의 내부에 있다 file [2] 승완 2010.08.03 3063
1658 우연과 충동에 이끌린 하루 [2] 단경(旦京) 2013.10.18 3063
1657 늙어도 늙지 않는다 마리아 아줌마 구본형 2009.04.24 30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