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2017년 3월 28일 07시 01분 등록

식품첨가물1.jpg



꼭 디톡스 프로그램을 언급하지 않더라도, 우리는 건강을 위해 가공식품(흔히 인스턴트라 불리우는)의 섭취를 줄여야 한다고 알고 있습니다. 특히나 아이들에게는 콜라, 사이다와 같은 탄산음료뿐 아니라 각종 과자나 햄버거, 라면 등을 적게 먹을 것을 요구하죠. 하지만 쉽지 않습니다. 이미 가공식품은 우리 생활에 너무나 깊숙이 관여되어 있기 때문이죠.


어쩌면 더 이상 현대인의 식생활은 가공식품과 떼려야 뗄 수 없는 상황이 되었습니다. 그렇다면 가공식품이란 도대체 무엇을 의미하며, 왜 이렇게 많아진걸까요? 먼저 아래의 글을 읽어보시죠.

가공식품은 정제되거나 복잡한 가공 과정을 거쳐 대량생산된 것들로 지방과 조미료, 화학 합성 첨가물, 설탕을 첨가한 것이 대부분이다. 이런 가공식품은 대체로 자극적이고, 달콤하고, 고소하고, 구수하고, 기름진 것이 주를 이루며, 게다가 가격 또한 저렴하다. 이런 식품이 현대인의 식탁을 점령하게 된 것은 맛이 있어야 잘 팔리고 잘 팔려야 돈이 되는 자본주의적 산업구조 때문으로, 자본주의를 등에 업은 식품 회사는 원재료의 맛과 영양의 부족함을 가리기 위해 각종 화학 첨가물, 방부제, 색소, 설탕, 향신료 등을 첨가해 식품을 제조하는 것이다.

                                                                                                  -- <병원없는 세상, 음식 치료로 만든다>(상형철 지음) 중에서 --


최근 대형마트를 갈 때마다 느끼는 점 한가지는 그야말로 ‘없는게 없다’는 겁니다. 불과 몇 년전만해도 어쩔 수 없이 집에서 만들어야 하거나 식당에서 사먹어야 하는 음식도 있었지만, 이제는 HMR(Home Meal Replacement, 짧은 시간에 간편하게 조리하여 먹을 수 있는 가정식 대체식품)까지 등장함으로써 집에 사와 그저 끓이기만 하면 뚝딱! 요리가 되는 세상이 되었습니다. 너무나 편리해졌죠. 게다가 맛까지 어느 정도 보장이 되는데다가, 가격 또한 저렴하니 그야말로 일석삼조가 아닐 수 없습니다.

소비자 입장에서는, 특히 맞벌이를 하거나 여러 사정으로 제대로 밥을 차려 먹기 힘든 가정에서는 이런 가공식품들이 크게 도움이 될 겁니다. 하지만 과연 건강이란 관점으로 보았을 때도 도움이 될 수 있을까요? 

위의 인용구에서 보는 것처럼 가공식품은 기본 원재료에 각종 첨가물들을 넣음으로써 만들어집니다. 이때 기업의 입장에서 고려되어야 할 점은 4가지 정도일 겁니다. 첫째는 가격입니다. 타사와의 경쟁에서 이기기 위해서 가격은 가능한 한 낮아야 합니다. 가격을 낮추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할까요? 비싼 원료 대신 싼 원료로 대체해야겠지요. 국산 대신 당연히 보다 싼 중국산을 써야할 거고요. 또 다른 방법은 함량을 줄이는 겁니다. 그러면 원가가 낮아질 수 있겠지요. 기업 내부에서는 이렇게 하는 것을 ‘원가절감’이라 부르며, 여기에 기여한 직원에게는 큰 포상금까지 수여하죠.

둘째는 맛입니다. 비싼 원재료 대신 싼 원재료를 쓰거나 함량을 줄임으로써 당연히 그 맛이 떨어질 수 밖에 없게 됩니다. 이럴 때 적극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로 식품 첨가물입니다. 맛을 좌지우지하는 대표적인 식품 첨가물은 향료(또 다른 하나는 MSG(L-글루타민산나트륨))입니다. 거의 모든 가공식품에 향료가 쓰인다고 보면 되는데요, 예를 들어 딸기맛 우유라고 할 때, 딸기는 얼마나 들어갈까요? 모 회사의 딸기맛 우유 함량을 보면 원유 78%에 딸기과즙은 고작 1% 들어갑니다. 대신 합성착향료로 딸기향이 들어가죠. 나머지는 설탕, 색소 그리고 물이 다입니다. 그럼에도 진한 딸기맛을 느낄 수 있죠. 위대한 향료의 힘입니다. 딸기향이라고 쓰지만, 거의 대부분의 향료들은 수십, 수백 개의 화학원료들을 조합하여 만든 화학 합성물입니다. 정부나 기업에서는 인체엔 무해하다고 강조하고 있지만, 글쎄요... 화학 합성물들이 몸 안에 켜켜이 누적되어도 괜찮다고 할 수 있을까요?

셋째, 식품의 외관입니다. 아무리 맛이 좋아도 외형상으로 맛이 있어 보이지 않으면 소비자들은 대개 외면하게 됩니다. 무엇보다 먼저 소비자의 주목을 끌기 위해서는 식품의 색, 즉 ‘때깔’이 아주 신선해 보이거나 먹음직스러워 보여야만 합니다. 이때 사용되는 식품 첨가물이 바로 발색제입니다. 대표적인 발색제가 아질산나트륨으로, 색을 선명하게 해주는 역할을 하며 햄, 소세지 외에도 각종 가공식품에 아주 널리 쓰이고 있습니다. 미국 컬럼비아 대학 메디컬센터의 장 루이 박사 연구팀의 실험에 의하면 아질산나트륨은 고기에 들어 있는 단백질인 아민류와 반응해 발암물질이자 돌연변이와 출산장애 등의 원인이 되는 니트로소아민을 생성한다고 합니다. 이런 위험성 때문에 세계보건기구(WHO)에서는 어린이용 식품에는 사용을 자제하도록 권고하고 있다네요.

마지막으로 오랫동안 유통시켜도 문제가 없도록 도와주는 생명연장의 힘! 바로 보존제입니다. 보존제는 다른 말로 방부제라 할 수 있습니다. 세균류의 성장을 억제하여 식품의 부패와 변질을 막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써, 흔히 식품에서는 산화방지제란 이름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죠. 사실 우리 주위에는 보이지 않는 수많은 균들이 존재하고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일반 음식물의 경우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부패할 수 밖에 없죠. 보존제는 이런 현상을 막거나 지연시켜 주는 역할을 하는데요, 그 이름들만 봐도 꽤나 화학적인 것들임을 알 수 있습니다. 소르빈산칼륨, 솔빈산, 프로피온산나트륨, 안식향산나트륨, 데히드로초산나트륨, 파라옥신안식향산... 그렇죠?


이처럼 우리가 먹는 식품들마저 자본주의의 논리에 의해 식품 첨가물로 뒤범벅된 채 가공되어 우리의 식탁을 점령하고 있습니다. 문제는 우리가 이런 식품 첨가물에 대해 제대로 모르거나 또한 알면서도 어쩔 수 없지, 뭐 하며 그냥 지나친다는 것입니다. 정부나 기업의 주장처럼, 이러한 식품 첨가물들이 인체에 무해할 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수 많은 실험들과 성인병 그리고 아토피와 같은 유아들의 발병을 살펴보면 과연 계속해서 인체에 무해한 것으로 받아들일 수 있을까 하는 의문이 드는 것이 사실입니다. 무조건 안 먹을 수는 없을 겁니다. 하지만 그럼에도 가릴 것은 가려야 한다고 봅니다. 특히나 아이들을 위해서는 더 그래야만 하겠죠. 내 건강 그리고 아이들을 포함한 가족의 건강은 반드시 스스로 지켜야 하겠습니다.

다음 마음편지에서는 식품 첨가물 중 특히나 좋지 않은 것들을 모아, “이것 만은 반드시 피해서 먹자!”편을 보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차칸양(bang_1999@naver.com) 올림




***** 구본형변화경영연구소 공지 ***** 

1. <꿈벗 43기> 모집 안내
‘꿈벗 프로그램은 날마다 반복되는 습관적 맹목성을 공격하여, 꿈을 현실로 불러들여 나의 강점과 연결하려는 실험과 모색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적극적이고 공격적인 노력이다. 2박3일 동안 합숙하며 구본형변화경영연구소의 관련 전문가들의 도움을 받아 스스로 진행된다.‘ 2011년 꿈벗 1기를 모집하며 하신 구본형선생님의 말씀입니다. 그 정신을 그대로 이어받아 41기로 시작된 꿈벗 프로그램이, 이제 43기를 모집하고 있습니다. 관심있는 분들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

2. <아이를 기다리는 시간> 4기 모집 안내
변화경영연구소 6기 연구원이자 ‘해피맘CEO진로학교’의 박미옥 대표가 <아이를 기다리는 시간> 4기를 모집하고 있습니다. <아이를 기다리는 시간>은 ‘어떻게 하면 아이를 잘 키우면서도 충만한 삶을 살 수 있을까?’라는 질문을 던지고, 엄마(아빠) 자신만의 답안지를 만들어 가도록 돕는 프로그램입니다. ‘부모’이기 전에 한 인간으로서 자신만의 기쁨을 발견하고, 그 기쁨으로 가족과 사회를 기쁘게 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고자 하는 분들의 많은 신청 바랍니다.

3. <나를 세우는 네가지 기둥> 3기 모집 안내
변화경영연구소 3기 연구원이자 함께성장연구원의 정예서 원장이 <나를 세우는 네가지 기둥> 3기를 모집하고 있습니다. 이 과정은 책과 글, 심리 프로그램을 통해 자신을 일으킬 네 가지 기둥을 세움으로써 제대로 살기를 원하거나 치유와 코칭의 백일쓰기, 소통, 인문학과 심리학을 통한 강점 찾기를 하고자 하는 분들에게 유익한 프로그램이 될 것입니다. 관심있으신 분들의 많은 신청 바랍니다.

4. <유로 에니어그램> 성격별 운명전환 90일 실행과정 모집 안내
변화경영연구소 5기 연구원이자 AL문화기획의 수희향 대표가 자신의 5번째 책 『운을 경영하라』와 관련하여 <유로 에니어그램> 성격별 운명전환 90일 실행과정에 참여할 신청자를 모집하고 있습니다. 현대 에니어그램 창시자인 나란조 박사의 유럽 정통 에니어그램을 활용한 프로그램으로써, 90일간 자신을 알고, 주체적으로 자신의 운명을 바꿔보고자 하는 분들에게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IP *.122.139.253

프로필 이미지
2017.03.28 07:58:46 *.45.30.238

다음 편지가 기다려집니다.

 

글 잘읽었습니다.

프로필 이미지
2017.03.29 09:06:21 *.122.139.253

항상 관심 가져주셔서 고맙습니다.^^

프로필 이미지
2017.03.28 15:41:21 *.120.85.98

식품첨가제!

적들의 기습에 어떻게 대응해야하는지 궁금합니다.

프로필 이미지
2017.03.29 09:07:28 *.122.139.253

적들의 기습에 어떻게 대응하긴! 안 먹으면 되지~ ㅋ


하지만 안 먹기가 너무너무 힘들다는게 함정.

글쎄,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

프로필 이미지
2017.03.31 23:12:15 *.215.153.2

무식하고 빠르게 돌아가는 대한민국에서 맞벌이 부부의 남편으로써

3번과 4번은 어떻게 쉽게 해결이 안되네요.  가능한 적게 먹이는 수 밖에는..

프로필 이미지
2017.04.05 16:44:09 *.122.139.253

맞아요, 식품 첨가물, 더 나아가 가공식품을 안 먹을 순 없습니다.

물론 잘 찾아보면 식품 첨가물을 안 넣거나 혹은 천연의 첨가물을 사용한 제품들이 있긴 하더군요.

하지만 대부분 가격이 만만치 않고, 또 물량이 충분치 못해 구하기도 쉽지 않죠.


결국 방법은 최대한 식습관을 바꿔야 할 듯 싶습니다. 가공식품보다는 채소, 제 철 음식같은 것으로 말이죠.

당장은 어려우니, 조금씩 조금씩 시도해봐야 하겠습니다.^^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696 텅 비어있어 실상을 보는 눈 [1] 옹박 2017.04.17 1159
2695 여성 리포트 - 갱년기 타파 [3] 書元 2017.04.15 1105
2694 아흔여덟번째 편지 - 1인 기업가 재키의 평가에 대하여 재키제동 2017.04.14 1145
2693 창업의 세번째 단추 - 빌리려면 하지 마라 [2] 이철민 2017.04.13 1121
2692 [수요편지3- 책읽는 어른남자] [4] 수희향 2017.04.12 1073
2691 당신과 함께 ‘선운사’ 한번 목청껏 소리높여 불러 봤으면 [4] 차칸양(양재우) 2017.04.11 1182
2690 '시'로 말해요 - 첫번째 이야기 [2] 제산 2017.04.10 966
2689 이 쉬운걸 제가 해내지 말입니다 [4] -창- 2017.04.08 1249
2688 아흔일곱번째 편지 - 1인 기업가 재키의 오해와 진실 [4] 재키제동 2017.04.07 1276
2687 창업의 두번째 단추 - 풍부한 경험 [2] 이철민 2017.04.06 1244
2686 [일상에 스민 문학] 인생의 첫출발 file [4] 정재엽 2017.04.05 1280
2685 식품첨가물, 이것 만은 피해서 먹자! file [4] 차칸양(양재우) 2017.04.04 1344
2684 당신의 성소(聖所)는 어디에? 옹박 2017.04.03 1096
2683 여성 리포트 - 비교는 경쟁력이다 書元 2017.04.01 964
2682 아흔여섯번째 편지 - 1인 기업가 재키의 커리어 컨설팅 [6] 재키제동 2017.03.31 999
2681 창업의 첫번째 단추 - 탄탄한 기술 [14] 이철민 2017.03.30 1160
2680 [일상에 스민 문학] 세월호와 <노인과 바다> file [7] 정재엽 2017.03.29 1267
» 자본주의 식품산업의 히트상품, 식품 첨가물! file [6] 차칸양(양재우) 2017.03.28 1756
2678 우리가 흙수저라고? - 네번째 이야기 [2] 제산 2017.03.26 1013
2677 입밖에 내지 않기 [2] -창- 2017.03.25 11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