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연구원

칼럼

연구원들이

  • 알로하
  • 조회 수 2046
  • 댓글 수 6
  • 추천 수 0
2017년 4월 17일 00시 57분 등록

 

 금요일은 좋다

다음날 일찍 일어나야 하는 부담 없이 밤 늦게까지 놀 수 있어서 좋고, 주말 여행을 시작하는 날이라서 좋다우리나라 사람들도 언제부터인가 불금이란 말을 사용해 가며 토요일보다 금요일에 노는 것을 더 즐기는 듯 하다.

 

 ‘Thanks God, it’s Friday’를 외치며 금요일부터 주말을 즐기는 서양인들에게 금요일 밤은 그야말로 파티의 밤이다그런데 이런 서구 기독교 문화권에서도 1년에 단 하루 기쁘게 즐기지 않고 애도하며 보내는 금요일이 있으니바로 부활절 이틀 전의 금요일이다

이날은 기독교에서 예수가 십자가에 못 박혀 처형당한 날로, 신자들은 파티는 커녕 한끼를 굶고 육식을 금하며 예수의 고통에 동참하고 애도하려는 노력을 한다그런데 그들은 부활절 이틀전, 이 금요일을 “Good Friday”라고 부르며 기념한다자신들이 믿는 신이 참혹한 죽음을 당한 날가장 소중하며 유일하게 믿었던 세계가 무너진 끔찍한 날인데왜 하필 이 날을 Good Friday, ‘좋은 금요일’ (한국에서는 좋은 금요일이 아니라 성()금요일이라고 부른다)이라고 부르는 걸까?*

 

 답은 그날로부터 사흘 뒤에 벌어진 인류 역사 최대의 사건에 있다. 분명 스승의 죽음을 확인했고 무덤에 묻기까지 했는데일요일에 다시 가보니 시체가 사라지고 부활했다고 한다죽은 사람이 다시 살아나다니말도 안 된다. 그런데 이 말도 안 되는 일이 벌어졌고, 이 사건을 계기로 예수는 예언자 중 한 사람에서 인류를 구원하는 신이 된다부활은 반드시 죽음이 선행되어야만 한다. 예수의 죽음이 아무리 가혹하고 무서운 일일지라도 부활의 기적을 위해서 반드시 일어났어야만 했기에, 이 끔직했던 금요일은 좋은 날, Good Friday가 되었다.

 

 지난주에 나는 동기들과 함께 과거와 결별하고 새로운 변화를 시작하겠다고 선언하는 장례식을 치뤘다장례식 전 1주일간 <익숙한 것과의 결별>을 읽으며 왜 변해야 하는지, 변하기 위해서 어떤 습관들을 버려야 하는지를 생각하는 시간을 가졌었다.

이번주에는 <마흔세 살에 다시 시작하다>를 읽으며, 나도 구본형 선생님처럼 하루 하루가 빛나는 유혹이 되는 삶을 살고 싶다는 생각을 했다. 마침 내 나이도 마흔 세 살. 나도 다시 시작할 수 있을 것 같았다하지만 변화와 새로운 시작을 지금껏 머리로만 이해했지, 가슴과 몸으로 받아들여 생활 속에 적용시키지 못하고 있다나는 여전히 장례식 전과 똑 같은 나쁜 습관을 갖고 있고, 책을 읽기 전과 다를 바 없는 게으른 삶을 살고 있다아직까지 진정한 Good Friday를 갖지 못 했기 때문이다.

 

 죽음의 고통과는 비교도 할 수 없겠지만, 익숙한 것들과의 끊어냄 역시 고통이 따른다그런데 나는 아직도 고통 없이 새로운 시작의 즐거움만 찾으려 하고 있다. 그래서 2주가 지나가는 오늘까지 진정으로 변하지도, 새로 시작하지도 못 하고 있다.

마침 오늘은 부활절이었다. 죽음에서 돌아옴을 기뻐하고 축하하는 날이다부활절이 막 지나고 있는 지금, 더 늦기 전에 나만의 Good Friday를 가져야한다.

마흔 세살. 이제 고통이 없이는 기적도 기쁨도 없다는 걸 진정으로 깨달을 나이도 되었다.  

 

 

* Good Friday의 어원과 관련해서는 여러가지 설과 논쟁이 있는데

본 칼럼은 그 중에서 미국의 카톨릭 교회에서 널리 받아들여지는 설을 근거로 작성했다.

참고 문헌: 1. Christianity.com: What’s so good about “Good Friday” by Justin Holcomb

http://www.christianity.com/god/jesus-christ/what-s-so-good-about-good-friday.html

2. BBC.com: Who, What, Why: Why is Good Friday called Good Friday?

http://www.bbc.com/news/blogs-magazine-monitor-27067136


 

IP *.222.255.24

프로필 이미지
2017.04.17 01:09:16 *.18.218.234

어머, 이 글 좋네요. 마침 부활절이기도 하고 우리 장례식과 읽은 책들과도 연결되고!

Good day에 대해서는 덕분에 오늘 처음 알았어요.

죽음과 부활, 그래서 Good day라...!!

프로필 이미지
2017.04.17 10:56:48 *.146.87.24

그냥 제목부터 매력적인데다 내용까지 와우! 감탄하면서 봤습니다. 연재해 주세요^^

이런 내용으로 연재해 주세요^^ 흥미 그 자체!!

프로필 이미지
2017.04.17 15:28:36 *.14.90.189

고통없는 새로운 시작 안되나요?

하긴 저 토요일 드디어 헬스 1년 결제했어요. 근육통 시작됐어요.

프로필 이미지
2017.04.17 19:37:03 *.39.102.67

Good Friday.

문득 이 제목으로 책을 써도 좋을듯 합니다.

(칼럼에 참고문헌도 인상적이었어요)

프로필 이미지
2017.04.21 13:19:18 *.94.41.89

저희는 과연 몇 번 거듭날 수 있을까요? 오늘 거듭 난 하루 되시고 앞으로도 쭉~~ 화이팅!

프로필 이미지
2017.04.23 19:43:39 *.5.22.92

그리도 쉽게 변하면 사람이 아니지비.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212 [33] 시련(11) 자장면 한 그릇의 기억 secret [2] 2009.01.12 205
5211 [36] 시련12. 잘못 꿴 인연 secret [6] 지희 2009.01.20 209
5210 [38] 시련 14. 당신이 사랑을 고백하는 그 사람. secret 지희 2009.02.10 258
5209 [32] 시련 10. 용맹한 투사 같은 당신 secret [2] 2008.12.29 283
5208 [37] 시련. 13. 다시 만날 이름 아빠 secret [3] 2009.01.27 283
5207 [28] 시련(7) 우리가 정말 사랑했을까 secret [8] 지희 2008.11.17 330
5206 칼럼 #18 스프레이 락카 사건 (정승훈) [4] 정승훈 2017.09.09 1658
5205 마흔, 유혹할 수 없는 나이 [7] 모닝 2017.04.16 1661
5204 [칼럼3] 편지, 그 아련한 기억들(정승훈) [1] 오늘 후회없이 2017.04.29 1715
5203 9월 오프모임 후기_느리게 걷기 [1] 뚱냥이 2017.09.24 1744
5202 우리의 삶이 길을 걷는 여정과 많이 닮아 있습니다 file 송의섭 2017.12.25 1748
5201 결혼도 계약이다 (이정학) file [2] 모닝 2017.12.25 1777
5200 2. 가장 비우고 싶은 것은 무엇인가? 아난다 2018.03.05 1778
5199 7. 사랑스런 나의 영웅 file [8] 해피맘CEO 2018.04.23 1788
5198 (보따리아 칼럼) 나는 존재한다. 그러나 생각은? [4] 보따리아 2017.07.02 1794
5197 11월 오프수업 후기: 돌아온 뚱냥 외 [1] 보따리아 2017.11.19 1794
5196 12월 오프수업 후기 정승훈 2018.12.17 1797
5195 일상의 아름다움 [4] 불씨 2018.09.02 1803
5194 칼럼 #27) 좋아하는 일로 먹고 사는 법 (윤정욱) [1] 윤정욱 2017.12.04 1808
5193 [칼럼 #14] 연극과 화해하기 (정승훈) [2] 정승훈 2017.08.05 18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