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 -창-
  • 조회 수 966
  • 댓글 수 0
  • 추천 수 0
2017년 4월 22일 05시 33분 등록

선배의 몸이 달라진 건 당뇨 진단을 받고 몇 달 지나지 않아서였습니다. 후덕하던 얼굴의 선이 조금씩 보이기 시작하더니 뚜렷한 턱 선을 드러냈죠. 둥글둥글하던 몸에도 직선이 살아났습니다. 여윈 듯 하면서도 보기 좋은 몸이 되더군요. 운동을 얼마나 하느냐고 물었더니 많이 열심히 한답니다. 입당(당뇨병에 걸렸다는 의미)의 충격 때문에 몸 관리에 나선 덕분입니다. 어떻게 매일 운동을 하느냐고 물으니 이런 답이 돌아오네요. “시간 없다고 밥 안 먹지는 않잖아. 운동도 그래.” 물살을 자랑스럽게 달고 다녔던 선배는 당뇨 덕분에 훌륭한 몸갈이를 하고 있었습니다.


우리나라의 사망원인 1위가 암이라고 합니다. 그렇게 치명적인 암인데 뜻밖의 사실도 있습니다. 발병 이후 5년 상대 생존율이 100.2%. 암이 걸리지 않은 사람들보다 더 높은 생존율의 암이 있네요. 갑상선암이 그렇습니다. 어떻게 이런 일이 생기는 걸까요. 일단 갑상선암은 사망률이 낮습니다. 물론 다 그런 건 아니지요. 암이라는 공포감은 환자 본인에게는 다른 암과 다르지 않을 테니까요. 그래서 암 진단을 받은 뒤에 나쁜 생활습관을 버리고 적절한 운동에 매진합니다. 암을 이겨내기 위해 온갖 신경을 쓰는 거지요. 결과적으로 암이 걸렸는데 건강이 평소보다 더 좋아지는 상황으로 바뀝니다.


올해 99세인 김형석 교수는 태어날 때부터 몸이 약했다고 합니다. 스무 살을 넘길 수나 있을까 하는 소리를 들었다고 하죠. 그래서 평생 무리하지 않고 조심하며 건강관리를 했다고 합니다. 그 덕분에 100세 나이에도 강연을 다니고 지혜를 나누는 기쁨을 누리고 있습니다. 몸이 약했기에 오히려 장수할 수 있었다는 역설이지요. 흔히들 병 때문에 몸이 힘들어졌다고 합니다. 그러나 이렇게 몸이 더 좋아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몸을 망치는 병이 오히려 몸을 더 좋게 만드는 계기가 되는 거죠. 몸이 약하고 병을 겪어본 사람은 매사에 조심을 합니다. 경고등 하나가 자신을 다시 보게 만들어 줍니다. 아픔이 현재의 나를 돌아보게 해주고 몸을 다시 만들어주기 때문입니다.


영국의 역사학자 토인비는 인류 역사가 도전과 응전으로 생성하고 소멸되었다고 말합니다. 가혹한 환경이 문명을 낳았고 인류를 발전시켰다는 것이죠. 그런 의미에서 지금 닥친 어떤 아픔이 꼭 나쁜 것만은 아닐 수 있습니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을 찾아내는 능력을 주기도 합니다. 아픔이 있어서 우리 삶이 무너지지 않는 것인지도 모릅니다. 때때로 부딪치는 아픔이 삶을 바꾸게 하니까요. 지금 어딘가 삶이 아프다면, 무엇인가로부터 위협받고 있다면, 나를 더 낫게 만들어주려는 지렛대라고 생각해보면 어떨까요. 무병장수가 아닙니다. 유병장수입니다. 때로는 질병이 몸을 더 건강하게 만들어 주듯이, 아픔이 더 나은 삶으로 변하게 해주기도 합니다. 아픔을 탓하며 그 속으로 가라앉지 마세요. 그 아픔이 삶을 변화시킵니다.



IP *.236.112.236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716 길은 묻지 않는다 [1] 장재용 2021.08.24 1384
2715 [화요편지]통찰은 어떻게 일상이 되는가? [2] 아난다 2021.08.31 1384
2714 [월요편지 30] 도미노 효과, 성공이 쌓이는 비밀 file 습관의 완성 2020.10.18 1386
2713 [용기충전소] 커밍아웃; 나는 000입니다 [4] 김글리 2020.10.23 1386
2712 다 사는 것 [1] 장재용 2021.11.09 1387
2711 다섯번째 편지 - 1인 기업가 재키의 마켓 file 재키제동 2015.05.29 1388
2710 가슴 철렁하게 부러운 한 명석 2016.01.06 1389
2709 첨단의 변증법 [2] 장재용 2021.04.27 1389
2708 이 아이를 어쩌면 좋을까요? 김용규 2016.01.21 1390
2707 온 더 로드 file 한 명석 2015.09.09 1392
2706 소유하지 않고 향유하기(제주에서의 실험) ) file 한 명석 2017.01.25 1392
2705 마흔아홉, 생긴 대로 살기 5 [1] 書元 2016.03.03 1394
2704 [수요편지] 인턴이라는 야만 [3] 장재용 2019.02.27 1394
2703 [화요편지]세상에서 가장 친절하고 부드러운 혁명 아난다 2021.08.17 1394
2702 [용기충전소] 잡초에게 배우는 생의 전략 김글리 2021.08.27 1394
2701 전입신고 어니언 2021.07.15 1395
2700 관광객 말고 여행자로 살기 김용규 2015.11.19 1396
2699 [목요편지] 세계관 최고 훈남의 조건 [1] 어니언 2021.01.28 1396
2698 나이만 먹은 어른들 연지원 2016.10.03 1398
2697 [용기충전소] 내가 만난 가장 큰 행운 [7] 김글리 2021.05.28 13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