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연구원

칼럼

연구원들이

  • 윤정욱
  • 조회 수 1026
  • 댓글 수 5
  • 추천 수 0
2017년 5월 29일 08시 25분 등록

나는 꿈을 꾸고 있었다. 꿈 속에서 나는 연구원 사람들과 같이 있었다. 한 연구원 선배가 나에게 질문을 했다. 그리고는 내가 대답을 했다. 대답을 하고 나서 내가 한 대답이 내가 생각해도 흡족했나 보다. 나는 꿈에서 설핏 깨려고 할 때 즈음 그것을 기록에 남겨두려고 핸드폰으로 메모를 하려고 하는데 이상하게 메모가 잘 되지 않았다.

 

선배 : (연구원 또는 삶의) 과정이 어렵다고 생각하는지요?

: 우선 인간 자체가 어려운 동물.. 이기.. 때무ㄴ이ㅂ니다.. 그ㄹㅐㅅㅗ..

 

기억이 날아가는 것이 두려워 자꾸 핸드폰을 만지작거리지만 글은 더 이상 나오지 않았고, 나는 그럴수록 더욱 답답해했다. 함께 있던 애인은 핸드폰 좀 그만 보고 함께 어디론가 놀러나 가자고 자꾸 재촉이다. 꿈의 기억이 이렇게나 명료하고 분명한데 그 조각을 줍지를 못하는 것이 이렇게나 아쉽다니. 모래 사장에 적어 둔 글이 파도의 하얀 포말에 조금씩 지워지는 것처럼 안타까운 마음으로 지켜보는 수밖에 없다니. 친척의 계략에 빠져 궤에 갇힌 오시리스의 마음도 이렇게 갑갑했을지도 모르겠다. 그러한 마음을 풀 길이 없어 오른손 손바닥으로 이마를 세차게 때렸다.

 

따악

 

하고 큰 소리가 났다. 그 소리와 함께 나는 진짜 잠에서 깨어났다. 나는 꿈 속에서 꿈을 꾸었던 것이다. 꿈 속에서 꾸었던 꿈을 깨기 위해 나는 이마를 손으로 세차게 때리는 꿈을 꾸었고, 현실의 나의 몸이 이에 반응하여 진짜 이마를 손으로 세차게 때린 것이었다. 황당함에 앞서 나는 다시 핸드폰을 집어 들었다. 꿈에서 꾸었던 꿈의 조각을 잡아내고 싶었다. 꿈은 나의 무의식으로 채워진 바다다. 그 꿈 속에서 나온 말들, 내가 했건 다른 사람이 나에게 했건, 그 모든 말들은 나의 무의식이라는 바다 속에서 헤엄치는 작은 물고기들이고, 이 물고기들은 그 크기가 크건 작건 나의 무의식을 비추는 거울이 된다. 하물며 꿈 속에서 꾸었던 꿈의 조각은 나의 무의식 속 무의식이라는 심해에서 헤엄치던 물고기였을 것이다. 그 물고기를 통해 나는 내 안에 있는 심해를 상상해보려 한다.

 

선배 : (삶 또는 연구원의) 과정이 어렵다고 생각하는지요?

 

: 우선 인간 자체가 어려운 동물이기 때문입니다. 이해하기 어렵죠. 그리고 그러한 인간이 살아가는 삶 역시 매우 이해하기 어려운 것이죠. 그래서 과정이 어려운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 그래도 그나마 다행인 것은 이러한 과정들을 통해 점점 우리 자신을 이해하기 시작한다는 것은 다행이라고 생각합니다.

 

선배가 질문한 과정의 정확한 의미를 나는 알지 못한다. 그것은 삶 자체의 과정에 대한 질문일 수도 있고, ‘연구원 과정에 대한 질문일 수도 있다. 하지만 내가 했던 대답은 분명히 기억한다. 그리스 로마 신화에 따르면 잠의 신 호프노스에게는 꿈의 신인 모르페우스가 있다고 한다. 모르페우스는 꿈의 형태로 어떠한 사람이든 그 사람의 말투와 몸짓을 흉내 낼 수 있고, 그것을 통해 사람들에게 신들의 메시지를 대신 전달해 주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어젯밤 모르페우스가 나를 찾아왔다. 정신 차리지 않으면 꿈은 금방 흩어지고 만다. 그 꿈을 해석하는 것 역시 의식이라는 나의 제한 된 사고 범위 안에서만 가능하다는 것이 아쉽다. 하지만 꿈을 꾼다는 것은 무의식의 바다 속을 헤엄치는 것. 그 바다 속을 유영하는 것은 바다 전체를 이해하지는 못해도 그것만으로도 삶의 깊이를 더해준다고 나는 믿는다. 다시 한 번 꿈에서 걷어 올린 물고기 한 마리가 되어 무의식의 바다 속을 헤엄쳐 보고 싶다.

 

IP *.75.253.254

프로필 이미지
2017.05.29 09:13:40 *.124.22.184

꿈 속에 또 꿈이라니... 그걸 또 기억하려고 적기까지 하고 난 이어가려고 다시 잠들기는 해봤는데 적어보진 못했어. 그런데 꿈 해석하는 사람은 그렇게 해보라고 하더라고.

프로필 이미지
2017.05.29 22:28:33 *.140.65.74
그럼 메모하려고 한 행동도 꿈 속인거고.. 꿈 속의 꿈이라~ 한 번도 경험 못한 거라 무슨 느낌인지는 모르겠다. 그런데 이 부분은 정말 공감이 간다.
"꿈의 기억이 이렇게나 명료하고 분명한데 그 조각을 줍지를 못하는 것이 이렇게나 아쉽다니"
너무나 아쉬운 부분을 모래에서 동전 찾듯이 헤매고 다닌 적이 있었거든...
하지만 잡히는 건 그냥 모래뿐~

영화 인셉션이 이런 모티프로 기획된거 같다^^
프로필 이미지
2017.05.30 05:13:32 *.106.204.231

연구원의 과정이나 삶이 얼마나 너에게 크게 다가왔으면 이런 꿈을 꾸는걸까? 나는 도대체 꿈을 꾼 적이 없다. 꿈을 꾸지만 기억을 못하는거라 하지만 진짜 기억이 없는 나는 그 무의식을 한번 경험해보고 싶네. 한번 꾸기도 힘든 꿈인데 꿈속에 꿈까지 꾸면서 무언가를 깨치는 정욱동기가 부럽네요.

프로필 이미지
2017.05.31 18:53:44 *.120.85.98

몸이 안좋은가봐요...ㅋ

이렇게 현실감있는 꿈을 꾸다니... 인셉션을 능가하네요.

프로필 이미지
2017.06.02 21:29:14 *.39.23.224

연구원 과제에 대한 스트레스가 얼마나 심하면...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 [칼럼#6] 꿈에서 걷어 올린 물고기 한 마리 (윤정욱) [5] 윤정욱 2017.05.29 1026
571 [칼럼 #7] 후불제, 할부가 되나요? (이정학) [12] 모닝 2017.05.29 991
570 사랑할 수 있어서 비로소 사랑스러운 존재가 된다 [8] 송의섭 2017.05.29 984
569 # 6 커피이야기 [6] ggumdream 2017.05.29 981
568 <칼럼 #6> 우리는 모두 콩나물이다 - 장성한 file [11] 뚱냥이 2017.05.29 1071
567 [칼럼 #7] 거위의 꿈(정승훈) file [11] 오늘 후회없이 2017.06.04 1017
566 [칼럼#7] 프라이탁 가방 (윤정욱) file [6] 윤정욱 2017.06.05 1823
565 #7 착각은 나의 힘_이수정 [12] 알로하 2017.06.05 999
564 # 7. 커피 이야기 #2 [6] ggumdream 2017.06.05 1031
563 [칼럼 #8] 별걸 다 이야기해 주는 거울 (이정학) [11] 모닝 2017.06.05 1011
562 有言自遠方來 不亦樂乎(유언자원방래불역락호) file [12] 송의섭 2017.06.05 975
561 <칼럼 #7> 지하철에 '한국화'를 그려보자 [15] 뚱냥이 2017.06.05 996
560 칼럼#8 거인의 어깨에 올라간 자, 세상을 얻는다. file [8] 오늘 후회없이 2017.06.11 2046
559 <칼럼 #8> 작은 것은 큰 것을 작게 만든 것일 뿐 [5] 뚱냥이 2017.06.12 1179
558 칼럼 #8 용광로와 샐러드 볼 (다문화 사회의 이해) [2] 윤정욱 2017.06.12 6155
557 #8 살인을 하고 벗어나는 법_이수정 [3] 알로하 2017.06.12 1054
556 칼럼#8 부동산투자는 인(仁)하지 못하다?(이정학) [3] 모닝 2017.06.12 978
555 인생 네비게이션을 펼쳐보다 [2] 송의섭 2017.06.12 984
554 # 8. 커피 이야기 3 file [3] ggumdream 2017.06.12 987
553 6월 오프수업 후기(정승훈) [4] 정승훈 2017.06.20 9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