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연구원

칼럼

연구원들이

2017년 6월 4일 00시 15분 등록

거위의 꿈

 

11기 정승훈

 

때는 조선시대, 한 선비가 방에 앉아 있다. 한 낮의 햇빛이 창호지를 뚫고 들어와 방안 가득하다. 선비의 앞엔 서안이 있고 그 위엔 서책이 펼쳐져 있다. 옆에는 문방사우가 놓여있다. 머리에 상투를 튼 것으로 보아 혼례를 치른 선비다. 과거 시험을 준비하는가 보다. 과거 급제의 평균 연령이 35세인데 주름도 없고 앳된 모습이 언뜻 언뜻 보이는 걸 보니 이십대 후반쯤으로 보인다. 서책에 집중을 못하고 엉덩이가 연신 들썩인다. 하긴 젊은 혈기에 앉아서 책만 보려니 오죽할까. 아니면 다른 연유라도 있는 걸까.

 

선비의 뒤로는 책가도(冊架圖) 10폭 병풍이 보인다. 책가도는 문치를 강조한 정조 임금이 화원을 시켜 중국의 다보각경(多寶各景)이나 다보격경(多寶格景)을 본떠서 조선에 걸맞은 형식을 만든 것이 시초다. 정조 임금이 용상 뒤에 걸어 더욱 널리 퍼졌다는 책가도는 선비의 성적향상과 입신양명을 기원하는 선비의 어머니가 마련해준 것이다. 선비는 서책보다 책가도의 그림을 더 좋아하는 지 연신 뒤를 돌아본다. 조선에서는 볼 수 없는 그림풍이 선비를 매료시킨다. 방에 앉으면 서책을 보는 시간보다 책가도를 보는 시간이 더 많다. 서책 옆 화선지 맨 위에는 서책을 필사한 종이가 있다. 하지만 그 밑엔 책가도를 모사한 화선지가 수북하다. 맨 위의 종이는 위장용이다. 선비는 서책의 글보다 책가도의 그림이 더 좋다. 하지만 대대로 문과에 급제하여 벼슬을 지낸 집안에서 그림이란 안 될 말이다.

 

책가도.jpg

19세기 화원 이형록이 그린 책가도 (국립중앙박물관소장)

책가도에 있는 것들은 선비가 본 적 없는 물건들이다. 향로와 화병, 도자기의 색도 모양도 이국적이다. 책가도를 보고 있으면 조선이 아닌 타국에 있는 기분마저 든다. 진짜 책장이 있는 것 같아 손을 뻗어 보게 된다. 자신의 문방사우도 거기에 올리고 싶어진다. 임금마저 매료시킨 그림이라고 하니 선비는 더욱 마음을 뺏긴다. 혼례를 치른 부인보다 더 좋은 듯 내실로 들지 않고 이 방에 머무는 시간은 점점 늘어간다. 선비의 마음을 모르는 부모님은 과거 공부에 매진하는 아들이 혼례를 치르더니 철이 들었다며 연신 흐뭇해한다. 선비는 그림을 모사하며 책가도가 온 그 곳으로 언젠가 꼭 가보리라 마음먹는다.

선비의 손은 연신 그림을 모사하고 있다. 밖에서 소리가 들린다. 이크. 들킬세라 얼른 돌아앉아 서책으로 눈을 돌린다. 재빨리 서책을 필사한 화선지를 위에 올려놓는다.

 

선비는 과연 그림을 맘껏 그릴 수 있을까? 선비는 책가도가 온 그 곳에 갔을까?

선비는 그 해 과거시험을 보는 대신 도화서 시험을 봤다. 집안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도화서에 들어가 책가도 기법이 뛰어난 단원 김홍도의 제자로 직접 가르침을 받는 중이다. 선비는 몇 해가 지나 중국 사신행렬(연행사)과 함께 북경에 갔다. 북경에서 책가도의 기원인 다보각경(多寶各景)을 직접 본다. 선비의 열정에 탄복한 정조의 지원으로 중국 화공과 서양 선교사들과 함께 다보각경의 영향을 준 르네상스시대 이탈리아 귀족의 작은 서재였던 스투디올로(studiolo)’와 스투디올로에서 독일, 영국, 프랑스 등으로 전파된 호기심의 방까지 오게 된 것이다. 선비는 작은 자신의 방에서 남몰래 꿈꿔왔던 모든 것이 눈앞에 펼쳐지자 놀라움을 감출 수가 없다. 눈과 입이 벌어져 다물어지지 않는다. 또 다른 그림의 세계다. 이런 세계가 있으리라곤 생각조차 못했다. 상상했던 것 이상이다. 그저 놀라고 또 놀랄 뿐이다. 꿈을 이룬 것이 꿈만 같다. 꿈을 이루게 해준 정조 임금에게는 들리지 않겠으나 속으로 성은이 망극하옵니다.’를 연신 외치고 있다.

 

갑자기 빛이 없어졌다. 사방이 암흑이다. 깜짝 놀라 선비는 사방을 두리번거린다. 아니, 여긴 선비의 방이다. 밤이 깊었고 방을 밝히던 촛불이 열어둔 창으로 들어온 바람에 꺼진 것이다. 선비는 책가도를 보다 잠이 들었나 보다. 잠에서 깬 선비는 창을 닫고 촛불을 다시 켜며 꿈을 생각한다. 허망함보단 기필코 도화서에 들어가리라는 맘이 더 커진다. 밖에서 부인이 그만 잠자리에 드시라 권하는 소리가 들린다. 그러마고 대답하며 선비가 일어선다. 방을 나서며 아쉬운 눈길로 책가도를 돌아본다. 선비가 방을 나서는 순간 책가도는 계속 봐달라는 듯 빛을 낸다. 선비의 발소리가 멀어지자 그 빛마저 사그라진다.

IP *.124.22.184

프로필 이미지
2017.06.05 10:07:18 *.75.253.254

이런 설정 너무 좋아요.. ㅠ

 

예전에 남가태수전이라는 소설을 본 적이 있는데, 호접몽이랑 비슷한 소재로 깨어보니 꿈이었다.. 라는 내용인데, 남가태수전은 허무함이나 인생이 덧없다는 내용으로 끝이 나는데 이 칼럼은 왠지 저 젊은 작가가 꼭 책가도를 완성할 것 같은 느낌이 드네요. 느낌이 좀 달라요!

 

그리고 마지막에 선비가 방에서 나서며 책가도가 빛을 낸다는 것이 영화에서 나올 법한 장면 처리 같아서 더 좋았어요. 선비의 등이 보이고, 선비는 멀어지는데, 정면에서 보이는 책가도 에서는 계속 조그만 빛이 난다..

 

아니 대체 이런 소재는 어떻게 생각하신건가요???

프로필 이미지
2017.06.05 18:44:20 *.124.22.184

처음엔 그냥 도화서 들어가 화가로 살아간다는 걸로 하려다 그러기엔 너무 현실성이 없어서 생각한게 꿈이었어. ㅎㅎㅎ 마지막도 그냥 끝내기엔 좀 아쉽더라고.  책가도 하나로 시작했는데 쓰다보니 이리되네. 전혀 다르게 함 써봤는데 나도 재밌었어.

프로필 이미지
2017.06.05 12:52:14 *.226.22.184

줄탁동시(啐啄同時)는 생명과 생명으로만 연결된게 아닐 듯해요. 어쩌면 돌에도 혼이 있을 거란 말처럼, 바램에도 인연이 뭉쳐지는거 아닐까 생각들었습니다.

프로필 이미지
2017.06.05 18:45:18 *.124.22.184

그렇죠. 무생물에도 영혼을 불어넣을 수 있는게 글 쓰는 사람의 특권이죠.

프로필 이미지
2017.06.05 13:29:36 *.146.87.22

호오!! 새로운 컨셉의 칼럼입니다. 이 전의 웨버님 칼럼과는 완전히 다른데요?

고전 소설을 읽는 것 같기도 하고. 영화의 한 장면을 묘사한 듯한...

그리고 그 속에 담은 메세지까지^^


현장감도 있고 끝까지 긴장감도 있고 너무 재미있습니다!!


개인적으로 이 다음 얘기가 있었으면 하는 바람이 있네요 ㅋㅋㅋ

너무 궁금해져요. 선비는 잠자리에 들었을까? 아니면 허무함을

달래기 위해 기방을 갔을까? 등등 ㅋㅋ

프로필 이미지
2017.06.05 18:47:36 *.124.22.184

그 다음이야기는 생각안해봐서 모르겠는데... ㅋㅋㅋ

선비의 성격에 따라 다르겠지만 몰래 그림을 모사하는 선비라 기방으로 가진 않았겠지?

그림에 대한 열망으로 잠을 설쳤다 정도~

이거 쓰면서 '소설을 함 써봐.' 했다니까. ㅋㅋㅋ

프로필 이미지
2017.06.06 07:40:02 *.106.204.231

한바탕 꿈이었지만 선비는 행복했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몇번의 악몽외에는 꿈을 꿔 본적이 없는 저로서는 선비가 부럽네요. 뭔가를 절실히 원하면 저리되는거겠지요.

프로필 이미지
2017.06.07 06:38:12 *.124.22.184

그 시대에도 저런 생각과 열망을 가진 선비가 있지 않았을까 싶었어요. 제 생각에...

저도 그런 사람 중 하나였을 수도 있구요. ㅎㅎㅎ

프로필 이미지
2017.06.07 01:16:43 *.222.255.24

'책가도', 전 처음 들어봤는데, 생소한 소재로 이런 훌륭한 글을 쓰셨네요. 

조선시대에 실존했던 인물을 바탕으로 쓰신 글인줄 알았어요. 

정말 소설가로 전향하셔야 되는 거 아닙니까..? ㅋㅋ 

프로필 이미지
2017.06.07 06:39:19 *.124.22.184

그쵸? 나도 내 안에 소설가의 소질이 있는 줄 첨 알았어요. 이러다 시나리오도 쓸 수 있겠다는 긍정의 착각을 했다니까요. ㅋㅋㅋ

프로필 이미지
2017.06.08 20:56:52 *.44.162.136

탐나는 시도이자 형식이네요~ ㅎ 갑자기 흉내내고 도전해 보고 싶어지는데요 ^^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72 [칼럼#6] 꿈에서 걷어 올린 물고기 한 마리 (윤정욱) [5] 윤정욱 2017.05.29 1465
571 [칼럼 #7] 후불제, 할부가 되나요? (이정학) [12] 모닝 2017.05.29 1462
570 사랑할 수 있어서 비로소 사랑스러운 존재가 된다 [8] 송의섭 2017.05.29 1320
569 # 6 커피이야기 [6] ggumdream 2017.05.29 1369
568 <칼럼 #6> 우리는 모두 콩나물이다 - 장성한 file [11] 뚱냥이 2017.05.29 1376
» [칼럼 #7] 거위의 꿈(정승훈) file [11] 오늘 후회없이 2017.06.04 1319
566 [칼럼#7] 프라이탁 가방 (윤정욱) file [6] 윤정욱 2017.06.05 1999
565 #7 착각은 나의 힘_이수정 [12] 알로하 2017.06.05 1363
564 # 7. 커피 이야기 #2 [6] ggumdream 2017.06.05 1436
563 [칼럼 #8] 별걸 다 이야기해 주는 거울 (이정학) [11] 모닝 2017.06.05 1398
562 有言自遠方來 不亦樂乎(유언자원방래불역락호) file [12] 송의섭 2017.06.05 1293
561 <칼럼 #7> 지하철에 '한국화'를 그려보자 [15] 뚱냥이 2017.06.05 1467
560 칼럼#8 거인의 어깨에 올라간 자, 세상을 얻는다. file [8] 오늘 후회없이 2017.06.11 2455
559 <칼럼 #8> 작은 것은 큰 것을 작게 만든 것일 뿐 [5] 뚱냥이 2017.06.12 1429
558 칼럼 #8 용광로와 샐러드 볼 (다문화 사회의 이해) [2] 윤정욱 2017.06.12 6810
557 #8 살인을 하고 벗어나는 법_이수정 [3] 알로하 2017.06.12 1409
556 칼럼#8 부동산투자는 인(仁)하지 못하다?(이정학) [3] 모닝 2017.06.12 1402
555 인생 네비게이션을 펼쳐보다 [2] 송의섭 2017.06.12 1365
554 # 8. 커피 이야기 3 file [3] ggumdream 2017.06.12 1485
553 6월 오프수업 후기(정승훈) [4] 정승훈 2017.06.20 14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