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연구원

칼럼

연구원들이

  • 송의섭
  • 조회 수 1041
  • 댓글 수 2
  • 추천 수 0
2017년 6월 12일 11시 03분 등록

네비게이션이 도입되지 않은 시기에 운전을 해본 분들은 아시겠지만, 처음가는 모르는 지역으로의 이동은 여간 부담스러운 일이 아니었다. 가장 많이 택했던 방식은 지도를 펼친 다음, ‘대략 어디로 가서, 몇번 국도로 진입한 다음, 어느 이정표쯤에서, 어떻게 가야겠다.’라는 식으로 정리를 한다음 목적지에 도착하는 방법이었다. 그 다음으로 가장 많이 택했던 방법은 길을 아는분께 자문을 구한 후, 도로의 상황이나 그만의 노하우로 가는 방법이 있었고, 가장 Best는 뭐니 뭐니 해도 길을 아는 사람과 동행해서 목적지에 도착하는 방법이 최고였다.

그런 의미에서 네비게이션의 출현은 아주 유용했다. 가고자 하는 곳을 입력하기만 하면, 길이 자동으로 검색되었고, 혹여나 실수로 잘못된 길로 들어서면 곧장 재탐색하여 다시 길을 안내해 주니까, 안내만 잘 따라가기만 하면 가고자 하는 목적지에 도착하는 것은 시간 문제가 된 것이다. 어디 그뿐인가. 조금 빠른 속도로 달린다 싶으면 제한속도를 알려주기도 하고, 복잡하고 막히는 도로나 예상치 못한 사고의 소식도 빨리 빨리 알려주니까, (?)를 믿고 따르기만 한다면 어디든 틀림없이 도착하게 해 주는 운전의 필수품이 된지, 어언 10년이 되었다.

 

이번주는 공자님의 말씀, 「논어」를 읽었다. 책을 읽는 내내 사장님께서 예전에 하신 말씀, “평소에 그렇게 지루하던 공자님 말씀이 창업을 하니까, 그렇게 쏙쏙 박히더라가 머리속을 헤집고 다녔었다. 그런데 뭐라고 하셨었는지?’가 도무지 기억나질 않아, 이참에 정리할 요량으로 질문을 드렸더니 역시나 한 말씀 주신다.

어려움에 봉착해 보니까 사고의 틀이 흔들리고, 지혜가 숨고, 삶의 원리가 흔들리더라. 휘청거릴 때 중심이 필요한데, 그 중심을 공자님이나 맹자님께서 잡아주시더라.”

흔들림의 중심을 잡아주는 성현의 가르침. 그래 그거였다. 지식을 잡아 머리속에 마구 넣는게 필요했던게 아니라, 어디로 어떻게 가야할지 방향을 정리하고 출발하는게 중요했다는 말씀이었다. 살다보면 굴곡이 생기고, 길을 잃기도, 어려운 여건에 갈 수 밖에 없는 상황이 생기곤 하는데 그때 재탐색하는 방향키가 고전이었다고 일러 주셨다. 책을 읽는 동안 몇몇 부분에서 그때 그랬어야 했는데…’라는 뉘우침이 생기는 걸 보니, 사장님의 말씀이, 공자님의 「논어」가 삶의 네비게이션이 아닐까.’ 생각해 봤다.

 

길에 대한 신뢰가 있을 때, 우리는 안내에 스스로를 맡길 수 있다고 생각한다. 지금 보는 것, 읽는 글, 듣는 소리에 얼마만큼의 신뢰가 있을까?, 그 신뢰의 대상에 대해 얼마만큼의 실행능력을 가지고 있을까?’가 자꾸만 되뇌어 진다. 귀한 말씀 중 두 구절 정도가 마음을 떠나지 않고 있었는데, 반성이 되고 가야할 길에 대한 마음 닿음이라 생각하여 두구절을 옮겨본다. 페이지 218236에 있는 말씀.

     . 안으로 반성하여 꺼림칙하지 않다면 무엇을 근심하고 무엇을 두려워 하겠느냐?

    . 윗사람이 예()을 좋아하면 백성들은 감히 공경하지 않을 수 없고, 윗사람이 의로움을 좋아하면 백성들
      이 감히 복종하지 않을 수 없으며, 윗사람이 신의를 좋아하면 백성들이 감히 진정으로 행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얼마 전에도 회사식구들에게 고백한 내용이지만, 최근들어 이(利)와 득(得)에 많은 부분을 골몰 했었다. 틀린건 아니었지만, 마음이 편치 않았었는데, 그건 나아진 것 없이 관계만 각박해 졌었기 때문이었다. 후배들도 이(利)와 득(得)의 관점에서 나를 바라보고 있었다는데 문제가 생기고 있었다. 누굴 탓하겠는가?
어느덧 2017년도 반절이 지나가고 있다. 곧 사업 반기 결산을 할 것이고, 결산을 통한 재탐색의 시기가 다가오고 있다. 과거의 경우, 살아야겠다는 명분으로 숫자만으로 길을 모색한게 사실이었는데, 이번에는 조금은 다르게 길을 모색해 볼 참이다. 사람을 들여다 보고, 함께 가는 길에서 우리의 네비게이션으로 길을 나설 생각이다. 그리고 스스로에게 물어, 공자님 말씀에 꼭 하나 대답해 볼 참이다.

 

안으로 반성하여 꺼림칙하지 않다면 무엇을 근심하고 무엇을 두려워 하겠느냐?

 

 

 


IP *.226.22.184

프로필 이미지
2017.06.12 11:17:48 *.124.22.184

네비게이션이 이렇게 활용하셨군요. 전 나중에 다른 글에 소재로 쓰려고 keep해 놨는데... ㅎㅎㅎ

논어가 사람마다 읽는 시기마다 다르다는 거, 그래서 고전이 될 수 있는 거겠죠.

프로필 이미지
2017.06.12 14:10:30 *.146.87.11

정말 공감합니다. 공자님의 말씀이 삶의 이정표가 되는 것 같아요.

물론 너~~~무 유교적인 부분을 빼고는 지금을 살아가는 사람들,

특히 위정자들이 반복해서 읽고 그 의미를 되새기며 국민들을

생각해 주었으면 합니다. 우리는 따라갈 생각이 있으니까요 ㅋ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112 어제보다 나은 식당(28) - 밥보다 술을 팔아야 남지 박노진 2006.07.04 5423
5111 어제보다 나은 식당(29) - 싼 맛에 교포 아줌마 쓴다고? [1] 박노진 2006.07.04 6055
5110 어제보다 나은 식당(30) - 모든 것은 고객의 요구에서 시작된다. 박노진 2006.07.05 4436
5109 어제보다 나은 식당(31) - 행복한 직원, 만족한 고객 박노진 2006.07.06 5066
5108 어제보다 나은 식당(32) - 먼저 주어라, 그것도 왕창 퍼 주어라 박노진 2006.07.06 4925
5107 어제보다 나은 식당(33) - 홍보, 입소문이 최고야 박노진 2006.07.06 4761
5106 My First Book 내용 전개 ver 0.5 file [1] 정경빈 2006.07.07 5158
5105 어제보다 나은 식당(34) - 종업원들을 인간적으로 대해주어라.(1) 박노진 2006.07.12 4369
5104 어제보다 나은 식당(35) - 당신만의 무엇, 그것을 찾아라 박노진 2006.07.12 4784
5103 어제보다 나은 식당(36) - 행동은 말보다 크게 울린다 박노진 2006.07.12 4719
5102 어제보다 나은 식당(37) - 계획된 투자, 1년의 고통 박노진` 2006.07.13 5008
5101 어제보다 나은 식당(38) - 식당비즈니스에 관한 꿈 1(꿈의 법칙) 박노진 2006.07.17 5199
5100 어제보다 나은 식당(39) - 식당비즈니스의 꿈 2(장점과 단점을 살려라) 박노진 2006.07.17 4536
5099 어제보다 나은 식당(40) - 식당비즈니스의 꿈 3(미래의 법칙) 박노진 2006.07.17 4533
5098 어제보다 나은 식당(41) - 식당비즈니스의 꿈 4(시간의 법칙) 박노진 2006.07.17 4592
5097 어제보다 나은 식당(42) - 프롤로그 1 박노진 2006.07.19 4211
5096 어제보다 나은 식당(43) - 프롤로그 2 박노진 2006.07.19 4419
5095 어제보다 나은 식당(44)- 프롤로그 3 박노진 2006.07.19 4098
5094 어제보다 나은 식당(45) - 프롤로그 4 박노진 2006.07.19 4127
5093 어제보다 나은 식당(46) - 프롤로그 5 박노진 2006.07.19 36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