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 정재엽
  • 조회 수 2058
  • 댓글 수 0
  • 추천 수 0
2017년 7월 5일 09시 23분 등록


[일상에 물든 그림]

 

- 폴 고갱 <이아 오라나 마리아>


741047024_323ff713_ga_8.jpg

 

제가 뉴욕에서 공부를 할 때, UN에서 인턴으로 근무한 적이 있습니다. 그때 같이 근무했던 친구로부터 편지가 왔습니다. 그 친구는 타히티에서 온 친구였습니다. 지금은 UN에서 승승장구하면서 일하고 있지만 당시만해도 낯선 국가에서 온 친구가 유독 저와 친하게 지냈습니다. 거의 10년 만에 온 편지. 편지를 열자, 고갱의 그림이 담긴 엽서가 한 장 담겨있었습니다.

 

안녕? 난 지금 뉴욕의 메트로폴리탄 박물관에 있어. 네가 좋아하던 고갱의 <Ia Orana Maria>라는 그림이 전시되었길래 갑자기 네 생각이 나서 보낸다! 모든 것이 빠르게 지나가는 이메일과 SNS시대, 이 편지가 무사히 도착했으면!“

 

고갱이 그린 <이아 오라나 마리아>마리아에게 축복을이라는 뜻의 마오리족의 말이라고 합니다. 풍요로운 숲 속에 서 있는 붉은 옷의 여인은 다름 아닌, 성모 마리아입니다. 무등을 탄 아이는 아기 예수로, 두 여인이 성모와 예수를 경배하며, 두 손을 맞잡은 타히티식 기도를 하고 있습니다. , 낯선 풍경이죠? 그 뒤로는 노란 날개를 단 천사가 이들을 인도하고 있습니다. 그 앞에 놓인 형형색색의 열대과일은 아기 예수께 바치는 정성어린 제물입니다. 꽃과 자연이 자아내는 화려한 문양과 색채는 그림 전체를 끝없는 율동으로 이끌며 원시 자연을 향해 가졌던 화가 고갱의 성모 마리아에 대한 경이로움을 잘 표현합니다.

 

타히티 시절의 거작 중 하나인 <이아 오라나 마리아>라는 그림은 지금은 고갱의 대표작으로 꼽습니다. 하지만 성서와 토속신앙을 결합을 철저히 금지했던 유럽의 보수적인 신앙인들은 이 작품을 야만으로 치부했습니다.  고갱이 내던 자신만의 강렬한 목소리는 늘 문명과 불화를 일으켰습니다. 그러나 그는 누가 뭐라하건 원시적 삶속에 담겨있는 존재의 근원을 집요하게 화폭에 담아냈습니다.

 

지난주 아일랜드에서는 인도 뭄바이 태생의 이민자의 아들 버라드 커가 인도인 2세로는 최초로 총리가 되었습니다. 38. 역대 최연소 총리이면서 게이입니다. 세르비아에서는 지난주 차기 총리로 브르나비치가 지명되었고 레즈비언입니다. 이제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스페인, 네덜란드의 '국방장관'이 모두 여성입니다. 그 나라들은 원래 소수자 인권들이 원래 높았을까요? 아닙니다. 아일랜드는 원래 가톨릭이 사실상 국교인 나라였습니다. 게이총리는 몇 년 전까지만 해도 상상도 못 할 일이었습니다. 버라드 커는 말했습니다.

 

나는 반쪽 인도계 정치인도, 의사 정치인도, 게이 정치인도 아니다. 그 모든 것들이 나를 구성하지만, 나를 규정하지는 않는다

 

세르비아는 국민의 85%가 동방정교입니다. 그는 동성애 혐오증이 만연한 발칸 지역의 첫 동성애자 총리이자 세르비아 최초의 여성 총리직을 수행하게 되었습니다. 세상에 원래 그런 것은 아무것도 없습니다. 기존 질서를 유지하려는 힘을, 변화하고자 하는 힘이 넘어서면 그때 사회는 한 발자국씩 진화하게 되는 것이죠. 원래 그런 것은 없다는 것을 매일 깨닫는 요즘이 되었으면 합니다. 타히티의 토속 신앙을 강렬한 색채로 그려낸 성모마리아와 아기예수의 성스러움을 자신만의 목소리로 그려낸 고갱의 그림처럼 말이죠.

 

저도 그 친구에게 오늘 그림 엽서를 띄워야겠습니다.

 

내가 강한 이유는 결코 남들에 의해 흔들리지 않고 내 안에 있는 것을 하기 때문이다.”

- 폴 고갱


 

정재엽 (j.chung@hanmail.net) 드림

 

IP *.215.23.91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216 내안에 들어온 그대 書元 2015.04.17 2107
2215 저 꽃을 누가 피라 했나? 김용규 2015.04.02 2108
2214 [변화경영연구소] [월요편지 39] 다 때려 치우고 싶은 마음 [1] 습관의 완성 2020.12.21 2109
2213 챔피언과 칼잡이의 차이 [2] 한 명석 2014.11.05 2115
2212 [알로하의 두번째 편지] 깨져야만 알게 되는 것들 file 알로하 2021.01.10 2121
2211 나는 중산층입니다 [3] 차칸양(양재우) 2014.10.28 2122
2210 [용기충전소] 여행은 삶을 바꿔주지 않는다, 다만 file [1] 김글리 2020.12.11 2122
2209 현실인식의 비결 하나 연지원 2015.03.30 2123
2208 "너의 별은 어디에 있니?" [1] 차칸양(양재우) 2015.04.07 2123
2207 노안을 겪으며 알게 되는 이치 김용규 2015.03.26 2126
2206 올라갔으면 내려와야 합니다 書元 2015.03.20 2128
2205 정말 그대로일까? 박미옥 2014.10.09 2129
2204 [화요편지]요가, 몸으로 그리는 신화 file 아난다 2020.12.08 2140
2203 중년 부부 사랑 재생법, 4편 차칸양(양재우) 2016.05.17 2142
2202 마흔다섯번째 편지 - 1인 기업가 재키의 몰입 file 재키제동 2016.03.11 2143
2201 자기 고유성을 확보하기 위해 마주하는 과정 김용규 2015.03.12 2161
2200 스물두번째 편지 - 1인 기업가 재키의 결혼기념일 재키제동 2015.09.25 2168
2199 무엇이 인문학 공부인가 연지원 2015.03.02 2171
2198 좋은 삶이란 무엇인가? [3] 김용규 2015.05.29 2177
2197 숲의 길을 보며 사람의 길을 생각하다 김용규 2015.01.22 21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