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연구원

칼럼

연구원들이

  • 모닝
  • 조회 수 1034
  • 댓글 수 3
  • 추천 수 0
2017년 7월 10일 08시 23분 등록


결혼하기 전 수술을 한적이 있었다. 멀쩡해 보이던 사람이 갑자기 수술을 한다고 하니 당시 눈코 좀 고쳐서 연예계에 데뷔하려는 거냐는 흉흉한 놀림이 있었지만 그런 건 아니었다. 정말로 아파서 무릎 수술을 했다. 예전에 다쳐서 인대가 끊어진 것을 모르고 살다가 이상해서 검사를 해보니 이미 인대가 끊어졌다고 한다. 인대는 재생도 안되어서 새로 만들어 넣어야 한다는 당시로서는 청천벽력과도 진단을 의사 선생님의 감기 같은 병에 왜 이리 놀라는 표정 속에서 전해 들었다.


이것 저것 다시 알아보았으나, 결국 몇 달 뒤 무릎에 나사를 박아서 아킬레스건을 새로운 인대로 사용하는 수술을 받았다. 예전 같으면 참 큰 수술이었다고 하는데 의술의 눈부신 발달로 인하여 정말 간단한 수술이 되었다고 한다. 물론 의사선생님의 입장에서 한 말이다. 지금도 환자 입장에선 간단하진 않다. 수술시간은 한 시간도 안 걸리지만 전신마취에 그 후로 거의 5개월을 목발이며, 보호대를 하고 다녔으니 말이다. 병원에서도 대략 10일 가량을 입원에 있었던 것 같다. 병원에 누워 있으니 사람이 멍해지기도 하고 뭔 지 모르게 더 힘든 거 같은 느낌이었다. 병원이 환자를 만든다는 말이 조금은 이해가 되었다. 그런데 병원에 누워 있으니 할 일도 없고, 여기 저기 둘러보게 되었다. 병원 안을 간단히 산책하고 여러 병동을 돌아보면서 세상엔 아픈 사람들이 참 많구나~!란 생각이 들었다. 그러면서 갑자기 미움, 질투, 사랑, 못된 성질, 시기, 화 등등. 이런 것도 수술로 고칠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란 생각이 들었다. 몸에 생기는 병 뿐만 아니라 마음의 병도 고칠 수 있다면 어떨까 하는 상상 말이다.

"
의사선생님 저 누구누구가 너무 밉고 화가 나요!! 고쳐주세요."
"
하하 그런걸로 고민하셨어요. 걱정마세요. 그건 제가 전문이니까요. ~ 누우세요."
"
~~선생님 정말 미움이 싹 없어졌어요."
"
그럼요. , 이 수술에 단점은 너무 센 약을 써서 그 사람과 사랑에 빠질 수 있는 부작용이 있으니 조심하세요.”


 


좋지 않을까? 그럼 이세상은 전쟁, 다툼, 분쟁, 이런 것들이 없는 완벽한 세상이 될 수 있을 텐데 . 인간 사회가 서로 다툼과 한치의 오류가 없는 톱니바퀴처럼 운행되는 완벽한 세상”.


그런데, ‘완벽이란 이 단어, 완전무결하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는 이 단어, 과연 정말 현실 가능한 단어인가? 사실 완벽이란 우리 인간의 환상 속의 개념일지 모른다. 물론 물리학적 현상이나 자연 현상에서 완벽이란 개념이 존재할 수는 있을 것이다. 그러나 과연 인간 세계에선 완벽이 존재할 수 있을까? 영화 메트릭스에서는 매트릭스란 인간의 정신세계를 조정하기 위한 완벽한 컴퓨터 프로그램이지만 이상하게도 1%의 오류가 생긴다고 한다. 그 알수 없는 오류조차 기계들은 정복하기 위해서 주인공인 네오와 같은 변종 바이러스 같은 것을 이용한다는 것이다. 인간은 메트릭스 속에서 완벽하게 생존할 수 있음에도 1%의 오류가 발생한다는 것이다. 즉 주인공인 네오 조차 오류를 막기 위한 프로그램의 일종이라는 충격적인 진실이 영화 속에 나온다. 이는 어떻게 보면 완벽이란 우리의 상상 속에서만 가능한 것이라는 사실을 우회적으로 보여주는 것이 아닌가 싶다. 그리고 역설적으로 모든 것을 고칠 수 있다면 오히려 그것이 우리 인류에게 재앙이 될 수 있지 않을까?



다시 한번 상상해 본다.

"
의사선생님, 저 이 사람이랑 헤어질래요 저 사람 사랑하지 않게 해주세요."
"
문제없어요~자 이쪽으로 오세요"

"
의사 선생님... 좀더 마음이 너그러운 사람이 되고 싶어요.. "
"
~~ 그 정도야 문제없어요. 아주 간단한 수술이에요 "

"
의사선생님, 이 사람 사랑하게 되는게 가능할까요 "
"
오브 코스~~ 1분이면 되요. 정말 초 간단 수술이에요 "


생각만해도 어딘 지 어색하고 우리 인류에게 축복이기 보단 재앙을 가져올 것만 같다. 인간은 어떤 면에서 보면 모순 덩어리이다. 도무지 이해가 안 되는 부분이 존재하며 자기 자신도 이해할 수 없는 내면 속에 가려진 부분이 누구에게나 있다. 그렇기 때문에 불완전한 존재이다. 그러나 인간이 가진 불완전한 요소를 보완하고자 한다면, 그 보완된 세계를 상상해 보면 또 뭔가 모순되는 상황이 발생하는 것 같다. 역사적으로 많은 이들이 불로장생영원한 삶을 꿈꾸고 노력해왔다. 그러나 정말 인간이 영생의 삶을 산다면 행복한 삶이라고 할 수 있을까?


세상은 그렇게 조금은 아쉬운 데로 약간의 모자람에 대한 안타까움에 그 나름대로의 멋이 있는 것 같다. 다 고칠 수 없는 모순 덩어리의 우리 인간, 이것이 인간이 가진 매력이자 축복이 아닐까 싶다.



IP *.129.240.30

프로필 이미지
2017.07.10 15:11:31 *.226.22.184

외계인들이 지금 지구인을 납치해서 실험중이라 들었소!

프로필 이미지
2017.07.10 15:42:01 *.18.218.234

그 의사를 내면으로 초대하면 해결되는 문제인데 그 내면에의 초대가 힘들다는 ㅋ

나에게도 오브 코스~하는 의사가 있으면 좋겠다('오브 코스'가 무슨 코스인가 했네요).

유발 하라리 인터뷰를 보면 명상을 그 해답으로 넌지시 권하는 거 같더만.


프로필 이미지
2017.07.10 17:34:40 *.106.204.231

모순속에서 살고 있고 그것을 받아들일수 밖에 없지만 정말로 착하게 살았는데 남에게 해코지 안하고 살았는데 슬픔과 고통속에 살아가는 어려운 이웃을 보면 그들에게만은 정말 뭐든 고쳐줬으면 좋겠습니다.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152 노동과 경영 12회 - 노동시간의 리엔지니어링(2) 박노진 2006.02.22 5130
5151 노동과 경영 13회 - 한국형 생산방식, 그 가능성을 찾아서(1) 박노진 2006.02.24 6150
5150 노동과 경영 14회 - 한국형 생산방식, 그 가능성을 찾아서(2) 박노진 2006.02.24 5272
5149 노동과 경영 15회 - 한국적 생산방식, 그 가능성을 찾아서(3) 박노진 2006.02.25 6306
5148 노동과 경영 16회 - 제조업의 진정한 혁명, 포드생산 시스템 박노진 2006.02.25 8363
5147 노동과 경영 17회 - 도요타 생산 시스템 박노진 2006.02.27 11672
5146 노동과 경영 18회 - 말콤 볼드리지 국가품질상과 식스 시그마 [1] 박노진 2006.02.27 8653
5145 노동과 경영 19회 - 한국적 생산방식, 그 가능성을 찾아서(4) : SLIM system 박노진 2006.03.04 7516
5144 노동과 경영 20회 - 한국형 생산방식의 가능성(5) 박노진 2006.03.16 4983
5143 연구원 과제 <My First Book> file 정경빈 2006.05.17 5411
5142 내가 쓰고 싶은 첫 번째 책 조윤택 2006.05.23 6128
5141 -->[re]내가 쓰고 싶은 첫 번째 책 file 강미영 2006.05.24 5939
5140 발표자료 file 박소정 2006.05.26 5371
5139 식당 비즈니스의 목적 박노진 2006.06.05 5410
5138 소스는 직접 개발하고 만들어야 한다 박노진 2006.06.05 4933
5137 세금관리, 모르면 그만큼 손해 본다 박노진 2006.06.06 6804
5136 식당의 자산은 맛과 서비스뿐이다 [2] 박노진 2006.06.07 5177
5135 어제보다 나은 식당(5) - 고객의 불평과 불만 박노진 2006.06.08 5359
5134 어제보다 나은 식당(6) - 음식의 트렌드, 퓨전과 웰빙 박노진 2006.06.08 7250
5133 어제보다 나은 식당(7) - 돈은 종업원이 벌어다 주지 사장이 버는 것은 아니다 박노진 2006.06.08 49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