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연구원

칼럼

연구원들이

  • 송의섭
  • 조회 수 1021
  • 댓글 수 0
  • 추천 수 0
2017년 7월 18일 11시 01분 등록

지난번 오프수업때 발표한 내용처럼, 변경연의 과정은 글쓰기와 변화의 과정만을 다루는 곳이 아니었습니다. 같이 놀아 가며, 서로를 알아가고, 그 안에서 나를 찾고, 마침내 스스로가 되는 과정이란 걸 이제서야 깨닫습니다. 저는 누구보다 먼저, 과정을 포기하려 했습니다. 이유는 단하나. '힘들다'  였습니다. 회사 일들과 집안 일들, 그 안의 변경연 과정은 절대적인 시간의 부족과 정신적인 괴로움, 소홀함을 내포했고 여러갈등에 갈등을 불러 일으키더군요. 처음에는 다 할 수 있을 거라 생각 했었는데 그건 이상적인 욕심이었음을 알았습니다. 그렇지만 저는 버티고 있습니다. 몇주전까지는 무작정 버텼습니다. 그렇지만 지금은 모드가 조금은 바뀌어 굳건히 '해내고' 있는 중입니다. 어떤 분이 이런말씀을 하시더군요. " 안하면 그만인것을 뭐하러 버티면서까지 하냐? " 라고. 제 이유는 이렇습니다

 

첫번째, 지나간 시간을 돌이켜보니 8명의 멘토가 눈에 들어오더군요. 그들의 환경과 지식과 사상과 이야기와 말투를 만나면서 그들을 따라 다녔습니다. 따라 다니다 가랭이 찟기기도하고, 숨이 가빠서 보냈다가 한걸음에 달려가기도하고, 끝끝내 못 쫓아 가기도 했습니다. 이만큼 지나와 생각해 보니 따라갈게 아니라, 멘토들과 끝까지 대화를 했어야 했는데…’라는 아쉬움이 남더군요. 대화가 필요한데 뭔가를 얻어보겠다는 막연한 생각만 있었던거 같습니다. 이제는 대화에 집중해 보려 합니다. 그러니 계속 가봐야죠. 지난 시간 만났던 멘토들은 아래와 같습니다.


00001.JPG

 

두번째, 동기들이 조금 더 눈에 들어오기 시작했습니다. 제 동기들은 각각의 자리에서 참 대단한 능력자들 입니다. 이번 오프수업때도 느낀거지만 내가 이들 틈에 끼여 있어서 정말 행운이야라는 생각을 가졌습니다. 그리고 회를 거듭할수록 흩어놓은 보물을 하나씩 찾는 기분입니다. 이번 7월 오프수업은 속된말로 대박 이었습니다. 제 안에 반짝이도록 들어왔던 보물들은 따뜻함, 변화, 노력, 함께함이었습니다. 수업 때 취하다가 나중에 결국 취해 버렸습니다.

 

시간이 가면서 멘토와 보물은 더 늘어날 거 같습니다. 변경연을 시작하지 않았거나 중도포기 했다면 귀중한 든든함이나 동기들과의 우정, 시간안에서의 느낌표는 적었을 것입니다. '인생 총량의 법칙'이 있다고 그러는데, 저는 여기서 채울 작정입니다. 하나하나 느낌표를 쌓아가면서 말이죠.
어린시절 배운 노래 하나가 있습니다. 가사가 어렴풋 하기는 한데 첫소절이 이렇습니다. 노래 제목은 ‘보물찾기’ 입니다. 
우리들 마음속에 숨겨놓은 사랑과 우정을 만나는 사람들 마다 모두 나눠 보아요

 

앞으로 그렇게 해 볼 참입니다.


00002.JPG

 

 

 

IP *.226.22.184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172 전략적 인적자원관리 1 [1] 박노진 2005.10.11 12822
5171 전략적 인적자원관리 2 박노진 2005.10.16 10342
5170 인적자원관리 부문의 향후 과제 박노진 2005.10.27 6436
5169 한국인과 숫자 3 [1] 오세나 2005.10.27 8660
5168 직장의 미래 모습 박노진 2005.10.28 5903
5167 직장인의 미래 모습 [1] 박노진 2005.10.28 6977
5166 디지털 시대의 인재상 박노진 2005.10.28 6270
5165 핵심인재가 되기 위한 방법론 박노진 2005.10.28 6095
5164 최강 노동자가 만든 도요타 박노진 2005.11.30 7051
5163 노동과 경영 1 박노진 2006.02.16 4888
5162 노동과 경영 2 박노진 2006.02.16 4668
5161 노동과 경영 연재 3회 - 생산성 향상으로 나타난 시장의 현실(3) 박노진 2006.02.17 5359
5160 노동과 경영 연재 4회 - 노동절약기술의 발전과 노동운동의 아이러니한 동거 박노진 2006.02.17 5372
5159 노동과 경영 연재 5회 - 자동화에 대한 미국노동운동의 대응과 결과 [1] 박노진 2006.02.19 4980
5158 노동과 경영 연재 6회 - 포스트포디즘 [1] 박노진 2006.02.19 6620
5157 노동과 경영 연재7회 - 블루칼라의 종말 박노진 2006.02.20 5874
5156 노동과 경영 연재 8회 - 서비스부문의 현실 박노진 2006.02.20 5257
5155 노동과 경영 연재 9회 - 첨단 기술의 승자와 패자 박노진 2006.02.21 5249
5154 노동과 경영 연재 10회 - 린 생산방식에 대한 상반된 평가 박노진 2006.02.21 7692
5153 노동과 경영 11회 - 노동시간의 리엔지니어링(1) 박노진 2006.02.22 53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