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연구원

칼럼

연구원들이

  • 송의섭
  • 조회 수 1051
  • 댓글 수 1
  • 추천 수 0
2017년 7월 31일 11시 33분 등록

2주간 고운기 작가의 삼국유사를 읽었습니다. 더 정확히 말하자면 『일연』의 삼국유사입니다. 책이 좀 두껍습니다. 750페이지 가까운 대장정이니까요. 책을 읽는 내내 이런 생각이 들더군요. 일연스님께서는 '왜 삼국유사를 쓰셨던 것일까?, 이 책은 현재와 어떤 연관성을 가지고 있을까?’

 

먼저 삼국유사를 쓰신 이유를 살펴보겠습니다. 책에서 어느정도 일연스님의 마음을 엿볼 수 있었지만, 이곳 저곳을 찾아보니 대략의 결론이 이렇더군요. '13세기 무렵 외세의 침입으로 국토는 파괴되었고, 백성들은 회복되지 않은 농지와 수탈의 고통에서 절망의 나날을 보내고 있었는데, 이를 위로하고 민족적 자부심과 자긍심으로 다시 일어 설 수 있는, 힘과 용기를 부여하고자 삼국유사를 섰다' 라고 합니다. 선뜻 이해가 되질 않았습니다. '민족적 자부심과 자긍심을 안다고, 과연 스스로 다시 일어설 수 있는 힘이 생기는 것일까?' 라는 의문이 남았으니까요.

문득 이런 생각이 들더군요. '지금의 회사가 어렵다고 해서 그만두고 다른 곳으로 옮길 것인가? 아니면 힘을 합해 어려움을 극복할 것인가?, 우리는 왜 지금을 극복하려 하는 것일까?'

함께 살기 위한 우리라는 합심(合心), 무엇보다 필요했던 시기였을 것입니다. 제 언어로 옮기고 나니, 약간 정리가 되는 느낌입니다. 저도 10년전 쯤 동료들과 어려움을 건너온 경험이 있어서 슬쩍 비추어 보았습니다. 다른 이의 의도가 잘 보이지 않을 때, 내안의 언어로 정리하면 정확치는 않아도 근접은 하는 모양입니다.

지키고 싶은 것을 지키기 위해, 정신적 역량과 정체성을 다시 세울 무언가가 필요했을 때, 스님께서는 「삼국유사」를 기술하셨을 것입니다. 역량의 집중과 결속은 마음이 갈 길을 정해주더군요. 존재의 이유와 가야할 길. 아마도 큰 틀은 그 안에 있으셨을 듯 합니다.

 

이어서 두번째. 삼국유사가 갖는 현재와의 연관성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고운기 작가님의 인터뷰에서 힌트를 얻어 봤습니다. 삼국유사속에서 우리에게 부족한 컨텐츠를 뽑아오고, 오늘날의 새로운 미디어와 접합하는, 그래서 일연도 살리고 우리의 컨텐츠도 살리는…”

과거와 현재를 이어주는 융합에 있을 거 같다는 결론입니다. 과거를 스토리로 보고 현재의 재해석을 통한 새로운 미디어로의 진화를 꾀하자는 것입니다. , 스토리를 캐릭터로 일으키는 일이나, 온라인게임, 뮤지컬, 애니메이션등 다채로운 스토리텔링이 가능한, 지금의 컨텐츠 부족분을 매꿔 줄 Creative요소로 삼국유사의 기여는 분명 있을 거 같다는 생각입니다. 찾아봐야죠. 일을 찾아내는 건 보이는 자의 몫이니까요. 그래서 최종적으로 정리를 해보면 삼국유사는 민족적 자부심 뿐만이 아니라, 문화 컨텐츠로서의 잠재성을 내포한 우리 정신문화의 보고(寶庫)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본격적인 휴가철로 들어서는 시기입니다. 산과 바다로 일상을 떠나는 것도 괜찮겠지만, 인문학 여행이라는 테마로 삼국유사속 역사기행은 어떠신지요?’

역사속 일연스님과 대화도 해보고, 지금 나아가야 할 길에 관해서도 한번 생각해 봄직 해서 말씀 드렸습니다. 제 자녀가 조금 더 자라면, 지도책 펼쳐들고, 빼곡한 메모에 사진기 둘러매고 역사여행 다니며, 글도 쓰고 사진도 찍어볼 참입니다. 삶이 더 풍요로워 질 거 같습니다.

 

깊어가는 여름, 건강 챙기시고 더욱 풍성해 지시는 하루 하루 되시길 기원드립니다.

좋은 하루 되십시오~

 

 

 

IP *.226.22.184

프로필 이미지
2017.07.31 12:32:18 *.124.22.184

일연의 삼국유사를 현재로 소환시켰네요. 대단해요. 난 맘에 안든다고 투덜대기만 했는데...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952 [칼럼 17] 나에 대한 브레인스토밍 [7] 海瀞 오윤 2007.07.09 3601
4951 [칼럼017] '강점'이 화장실에 빠진 날! [10] 香山 신종윤 2007.07.10 2968
4950 (018) 나는 정상일까? [9] 校瀞 한정화 2007.07.12 3074
4949 (18) 역사속 영웅들과의 대화 - 옹박편 [1] 박승오 2007.07.14 3088
4948 [칼럼 18] 눈물 흘릴 줄 아는 마음 좋은 현명한 실천주의자 [2] 海瀞 오윤 2007.07.15 2503
4947 (18) 그들에게 물었다. [3] 香仁 이은남 2007.07.15 2259
4946 (018) 방황하는 젊은이 따듯한 영웅들을 만나다 校瀞 한정화 2007.07.15 2192
4945 [칼럼18]일장춘몽 [2] 素田최영훈 2007.07.16 2344
4944 [칼럼 18] 21세기에 나누는 역사 속의 위인들과 대화 송창용 2007.07.16 2369
4943 위인과 함께 산티아고를 걷다. [1] 최정희 2007.07.16 2323
4942 -->[re](018) 4人4色 : 낙서 [4] 한정화 2007.07.17 2575
4941 (17) 네 인생을 껴안고 춤을 춰라 [8] 素賢소현 2007.07.17 2792
4940 [칼럼018] 영웅들에게 길을 묻다. [2] 香山 신종윤 2007.07.17 2196
4939 [18] 4人의 사내들과의 은밀隱密한 대화 [2] 써니 2007.07.17 2395
4938 (18) 내 안의 그분들을 만나다. 時田 김도윤 2007.07.18 2566
4937 -->[re](18) 덧붙임 - '죽음'과 '풍경' [4] 김도윤 2007.07.19 2140
4936 [칼럼 19] 글이 살아 숨쉬는 소리 [7] 海瀞 오윤 2007.07.20 3107
4935 (19) 독자의 귀를 쫑긋 세우려면 [8] 박승오 2007.07.20 4608
4934 (19) 글쓰기가 어려운 이유 [6] 교정 한정화 2007.07.21 5529
4933 (19) 내 안의 당신 [4] 香仁 이은남 2007.07.21 26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