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연구원

칼럼

연구원들이

  • 윤정욱
  • 조회 수 2080
  • 댓글 수 5
  • 추천 수 0
2017년 8월 21일 07시 30분 등록

경남 창원에는 차이나 타운이 있다. 시선을 압도하는 화려한 간판과 다양한 중국 음식이 길가에 즐비하고 심지어 중국어로 쓰인 간판과 메뉴판도 일상인 바로 그 차이나 타운? 전 세계 대도시라면 하나쯤은 반드시 있다는 그 차이나 타운? 둘 다 아니다. 실은 자주 가는 나의 단골 중국집 이름이 바로 차이나 타운이다. 물론 전국에 동명의 중국집이 수 십, 수 백 곳은 족히 되리라는 것을 잘 안다. 그래도 맥 빠지면 안 된다. 이 곳은 나름 동네에서는 간짜장이 맛있는 곳으로 상당한 인기를 누리고 있는 곳이기 때문이다. 내가 주로 주문하는 메뉴는 두 가지다. 간짜장 아니면 볶음밥이다. 아주 가끔 짬뽕을 시키기도 한다. 그런데 이 가게 만의 특별함을 꼽으라면 마땅히 생각나는 것이 없다. 간도 심심하고, 갑자기 유명해진 어느 맛 집처럼 해물을 듬뿍듬뿍 넣어서 면을 다 못 먹을 지경도 아니다. 딱히 평가를 하기에 애매한 구석이 많다.

 

그런데 또 반대로 생각해보면 그렇게 나쁜 점도 많지 않다. 나는 식당에 가면 항상 눈 여겨 보는 것이 있다. 가게 내부와 주방의 청결 상태 그리고 소스통과 수저통이 얼마나 깨끗한지를 본다. 물론 시청 위생과 직원처럼 순서를 정해두고 하나씩 살펴본다는 말은 아니다. 그냥 대충 둘러보는데, 이상하게 그런 것들이 눈에 잘 들어온다. 손님들이 주로 앉는 가게 내부를 청결히 하는 것은 식당의 기본이다. 누구나 그렇게 한다. 그마저도 소홀히 하는 식당은 하()급이다. 갈 필요가 없다. 그 다음은 주로 가게 직원들만 사용하고 외부에서는 보기 힘든 주방까지 깨끗하게 쓰는 곳이다. 이 역시 식당의 기본이라고 볼 수 있지만 의외로 그렇지 못한 식당도 많다. 여기까지만 잘해도 중()급이라고 할 수 있다. 마지막은 소스통과 수저통이다. 안에 담긴 소스가 대체 언제 담겼던 것인지 상상조차 가지 않을 정도로 지저분하거나 소스 마개 부분이 넘쳐 흐른 소스가 그대로 굳어 붙어있는 곳들도 많다. 그런데 이 곳 차이나 타운은 모든 것이 깔끔하고 깨끗하다. 식초와 간장통은 항상 가득 차 있고 마개도 깨끗하다. 이런 식당이 내게는 상()급이다.

 

그 뿐만이 아니다. 나는 한 번도 이 가게가 쉬는 것을 본 적이 없다. 언제든 가면 내가 먹고 싶은 것을 먹을 수 있다. 주말에는 끼니를 제 때 잘 챙기지 않는 나는 항상 애매한 시간에 이 곳을 찾는다. 오후 세 시, 네 시 정해진 시간도 없이 찾는다. 사실 규모가 큰 체인 식당은 관계가 없을지 몰라도 규모가 작은 식당을 이 시간에 찾는다는 것은 가게 입장에서는 난처한 일일 수도 있다. 점심 손님을 다 치르고 저녁 손님 맞이를 준비하거나 가게 직원들도 잠시 한숨을 돌리는 이른바 브레이킹 타임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곳은 내가 언제 찾아도 난처한 내색 없이 내가 주문한 음식을 뚝딱 만들어준다.

 

모든 식당이 쉬는 날 없이 매일 영업을 해야 한다는 것은 아니다. 장사를 하는 분들이라고 왜 쉬는 날이 아쉽지 않을까. 중요한 것은 매일 같은 일을 무한대로 반복하는 그들의 꾸준함과 성실함이라고 생각한다. 일요일인 오후 세 시, 미루고 미루던 북리뷰와 칼럼 쓰기를 아침까지도 손 대지 못하고 빈둥거리다가 늦은 점심을 먹으러 이 곳 차이나타운을 찾았다. 사장님은 여전히 분주한 손놀림으로 손님들이 떠난 자리를 치우고 있었다. 다른 한 분은 배달 다녀온 그릇들을 포개어 들고 종종 걸음으로 주방으로 들어가셨다. 순간 머리를 망치로 얻어 맞은 듯 얼얼했다. 문득 글쓰기를 한다고 오만 가지 힘들고 어려운 핑계를 대지만, 내가 저 분들 보다 정말 더 노력하면서 살고 있는지 의문이 들었다.

 

사실 매일 책을 읽고 글을 쓰지 않은지는 이미 오래 되었다. 북리뷰와 칼럼도 요령이 붙어 주말이 될 때까지 별다른 진전이 없어도 이젠 조급하지도 않다. 책을 읽으면서 나를 더 깊이 들여다 보는 것이 아니라, 이 부분은 과제할 때 쓸 수 있겠다 쓸 수 없겠다 밑줄 긋기 바쁜 내가 보인다. 북리뷰와 칼럼을 통해 나를 더 깊이 이해하고 알아가는 과정으로 삼는 것이 아니라, 과제를 마치고 완성하는 것 자체가 목적이 되어버린 것 같다. 혹자는 말했다. 구본형 선생님이었던 걸로 기억한다.

 

매일 해야 습관이 되고, 습관처럼 해야 실력이 붙고, 그렇게 쌓인 실력이 모여야 비로소 자신의 분야에서 대가가 될 수 있다

 

지금 이 칼럼을 쓰는 중에도 이런 저런 마음이 올라온다. 의자를 좀 더 바싹 붙여서 당겨 앉아 지금 내 머리 속에 뒤엉켜 산발적으로 드는 생각들을 멋지게 정리해서 내가 생각해 둔 흐름에 맞게 잘 한 번 써보고 싶다는 생각과 그냥 대충 한 편 써서 마무리하자는 생각이 서로 뒤엉켜 어지럽다. 적당한 선에서 마무리 하려는 마음 속 유혹이 크다. 초심(初心)을 잃은 듯도 하다. 그러던 와중에 낮에 본 차이나 타운 사장님이 나를 보며 따져 물으신다.

 

너 지금 하는 거 그거 별거 아니야. 편하게 앉아서 책 보고 내용 정리하고, 일 주일에 글 한편 쓰는 것이 그게 뭐가 그렇게 어려워? 평생 더운 여름에 춘장 튀기고, 탕수육 튀겨 봤어? 인생은 구체적이야. 현실이지. 네가 그렇게 끙끙 앓고 또 어떨 때는 하기 싫어하는 것들이 이 세상에 어떤 유익함으로 돌아갈 것 같니? 내가 보기엔 아무것도 없구나. 너의 지적 허영이나 만족에 불과한 것은 아닐까? 뭐든 하려면 제대로 해야지. , 추석 명절에 하루 빼고는 매일 가게 열고, 손님 맞을 준비하는 나 같은 중국집 사장보다 너는 네가 더 노력하고 있다고 자신 할 수 있니?”

 

사람들이 연구원 과정에 대해 무엇을 기대하고 있는지 물어보면 늘 큰 기대를 하지 않는다고 태연한 듯 말하곤 했다. 그게 정답이라고 생각했다. 사실은 그 말을 하면서 나의 마음 한 구석에는 항상 불안한 마음이 남아 있었다. 나의 남은 연구원 과정이 그냥 이대로 끝나버리는 것이 아닐까 하는 걱정, 불안이었다. 그러면서 더 노력하지 못하는, 아니 노력하지 않는 자신에 대한 불만도 있다. 생각이 많아지는 일요일이다. 갑갑한 마음을 풀러 이번 주말에도 차이나 타운에 가서 간짜장 한 그릇하고 와야겠다. 다시 가서 실전 인생 고수에게 한 수 배우고 와야겠다.

IP *.33.184.249

프로필 이미지
2017.08.21 14:01:11 *.226.22.184

인천에도 차이나 타운이 있는데, 난 거기 이야기 하는 줄 알았어 ㅎ

인천에 오면 연락해줘. 간짜장 기꺼이 쏜다.


프로필 이미지
2017.08.21 14:06:58 *.146.87.33

글쎄... 모든 것은 자기 기준에서 생각하기 나름이겠지..

일단 내 기준에서 보면 티올 너는 충분히, 그리고 내실있는

연구원 생활을 한다고 생각하는데.


물론 이건 내 기준이고, 글로 표현한 것 보면 아직 너의

기준에는 못 미치는 거 같다는 생각이구나.


어디서 자책은 완벽주의에서 온다고 하더라고

너무 완벽하려고 하는 것은 아닌지 그 부분을

생각해 봐도 좋을 것 같아.


세상에 완벽은 없으니깐^^

이것도 어디까지나 내 생각이고 ㅋㅋㅋㅋㅋ


그것보다 아씨 간짜장 먹고 싶잖아!! ㅋㅋㅋ

프로필 이미지
2017.08.22 21:51:50 *.18.218.234

차이나타운 사장님 넘 빡세게 사시네 ㅋ

노력도 중요하긴 하지만..이왕이면 즐기면서 하는 게 좋지 않을까 싶은데.

근데 뭐 그것도 각자 스탈이겠죠?


그나저나 성산구 용지로에 있는 차이나타운 맞죠?

핸펀에서 정욱씨 글 보고 .. 가서 간짜장 먹어야지 했는데

눈 앞에 보고도 못갔어요(할머니가 집에서 카레 먹자구 하셔서...ㅠ.ㅠ).

아쉽 ㅡㅜ

프로필 이미지
2017.08.23 21:43:03 *.106.204.231

그나마 과제로 제출해야 한다는 압박감이 있으니 난 이만큼 버틴거 같은데.

더군다나 직장생활하면서 이렇게 하기 쉽지 않은데 잘 해내고 있잖아. 그래도 마음가짐이 좋다.

자기반성과 다짐은 자기성장에 꼭 필요한거라 봐.  

프로필 이미지
2017.08.26 00:37:46 *.222.255.24

우리 동네에도 차이나 타운 중국집이 있었던 것 같은데...

인천의 차이나 타운이 확 끌리네요~ ㅎㅎ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212 [33] 시련(11) 자장면 한 그릇의 기억 secret [2] 2009.01.12 205
5211 [36] 시련12. 잘못 꿴 인연 secret [6] 지희 2009.01.20 209
5210 [38] 시련 14. 당신이 사랑을 고백하는 그 사람. secret 지희 2009.02.10 258
5209 [32] 시련 10. 용맹한 투사 같은 당신 secret [2] 2008.12.29 283
5208 [37] 시련. 13. 다시 만날 이름 아빠 secret [3] 2009.01.27 283
5207 [28] 시련(7) 우리가 정말 사랑했을까 secret [8] 지희 2008.11.17 330
5206 칼럼 #18 스프레이 락카 사건 (정승훈) [4] 정승훈 2017.09.09 1661
5205 마흔, 유혹할 수 없는 나이 [7] 모닝 2017.04.16 1663
5204 [칼럼3] 편지, 그 아련한 기억들(정승훈) [1] 오늘 후회없이 2017.04.29 1717
5203 9월 오프모임 후기_느리게 걷기 [1] 뚱냥이 2017.09.24 1746
5202 우리의 삶이 길을 걷는 여정과 많이 닮아 있습니다 file 송의섭 2017.12.25 1749
5201 2. 가장 비우고 싶은 것은 무엇인가? 아난다 2018.03.05 1779
5200 결혼도 계약이다 (이정학) file [2] 모닝 2017.12.25 1780
5199 7. 사랑스런 나의 영웅 file [8] 해피맘CEO 2018.04.23 1789
5198 11월 오프수업 후기: 돌아온 뚱냥 외 [1] 보따리아 2017.11.19 1796
5197 (보따리아 칼럼) 나는 존재한다. 그러나 생각은? [4] 보따리아 2017.07.02 1797
5196 12월 오프수업 후기 정승훈 2018.12.17 1799
5195 일상의 아름다움 [4] 불씨 2018.09.02 1805
5194 칼럼 #27) 좋아하는 일로 먹고 사는 법 (윤정욱) [1] 윤정욱 2017.12.04 1809
5193 [칼럼 #14] 연극과 화해하기 (정승훈) [2] 정승훈 2017.08.05 18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