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 -창-
  • 조회 수 738
  • 댓글 수 2
  • 추천 수 0
2017년 8월 26일 07시 02분 등록


모임이 있을 때 가끔 빵을 사가지고 갑니다. 몇 개를 살 것인지는 몇 사람이 오는지를 보고 결정하죠. 다섯 명이 참석하면 빵 네 개, 네 명이 참석하면 세 개를 삽니다. 빵이 비싸서 그러냐고요? ㅎㅎ. 이런저런 이야기를 하면서 빵을 집어든 사람은 절반이나 삼분의 일 정도를 잘라서 먹습니다. 나머지는 내려놓지요. 먹던 빵이 거의 없어질 즈음이면 누군가는 이렇게 말합니다. “이거 내가 다 먹어도 될까요?” 자기 마음대로 먹지 않는 이유는 모자라기 때문입니다. 인원대로 빵이 있었으면 하나씩 들고 먹었겠지요. 그런데 모자라니 다른 사람을 생각하게 됩니다. 나누어 먹어야 하니 조금 덜 먹기도 합니다. 자연스럽게 말이죠.


어느 집이나 그렇지는 않지만 방마다 텔레비전이 하나씩 있는 집들이 많습니다. 에어컨도 거실에 하나 방에 하나씩 있기도 하더군요. 스마트폰은 식구마다 제각각 갖게 된지 오래되었고요. 가진 것들이 많아지는데 이상하게 부족한 것들도 늘어납니다. 가족들은 함께 얼굴 볼 시간이 줄어들었습니다. 각자 자기 방에서 모든 걸 해결하니 모일 일이 없어졌지요. 당연히 대화도 줄었고 소통은 갈수록 어려워지지요. 다른 사람을 생각할 기회도 줄어듭니다. 사람 사이의 관계에 대한 생각도 마찬가지겠지요. 배려나 나눔에 대한 생각을 해볼 시간도 크게 적어졌습니다. 개개인이 가진 게 많아지면서 개인화는 심해졌고 주변의 다른 사람이 필요하지 않아졌습니다.


예전의 우리사회는 부족한 사회였습니다. 텔레비전이나 라디오는 집에 하나뿐이었고 우산도 몇 개 없던 시절이 있었지요. 무언가 모자랐을 때 우리는 다른 누군가를 생각했습니다. 내가 취하면 누군가는 불편해졌으니까요. 식구를, 친구를, 이웃집을, 마을을 생각했죠. 그런 생각들이 자연스럽게 사회의 가치가 되었고 공동체 아닌 공동체를 형성할 수 있게 했습니다. 그 공동체적 사고가 철저히 깨진 게 요즘의 우리 사회입니다. 부족함이 있을 때 만들어진 공동체적 가치가 풍족해지면서 쉽게 해체된 것이지요. 곳곳에서 공동체 복원을 외치는 소리가 있지만 실현은 힘들 겁니다. 필요한 게 별로 없으니까요. 남의 도움이 필요하지 않으니까요. 혼자 생활하기에 충분히 풍족하니까요.


좀 부족하게 살아보면 어떨까요. 빈곤에 시달리던 시절로 돌아가자는 게 아닙니다. 의식적으로 조금 부족하게 만들어보자는 거지요. 텔레비전 하나만 놓고 식구끼리 채널다툼도 해보고, PC하나를 서로 먼저 쓰겠다고 가위바위보도 해보고, 선풍기 앞자리를 다른 사람에게 양보도 하고 말이지요. 그게 불편한 걸까요? 물론 편한 건 아니지요. 그렇지만 불편할 것 같지도 않습니다. 그런 불편함이 못 견딜 정도라면 너무 풍족함에 길들여진 것은 아닌지요. 자기만의 삶에 스스로를 가두어 버린 건 아닌지요. 빵이 하나만 부족해도 다른 사람을 생각하게 되더군요. 자연스럽게 공동체적 사고가 살아나는 셈이지요. 조금 부족한 생활이 삶을 더 살찌우게 할지도 모릅니다. 우리는 지금 부족함이 필요한 건 아닐까요?



IP *.202.172.5

프로필 이미지
2017.08.28 12:43:18 *.124.22.184

머리로는 알겠고 그래야한다고 생각하지만 실천은 쉽지 않아요. ㅠ

프로필 이미지
2017.08.30 09:23:40 *.153.200.103

잘 지내지요, 인창씨.

상큼하고 인상적인  서두가 싱긋 웃게 만드네요.


그 오묘한 뜻에 한 수 배우고 갑니다.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316 이상과 현실 [1] 어니언 2022.05.19 744
4315 충실한 일상이 좋은 생각을 부른다 어니언 2023.11.02 744
4314 [일상에 스민 문학] - 팟캐스트 문학 이야기 (1) 정재엽 2018.11.28 745
4313 65세, 경제적 문제없이 잘 살고자 한다면?(9편-노년의 일과 꿈) [4] 차칸양 2018.12.04 745
4312 목요편지 - 너무 더운 여름 [1] 운제 2018.08.09 746
4311 [금욜편지 33- 1인회사 연구원들과 공저] [6] 수희향 2018.04.20 747
4310 가족처방전 – 가족은 어떻게 ‘배움의 공동체’가 되었나 [2] 제산 2018.09.10 747
4309 [월요편지-책과 함께] 존엄성 에움길~ 2023.09.25 747
4308 [일상에 스민 문학] - 남북정상회담의 무거움 정재엽 2018.05.02 748
4307 목요편지 - 어린시절 두 장면 운제 2018.10.11 748
4306 [금욜편지 89- 21세기에 프로로 산다는 것은] [4] 수희향 2019.05.24 748
4305 [수요편지] 실패란 [1] 불씨 2023.06.13 748
4304 목요편지 : 가을바람이 분다 운제 2018.09.06 749
4303 화요편지 - 떠나고 싶은 날은 일단 노래! [1] 종종 2022.05.17 749
4302 목요편지 -세번째 이야기 [3] 운제 2018.03.08 750
4301 목요 편지 - 회상 [1] 운제 2018.11.01 750
4300 목요편지 - 친구여! 운제 2018.11.29 750
4299 목요편지 - 세상에서 가장 좋은 구두 운제 2019.01.18 750
4298 [일상에 스민 문학] - 팟캐스트 문학 이야기 (2) 정재엽 2018.12.12 751
4297 [금욜편지 76- 강상중을 읽고- 생각이 만드는 나] 수희향 2019.02.15 7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