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 제산
  • 조회 수 821
  • 댓글 수 3
  • 추천 수 0
2017년 8월 28일 00시 19분 등록

마음을 나누는 편지 - 엄마가 글을 써야 하는 이유

 

지난 월요일 난생 처음으로 생방송에 출연했습니다. EBS 라디오 ‘책으로 행복한 12시’의 ‘당신의 서재’라는 코너에 저의 신간 <엄마의 글쓰기>로 큰아이와 제가 함께 초대를 받은 겁니다. 한 시간 가량 엄마가 글을 쓰게 된 사연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었습니다.

 

한 가지 기억에 남는 장면을 소개합니다. 진행자가 큰아이에게 질문했습니다. ‘책에 엄마의 손편지 외에도 엄마의 일기가 실려 있는데, 수민 양은 어땠어요? 어떤 얘기가 가장 인상적이었어요?’라고 묻자, 아이는 “‘엄마와 아빠가 싸운 날’에 쓴 엄마의 일기가 특히 좋았어요. 엄마가 아빠와 결혼을 하면서 아내가 되고 며느리가 되었잖아요. 엄마는 아내라면, 며느리라면 따라야 하는 전통적으로 정해놓은 여자로서의 역할을 무조건 따르지 않고, 가부장제, 남녀차별, 남아선호사상에 맞서서, 아닌 건 아니라고 소통을 시도하고, 일기로 남기고, 남녀 평등한 가족문화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시거든요. 전 엄마의 그런 점이 참 좋아요.”라고 대답한 겁니다. 아이의 이야기를 듣고 진행자도 저도 놀랐습니다. 열세 살 아이 입에서 ‘가부장제’, ‘남녀차별’, ‘남아선호’라는 단어가 쏟아져 나오다니요!

 

큰아이가 <엄마의 글쓰기>에서 가장 좋아하는 대목은 바로 여깁니다. ‘순간 딸아이 얼굴이 떠올랐다. 내 딸이 커서 이렇게 살면 안 된다. 딸은 엄마를 보고 자란다. 내 삶은 딸에게 지대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내 아이가 살았으면 하는 삶을 내가 먼저 살아보리라. (...) 십 년 넘게 살아오면서 서로 많이 노력했다. 분노의 시간, 저항의 시간, 투쟁의 시간을 거쳐 마침내 소통의 시간을 맞았다. 어쩌면 내 친정아버지께서 그토록 집안일을 열심히 하셨던 이유도 두 딸이 커서 딱 당신 같은 사람 만나서 성 평등을 이루고 살라는 의미였을 터, 평생 바깥일 집안일 함께하셨던 나의 친정 부모님처럼 남녀 성 역할 구분 없이 함께 하는 가정을 우린 만들어가고 있다. “엄마 아빠는 사이가 좋아서 참 좋아”라고 말하는 두 아이를 보며 다시 힘을 낸다. 더불어 남편에게도 한마디, “과거에서 오느라 고생 많았소. 우리 잘 살아봅시다!”’ (엄마의 글쓰기, 167쪽)

 

글을 쓰지 않았다면, 모성이라는 가면을 덮어씌워 무한 희생과 무한 배려를 요구하는 ‘엄마’라는 단어 안에 갇혔을지도 모릅니다. 어쩌면 ‘나만 잘 하면?’, ‘나만 참으면?’하며 스스로를 닦달하다 폭발 했을지도 모르고요. 아내로 며느리로 워킹맘으로 살아가는 현실에서 문제제기를 못했을지도 모릅니다.

 

자신의 내면을 들여다보고 스스로를 돌아보기에, 문제를 공론화하고 해결책을 모색하기에 가장 좋은 수단이 바로 글쓰기였습니다. ‘이전 세대 엄마들은 왜 그렇게 살았을까?’로 질문하고 ‘내 딸들이 나보다 나은 삶을 살기 위해 엄마로서 난 어떻게 해야 할까?’로 답을 구하면서 시작한 엄마의 글쓰기는 가족의 문화를 바꾸는데도 한몫했습니다. 사회를 구성하는 가장 작은 공동체인 가족이 변한다는 건 사회 전체가 바뀌는 첫 걸음이 되기에 의미가 있습니다. 세상의 모든 엄마들에게 권합니다. 함께 쓰시죠!

 

* 9월 11일 남편 유형선의 편지가 이어집니다.

 

***** 구본형변화경영연구소 공지 *****

 

1. 2017년 변경연 출간기념회 공지 (9월 23일, 토)

<엄마의 글쓰기> 김정은, <습관홈트> 이범용, <청소년을 위한 진로인문학>, <갈림길에서 듣는 시골수업> 박승오, 세 작가의 저자강연이 준비되어 있습니다. 많은 참여 바랍니다.

http://www.bhgoo.com/2011/827567

 

2. 수희향 연구원이 운영하는 1인회사연구소에서 한겨레 교육문화센터(신촌)에서 원데이 창직워크숍을 진행합니다.

http://www.bhgoo.com/2011/index.php?mid=free&document_srl=828820

 

3. 박승호 연구원이 일하고 있는 성천문화재단에서 '퇴근길 인문학 교술'을 개강합니다.

http://www.bhgoo.com/2011/index.php?mid=free&document_srl=828576

 

4. 한명석 연구원이 운영하는 '글쓰기를 통한 삶의 혁명' 카페에서 글쓰기 강좌를 진행합니다.

http://www.bhgoo.com/2011/index.php?mid=free&document_srl=828440

 

IP *.202.114.135

프로필 이미지
2017.08.28 09:52:03 *.158.25.187

따님의 깊은 생각이 놀랍네요.


글 잘읽었습니다. 

프로필 이미지
2017.08.30 09:26:13 *.153.200.103

과거에서 오느라 고생 많았소...  멋진 표현이네요.


글이 삶과 나란히 가야 한다고 말로만 얘기해 왔는데

정은씨네 가족의  글쓰기를 보며 새삼 깨닫고 있답니다.


좋은 예를 보여주어 고마워요.  새 책이 여러 사람들 손에 건네 지기를 바래요!

프로필 이미지
2017.09.02 14:34:37 *.39.102.67

난, 네 글이 더 보고싶다.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956 [수요편지] 할말을 사이공에 두고 왔어 [10] 장재용 2019.01.02 831
3955 [금욜편지 73- 카잔차키스를 읽고- 나의 자유를 찾아서] [4] 수희향 2019.01.25 831
3954 [금욜편지] 산사수행 중 수희향 2019.10.18 831
3953 [알로하의 두번째 편지]_이번 주 쉽니다 알로하 2020.03.15 831
3952 화요편지 #따로또같이 프로젝트 - 가을단상, 일과 나, 그리고 우리 [1] 종종 2022.09.06 831
3951 국공립 영어도서관, 장서개발회의에 참석했어요! 제산 2019.06.24 832
3950 목요편지 - 11월의 한 가운데서 운제 2019.11.15 832
3949 목요편지 - 어른이 되는 시간 [1] 운제 2019.06.20 833
3948 목요편지 - 엎어진 김에 운제 2020.02.28 833
3947 새해엔 편지를 하겠어요 제산 2017.12.18 834
3946 [알로하의 두번째 편지] 나를 사로잡은 용 file 알로하 2020.02.23 834
3945 통삼겹살 운제 2020.06.06 834
3944 [라이프충전소] 우리가 실수를 열렬히 환영해야하는 이유 [1] 김글리 2022.05.13 834
3943 [수요편지] 책을 보는 이유 [1] 불씨 2023.07.04 834
3942 [수요편지] 이것은 있는 것인가, 없는 것인가 [2] 장재용 2019.05.22 835
3941 [내 삶의 단어장] 소금과 막장 사이에 선 순대 에움길~ 2023.04.24 835
3940 지금에 대한 기록 어니언 2023.09.21 835
3939 나만의 공간, 출퇴근 전철 제산 2018.03.05 836
3938 목요편지 - 가을의 한 복판에서 운제 2019.10.17 836
3937 [자유학년제 인문독서] 20. 아빠와 함께 헌책방 나들이 [1] 제산 2019.04.01 8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