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연구원

칼럼

연구원들이

2017년 9월 10일 22시 29분 등록

눈코 뜰 사이 없이 바쁜 직장생활을 하던 중 돌연 찾아 온 질환 때문에 휴직을 하던 중에, 결혼을 하게 되었고, 연년생을 출산하게 되었다. 남편과 함께 하는 일과 육아를 병행하며 8년을 지냈다. 이젠 아이들도 얼추 크고 남편이 하는 일도 자리가 잡혀서 나만의 시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되었다. 그렇다 해도 '자유로운 나만의 시간대'라는 것은 아이들이 하교하기 전인 낮 시간이다. ‘엄마의 오후 4시는 마치 신데렐라의 12시처럼 아이들에게 즉시 소환되어야 하는 마법이 풀리는 시간이다.


아이들을 등교 시키고 책을 좀 읽을까 하고 카페에 들어선다. 신도시의 카페는 엄마들의 시공간이다. 엄마들의 개인적 시간이 허락되는 낮 시간, 그리고 카페라는 공간. 같은 행성에 사는 같은 종족이거늘 이 순간에 나는 그들과 섞이지 못하고 책이라는 행성으로의 진입이 어렵다. 다른 테이블에서 들려오는 시댁과 남편, 아이들 교육과 관련된 열띤 대화가 블랙홀처럼 내 정신을 빨아들인다. 책 행성 진입 실패. 가방을 챙기고 밖으로 나와 자전거를 타고 바람을 느낀다.


그래도 참 좋은 팔자야, 이 낮에 햇살을 받으며 바람을 느끼며 자전거를 탈 수 있다니.’

 

투병과 임신과 출산으로 기동성이 꽉 묶였던 과거를 생각하면 지금이야말로 나의 황금시대라 만족하며 자전거를 타고 다시 집으로 돌아와 책을 읽는다. 과거의 정신과의 대화, 그 어떤 과학기술로도 아직 실현되고 있지 않은 과거로의 시간여행이 책을 통해 가능하다는 것에 새삼 흥분하며 읽는다. 이제는 고인이 되셨지만 내 인생의 스승이었던 전성수 약사님은 평생을 약품개발에 당신의 시간과 힘을 쏟았고 그 비결은 친구와의 만남이 잦지 않다는 것이었다.

 

내 나이가 되면 친구가 살아 있는지만 가끔 확인하면 됩니다

 

하지만 나는 아직은 친구가 살아 있는지만 확인할 것이 아니라 말도 할 줄 아는 지 확인할 필요도 있는 나이이다. 만나고 싶은 친구가 직장인인 경우, 그들을 만날 수 있는 시간은 퇴근 이후 저녁 시간이 되어야 하고, 저녁 그 시간에 나는 혼자만의 시간의 마법을 풀고 일상의 시간으로 돌아와 아이들을 맞이해야 하는 시간이다. 이렇게 되면 누구 하나가 양보를 해야 한다. 그 친구가 반차를 내어 시간을 내면, 다음 번에는 내가 아이들을 맡기고 만난다. 이 상황이 되면, 친구에게는 휴가비, 내게는 보육비가 발생한다. 말 그대로 시간을 돈 주고 사는 것이다. 각자가 처한 상황에 따라 외계의 시간대에 처해 있고 시간이라는 차원에서 서로에게 외계인인 우리가 만나기 위해서는 상대방의 처지에 대한 이해와 양보가 이뤄진 후에야 만남이 가능해진다.

 

나의 현재가 황금시대라 자평하고 자유롭다고 생각한 것은 어디까지나 나 혼자의 시공간에서 자유롭게 보낼 때였다. ‘낮 시간의 카페에 있는 사람들과 어울릴 줄 안다면 더욱이나 문제가 없을 터였다. 문제는 그 시공간에 있지 않은 사람들과 교신을 시도할 때이다. 갑자기 제한이 느껴진다. 아이들이 짐처럼 느껴진다. 남편은 일하는 시간대에 묶인 몸인 것을 뻔히 알면서도 저녁 시간에 그는 친구를 만나러 나갈 수 있다는 것에 부아가 난다. 문득 나는 그대로인데 자유롭고 만족하며 지내던 내가 왜 사슬에 얽매여 있는 신세처럼 느껴지는 걸까 자문해본다.


이럴수가! 내가 외계인이었기때문이다. 모 아이스크림 이름과 동일하게 되었는데 말 그대로 엄마는 외계인이다. 엄마가 되기 전의 인간관계와 만남의 패턴을 가지고자 하면 이건 우주여행만큼의 장비가 필요하다. 산소공급, 통신장비 전력공급 등을 갖춘 우주복을 입고 뒤뚱뒤뚱 힘겹게 우주여행을 하는 인간을 보라. 무중력 상태에서 둔탁한 우주복을 입고 발 한걸음 띄기도 어려워 가쁜 숨과 함께 허둥대고 있는데 자유롭게 움직이며 웃는 얼굴들은 오히려 나를 생뚱맞게 쳐다본다. 그들의 시선과 함께 나의 행성과의 통신장비 전력이 얼마 남지 않았음에 발을 동동 구르는 나를 보면, 이 공간에서 나는 외계인임을 새삼 깨닫게 되는 것이다.


그러한 이해의 단절상태에서, 거꾸로 나는 나를 만나기 위해 이렇게 어렵게 우주여행을 한 사람들을 너무 가볍게 대했던 것은 아닌가 반성하는 기회가 찾아온다. 친하게 지내던 친구들이 인문계과 상업계로 갈렸을 때, 대학생과 재수생으로 갈렸을 때, 회사원과 취업준비생으로 갈렸을 때, 결혼한 사람과 아닌 사람으로 갈렸을 때, 부모가 된 사람과 아이가 없는 사람으로 갈렸을 때, 환자와 건강한 사람으로 갈렸을 때 등등 삶이 전개되면서 우리는 각각의 처한 입장이 갈리면서 서로에게 외계인이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외계인들간 교신과 만남이 가능한 것은 서로를 이해하겠다는 마음과 소통에의 열망이다


거리를 스쳐 지나가는 사람들을 주의 깊게 살펴본다. 같은 시공간에 있는 것 같아도 그들의 입장에 따라 우리는 서로 외계의 공간에 있다. 그 보이지 않는 외계의 벽을 허물 수 있는 것은 처한 상황에 따른 이해와 공감, 그리고 소통하겠다는 의지가 될 것이다. 덧붙여 아이들을 양육하는 엄마의 역할은, 그녀들이 자유롭지 않은 시간대에 소중한 기회가 있을 때 아이들을 맡기기 위해서는 그 시간만큼의 비용이나, 또 다른 여인의 희생이 발생한다. 이러한 개인적 어려움은 시스템으로 극복되어야겠으나 그 시스템의 시작은 각 개인들의 공감과 이해가 우선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한 공감과 이해로 지구인으로 가득한 정다운 지구를 꿈꾼다. ()
IP *.18.218.234

프로필 이미지
2017.09.10 23:50:00 *.44.153.208

어느 별에서 오셨어요? ^^.. 자기만의 행성이 다 특징이 있는데. 내 행성만의 특별함을 알아주지 못하는 다른 외계인들이 있을 때마다 속상하면서도

또 생각해 보면 그 별의 사정에 대해선 나 역시 관심을 갖지 않은건 아닌지... 그렇네요~

프로필 이미지
2017.09.11 15:04:41 *.226.22.184

교신은 주로 '010-000-0000'으로 해주세요!

말이 실려야 지구에 적응이 쉽습니다.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152 노동과 경영 12회 - 노동시간의 리엔지니어링(2) 박노진 2006.02.22 5129
5151 노동과 경영 13회 - 한국형 생산방식, 그 가능성을 찾아서(1) 박노진 2006.02.24 6150
5150 노동과 경영 14회 - 한국형 생산방식, 그 가능성을 찾아서(2) 박노진 2006.02.24 5272
5149 노동과 경영 15회 - 한국적 생산방식, 그 가능성을 찾아서(3) 박노진 2006.02.25 6305
5148 노동과 경영 16회 - 제조업의 진정한 혁명, 포드생산 시스템 박노진 2006.02.25 8361
5147 노동과 경영 17회 - 도요타 생산 시스템 박노진 2006.02.27 11670
5146 노동과 경영 18회 - 말콤 볼드리지 국가품질상과 식스 시그마 [1] 박노진 2006.02.27 8653
5145 노동과 경영 19회 - 한국적 생산방식, 그 가능성을 찾아서(4) : SLIM system 박노진 2006.03.04 7516
5144 노동과 경영 20회 - 한국형 생산방식의 가능성(5) 박노진 2006.03.16 4981
5143 연구원 과제 <My First Book> file 정경빈 2006.05.17 5411
5142 내가 쓰고 싶은 첫 번째 책 조윤택 2006.05.23 6127
5141 -->[re]내가 쓰고 싶은 첫 번째 책 file 강미영 2006.05.24 5939
5140 발표자료 file 박소정 2006.05.26 5371
5139 식당 비즈니스의 목적 박노진 2006.06.05 5408
5138 소스는 직접 개발하고 만들어야 한다 박노진 2006.06.05 4932
5137 세금관리, 모르면 그만큼 손해 본다 박노진 2006.06.06 6804
5136 식당의 자산은 맛과 서비스뿐이다 [2] 박노진 2006.06.07 5176
5135 어제보다 나은 식당(5) - 고객의 불평과 불만 박노진 2006.06.08 5358
5134 어제보다 나은 식당(6) - 음식의 트렌드, 퓨전과 웰빙 박노진 2006.06.08 7249
5133 어제보다 나은 식당(7) - 돈은 종업원이 벌어다 주지 사장이 버는 것은 아니다 박노진 2006.06.08 49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