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연구원

칼럼

연구원들이

  • 뚱냥이
  • 조회 수 1030
  • 댓글 수 2
  • 추천 수 0
2017년 9월 11일 00시 46분 등록

한 걸음 더

 

 

회사에서 진행하고 있는 교육을 홍보하기 위해 동료와 길을 나섰다.

교육내용은 폐업을 하셨거나 폐업 예정인 소상공인분들의 재기를 위한 희망리턴패키지다.

 

새 출발에 대한 흥분과 감사함에

발걸음이 가벼웠다.

 

리플릿이 잔뜩 실린 가방의 무거움은

가슴에서 소멸되었다.

 

주민센터, 구청, 고용센터 등을 방문하며 리플릿을 비치했다.

희망이 돌아오기를 염원하는 마음도 함께 놓고 왔다.

 

얼마나 시간이 흘렀을까? 4~5시간을 쉬지 않고 걸었다.

힘이 들었다. 오락가락 하는 비, 후덥지근한 날씨가 발목을 잡았다.

 

리플릿이 줄어든 공간에 태만함이 채워졌다.

자기합리화라는 추악한 꽃이 피었다.

 

그 순간, 내가 왜 이 일을 하고 있는지를 생각했다.

누군가에게 희망을 알려주고 싶었던 것 아닌가?

누군가에게 다시 일어날 수 있다는 것을 말하고 싶었던 것 아닌가?

나의 한 걸음이 누군가에게는 10, 아니 평생의 걸음이 될 수 있는 것 아닌가?

 

나는 가방의 무게에 눌렸지만, 누군가는 삶의 무게에 절망했을 것이다.

나는 다리가 아팠지만, 누군가는 가슴이 찢어졌을 것이다.

나는 땀을 흘렸지만, 누군가는 피눈물을 흘렸을 것이다.

멈출 수 없었다. 머무를 수 없었다.

 

나의 삶은 희망을 잃은 많은 소상공인들의 삶과 연결되어 있었다.

내가 멈추면, 그들은 쓰러진다.

내가 머무르면, 그들은 뒤처진다.

내가 한 걸음이라도 더 걸어야 그들은 간신히 일어날 수 있다.

 

다시 일어서는 것이 얼마나 힘든지,

다시 걸음마를 배우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지 나는 안다.

 

그래서 나는, 내일도 모레도 한 걸음 더 걸어 나갈 것이다.

한 걸음 더

 

 

---------------------------------------------------------------------

 

나의 이름은

 

 

이젠 기억이 잘 나지 않아요.

나이를 너무 먹어서 가물가물 하네요.

 

나는 엄마와 강제로 헤어졌어요.

엄마와 헤어지며 많이 울었던 기억이 납니다.

 

낯선 아저씨들이 나를 차에 태워

어딘가로 데리고 갔어요.

 

거기에 비슷한 또래 친구들이

먼저 와 있었어요.

 

우리는 그렇게 함께 커갔어요.

영문도 모른 체 그저 밥을 주면 밥 먹고

햇살을 쬐라면 쬐었어요.

그렇게 우리는 커갔어요.

 

엄마가 보고 싶고 고향이 보고 싶었어요.

갇혀 있는 삶은 너무 답답했습니다.

 

그러다 지금 이곳으로 오게 되었어요.

그리고 이렇게 늙어 버렸어요.

 

숨쉬기도 힘들고, 서 있기도 벅차네요.

아무도 거들떠 보지 않지만,

오랜 시간 나는 이렇게 있어야 했어요.

 

고향으로 가고 싶어도 이젠 늙어서 가지도 못합니다.

돌아 갈 곳이 없어요.

 

내 이름이요?

나의 이름은 가로수 입니다.

IP *.140.65.74

프로필 이미지
2017.09.11 14:53:12 *.226.22.184

그런데 말이지.
힘든 사람들에게 필요한 건 인간의 온기가 먼저 아닐까?
그 온기가 채워져야 교육도, 시스템도, 필요할 거 같은데...


지금 준비하는 교육시스템이 어렵고 힘든분들에게 쉴수 있는 그늘이 되기를 기원하네 ^^
잘 읽었어~

프로필 이미지
2017.09.15 21:08:05 *.223.36.249
"한걸음 더"를 읽는데ᆢ
문득 영화《Door to Door》가 떠오르네요. 화이팅!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092 우리의 삶이 길을 걷는 여정과 많이 닮아 있습니다 file 송의섭 2017.12.25 1027
5091 선배님의 글쓰는 방식 [1] 송의섭 2018.02.12 1027
5090 마지막 말 한마디에 [3] 박혜홍 2018.09.03 1027
5089 칼럼#8 부동산투자는 인(仁)하지 못하다?(이정학) [3] 모닝 2017.06.12 1028
5088 4차 산업혁명의 시대, 우리는 무엇을 준비해야 할까요 file [8] 송의섭 2017.07.03 1028
5087 칼럼#26 학교폭력 상담 자원봉사를 시작하다.(정승훈) [3] 정승훈 2017.11.26 1028
5086 경험과 일과 자유가 사랑이 되시길... file [1] 송의섭 2017.12.18 1028
5085 또 다시 칼럼 #3 학교 폭력 상담을 6개월 하고 보니 (정승훈) [7] 정승훈 2018.04.22 1028
5084 또 다시 칼럼 #10 고3 아들, 알바를 그만두다 [3] 정승훈 2018.06.24 1028
5083 9월 오프수업 후기, 나에게는 일기, 우리에겐 편지 file [3] 불씨 2018.09.16 1028
5082 [칼럼#5] 아빠의 망토(이정학) [3] 모닝 2017.05.15 1029
5081 12월 오프수업 후기 ggumdream 2017.12.12 1029
5080 칼럼 #34 혹, 우리 아이가 가해자는 아닐까? (정승훈) file 정승훈 2018.02.03 1029
5079 #36 부끄러움을 배운 시간_이수정 알로하 2018.02.19 1029
5078 11월 오프 수업 후기 박혜홍 2018.11.18 1029
5077 칼럼_2주차_기숙사 그리고 주말 오후 세시의 짧은 단상 [5] 윤정욱 2017.04.16 1030
5076 [칼럼 #10] 철학, 종교, 머시 중헌디 [6] 정승훈 2017.07.02 1030
5075 [칼럼 #14] 연극과 화해하기 (정승훈) [2] 정승훈 2017.08.05 1030
5074 #19 - 소원을 말해봐(이정학) [5] 모닝 2017.09.18 1030
5073 칼럼 #32 혹, 내 아이가 피해자는 아닐까? (정승훈) file 정승훈 2018.01.28 1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