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 이철민
  • 조회 수 995
  • 댓글 수 0
  • 추천 수 0
2017년 10월 5일 06시 27분 등록



집에서 만든 치즈, 산속에서 딴 꿀을 예쁜 통에 담아 자신의 이름을 붙인 홈메이드 벌꿀 등 거의 모든 물건이 오직 이곳에서만 구할 수 있는 것들이었다.”

 

추석 명절 편안하게 보내고 계신가요? 올해 추석은 여느 해보다 긴 연휴로 더욱 여유 있는 듯합니다. 저도 이번 추석에는 부모님을 모시고 제주도로 가족 여행을 갔습니다. 추석 당일, 저녁 식사를 위해 서귀포올레시장을 나갔습니다. 전통시장은 회집과 관광객을 상대로 하는 일부 상점만 문을 열고 대부분은 문을 닫았습니다. 영업중인 일부 상점들마다 사람들로 북적였습니다. 시장 안 회집들은 관광객을 상대로 제주도의 특색을 살려 고급어종의 회를 팔고 있었습니다. 지역의 특색을 살려 문어가 들어간 문어빵이 있었고 감귤을 즉석에서 즙을 내어 팔기도 했습니다. 오메기 떡도 있었고 제주를 여행한 지인에게서 한번쯤은 맛을 보았을 돌하르방 초콜릿과 감귤 초콜릿도 쉽게 볼 수 있었습니다.

 

시장을 구경하던 중 시장통 중간쯤에서 말린 생선을 파는 할머니 두 분을 보았습니다. 그 모습에서 할머니들은 이 시장에서 물건을 파는 분들임을 한 눈에 알 수 있었습니다. 한데 나란히 앉은 분들의 모습이 왠지 제 눈엔 어색하게 보였습니다. 추석날이어서 달리 보였을 수도 있고 그 분들의 물건이 상품으로서 가치가 떨어져 보여서 일수도 있습니다. 한 분은 이미 완판을 하였는지 자리를 정리하고 있었고, 곁에 동료 할머니의 생선도 달랑 몇 마리만 프라스틱 소쿠리 위에 올려져 있었습니다. 그 할머니 역시 한 손은 이미 빈그릇들을 정리하고 있었습니다. 마지막 남은 생선이 초라해 보였습니다. 본능적으로 말을 붙여보았습니다.

할머니 무슨 생선이죠?” “자리돔 말린 거우다(정확히 할머니의 사투리가 기억이 안나지만)” “얼마에요?” “원래 만원에 팔던 건데 구천원에 가져가요, 이거 그래도 내가 직접 말린 거우다지체없이 한 소쿠리 남은 말린 자리돔을 제가 떨이를 했습니다.

 

시장 안에서 본 회집들의 어항에 있던 생선들은 상품으로 손색이 없습니다. 어종은 다양했고 고급져(?) 보였습니다. 그에 비하면 할머니의 말린 생선은 크기도 작고 볼 품 없어 보였습니다. 하지만 그 순간 제 눈에는 할머니의 생선이 특별하게 보였습니다. 만약 평일이었다면 할머니의 생선도 같은 생선을 파는 비슷한 또래의 할머니들 상품과 별반 다르지 않게 보였을 수도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집 건너 보았던 회집들 생선들은 어항만 다를 뿐 다르지 않은 모습으로 보였습니다.


공산품이 넘쳐 나는 요즘, 구하려고 마음만 먹으면 서울에서도 건조 자리돔은 얼마든 살 수 있는 세상입니다. 의심의 눈으로 볼라치면 할머니의 생선 역시나 직접 말린 건지 알 수 없습니다.

전통시장이 대기업이나 프랜차이즈 상품과 차별성을 가지려면 자기 상품을 만들어야 합니다. 그 지역에 가야만 내 점포에 들러야만 살 수 있는 나만의 상품이 있어야 합니다. 이 나물은 이 생선은 이 지역의 누가 생산했고, 그는 어떤 농어민이고, 어떤 경로를 통해 이제 막 시장에서 주인을 기다리고 있는지 과정이 보여져야 합니다. 그게 로컬이겠지요. 전통시장과 소점포의 경쟁력은 그때 발휘됩니다. 할머니의 생선도 말리는 과정을 관광객에게 보여줄 수 있었다면 상품에 대한 믿음은 더욱 올라갔을 것입니다. 전통시장 전문가 이랑주 작가도 이와 같은 생각을 한 듯합니다.

지역마다 전통시장 살리기에 관심이 많은 때입니다. 전문가들의 연구로 지역의 특색 상품도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습니다. 중요합니다. 그러나 더욱 필요한 것은 개별 생산자가 자신의 이름을 걸고 파는 자기 상품을 만들려고 하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 변화경영연구소 알림 *****


[알림1] 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1인 기업가 네트워크(1인자회)에서는 연구소 내 1인 기업가들의 마케팅 활동을 돕기 위해 '1인 기업가의 소셜 마케팅 특강'을 마련했습니다. 많은 참여 바랍니다.

http://www.bhgoo.com/2011/index.php?mid=free&document_srl=830215

 

[알림2] 수희향 연구원이 운영하는 유로 에니어그램 연구소에서 '내면 아이 40일 과정'을 운영합니다. 내면 아이를 통해 진짜 나를 찾고 싶은 분을 기다립니다. http://www.bhgoo.com/2011/index.php?mid=free&document_srl=830916 


[알림3]박승오 연구원이 일하는 성천문화재단에서 장자 전문가인 정용선 작가의 장자 강의를 개설했습니다. '장자, 마음을 열어주는 위대한 우화' 강의에 많은 신청 바랍니다.  

http://www.bhgoo.com/2011/index.php?mid=free&document_srl=830890 







IP *.133.109.90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396 Business Tip - 야옹아, 멍멍해봐 [2] 書元 2017.09.02 991
3395 [라이프충전소] 약점극복 스토리에 숨은 진짜 의미 [2] 김글리 2022.09.30 991
3394 [수요편지] 좋은 관리자가 되는 방법 불씨 2023.09.20 991
3393 [라이프충전소] '그렇게 될때까지 하라'는 말에 숨겨진 비밀 [3] 김글리 2022.03.25 992
3392 [라이프충전소] 진짜 기다림이 무엇인지 보여주는 이들 [4] 김글리 2022.04.01 992
3391 [화요편지] 다시 애벌레 기둥 속으로 [2] 아난다 2020.03.30 994
3390 스위치 다시 켜기 [1] 어니언 2022.10.27 995
3389 아뿔싸! 또 글이라니! 연지원 2016.11.07 996
» 시장물건도 자신의 이름을 걸어야 한다 이철민 2017.10.05 995
3387 아흔여섯번째 편지 - 1인 기업가 재키의 커리어 컨설팅 [6] 재키제동 2017.03.31 997
3386 시로 말해요 - 네번째 이야기 [2] 제산 2017.05.22 997
3385 <알로하의 맛있는 편지> 맛있는 연말과 새해를 위한 치즈 file 알로하 2019.12.29 998
3384 창업 결정 전 5가지 셀프 질문 (두번째) [4] 이철민 2017.08.17 999
3383 지선씨 이야기 운제 2020.11.12 999
3382 혼자 걷는 길이 힘들지라도(에코 4기를 마치며) 차칸양(양재우) 2016.11.22 1001
3381 [화요편지] 살리는 힘, 기쁨의 길 아난다 2021.02.02 1001
3380 사사무애법계 [1] 불씨 2022.07.20 1001
3379 백열두번째 편지 - 1인 기업가 재키의 여름방학 [2] 재키제동 2017.07.28 1002
3378 삶이라는 모험 [1] 어니언 2022.12.29 1002
3377 캠핑 가보셨나요? [2] 어니언 2023.06.22 1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