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연구원

칼럼

연구원들이

  • 윤정욱
  • 조회 수 1010
  • 댓글 수 3
  • 추천 수 0
2017년 10월 9일 09시 26분 등록

지난 일요일에 부산 송정에 있는 결혼 사진 전문 OO스튜디오를 다녀왔다. 지난 9 17일 꼬박 네 시간 반 동안 촬영했던 수 많은 웨딩 사진들 가운데 앨범으로 만들 사진들을 고르는 날이었다. 미리 약속한 시간 보다 30분 일찍 스튜디오에 도착했다. 그 날도 다른 신랑 신부의 촬영이 한창이었다. 짧은 시간 안에 다양한 컨셉의 사진을 찍는 것은 작가는 물론 신랑 신부 역시 많은 에너지를 소모 하는 일이었다. 특히 어려운 것은 잘 웃는 것이었다. 카메라 앞에서 자연스러운 웃음을 짓는다는 것은 참 어려운 일이다. 그래서인지 사진 작가들은 큰 소리로 옳지 옳지 하며 연신 신랑 신부의 웃음을 유도 한다. 흡사 아기 돌 사진 찍을 때 비슷하다. 대기 하는 동안 다른 예비 신랑 신부의 촬영을 곁눈질로 보며 나도 저랬었나 슬며시 웃음이 나기도 했다.

 

얼마 지나지 않아 매니저가 우리를 별도의 방으로 안내해 주었다. 당일 찍었던 사진들을 열어 보는데 모두 580여 장이었다. 이 가운데서 앨범에 들어갈 20장을 골라야 한다. 100장 가운데 남는 사진이 3~4장에 불과하다. 스튜디오에서는 일차적으로 신랑 신부가 마음에 드는 사진을 천천히 골라 보라며 한 시간의 여유를 주었다. 여자 친구는 이미 의자를 당겨 고쳐 앉았고, 나는 옆에서 그저 지켜보았다. 처음에는 그렇게 오랜 시간이 필요할까 싶었는데 그게 아니었다. 이상하게도 그녀가 마음에 들어 하는 사진은 내가 보기에는 그다지 탐탁지 않았고, 내가 예쁘다고 하는 사진은 그녀가 마음에 들어 하지 않았다.

 

그 이유는 오래 지나지 않아 알 수 있었다. 함께 찍은 사진을 두고 둘 다 서로의 모습을 먼저 보았던 것이었다. 각자가 잘 나온 사진을 더 마음에 들어 했다. 내가 더 많이 우겼다. 생각해보니 나는 평소에도 그랬던 것 같다. 여행지에 가서 함께 찍은 사진을 봐도 내가 어떻게 나왔는지를 먼저 보고 나서야, 그 다음에 그녀를 포함한 전체 배경이 눈에 들어왔다. 전체 속에서 함께 있는 우리를 보는 것이 아니라, 그 속에 있는 나를 먼저 보았던 것이다.

 

문득 그녀에게 미안한 마음이 들었다. 결혼이라는 것은 남녀 모두에게 서로에 대한 희생과 헌신을 요구한다고 하지만 두려운 마음은 아마 여전히 신부 쪽이 더 크지 않을까 한다. ‘시집 간다는 표현만 봐도 그렇다. 원래 자신이 살던 곳을 떠나 낯선 곳으로 가야 한다는 심리적인 두려움이 그 바탕에 깔려있다. 아직은 서툴고 두려운 결혼을 앞두고 사진으로나마 더 예쁜 자신의 모습을 오래도록 간직하고 싶었을 그녀에게 그게 뭣이 중하다고 나는 내가 잘 나온 사진을 고집했는지 모르겠다.

 

강점혁명 테스트를 마치고 나서 그 결과로 나온 나의 다섯 가지 테마 가운데 『포용』과 『공감』이 있었다. 나는 『존재감』이나 『배움』, 『적응』과 같은 테마를 예상했던 나는 이 두 가지 테마가 굉장히 낯설었다. 하지만 이 또한 나의 일부분이라고 인정하려고 한다. 사람의 천성은 좀처럼 바뀌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만약 나에게 정말 『포용』과 『공감』의 재능이 있다면 이 재능을 누구에게 가장 많이 써야 할지도 잘 알고 있다. 나는 그녀와 앞으로도 함께 많은 사진을 찍을 것이다. 그리고 이제는 함께 찍은 사진을 볼 때 마다 내가 아닌 그녀를 먼저 볼 것이다. 그리고 나서 함께 있는 우리를 볼 것이다. 그렇게 나를 기준으로 상대방을 보지 않고, 함께 있는 우리의 모습을 보며 서로를 『포용』하고 더 많이 『공감』하는 법을 배우고자 한다.

 

, 그리고 내가 바득바득 우겨가며 겨우 예선을 통과시킨 웨딩 사진들의 대부분은 최종 결선을 통과하지 못했다. 남자 매니저가 보기에도 그녀가 고른 사진이 더 낫다고 한다. 아무런 대꾸도 하지 못하고 그냥 웃었다.

IP *.39.138.20

프로필 이미지
2017.10.09 09:41:50 *.44.153.208

웨딩사진의 주인공은 신부~ 신랑은 그저 소품 중에 하나일 뿐 ^^ 그것만 이해하면 맘이 편해져 ㅋ

프로필 이미지
2017.10.09 14:57:47 *.124.22.184

웨딩 촬영 쉽지 않죠? 우리땐 야외촬영이 대세라 친구따라 가봤는데 '왜 돈 내고 이런 고생을 하나' 싶었어요.

그래서 난 야외촬영 안했다는 거~ ㅋㅋㅋㅋ

 

정학씨 말이 맞아요. 결혼사진에 신랑은 그저 소품일 뿐.  결혼사진 신혼 때나 걸어두지 나중엔 처치곤란 애물단지 취급해요.

여하튼 결혼이 이제 조금씩 실감나겠네요~

프로필 이미지
2017.10.10 05:31:24 *.106.204.231

580장!! 어마어마하네. 그래도 부산까지 가고 유명한 곳에서 찍었나보네. 나는 아무생각없이 가까운 곳에서 찍었다가 여전히 힘들다.

의외의 강점에 대해 놀라긴 매한가지네. 그냥 이런 것도 나의 일부분이구나 생각하면 될 것 같아. 참고용으로.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032 [컬럼011] 가슴 속의 역사, 소중한 떨림 [6] 香山 신종윤 2007.05.28 3453
5031 변할 수 밖에 없는 것과 변하면 안 되는 것 [5] 해정 오윤 2007.05.28 3873
5030 (011) 그 시절의 영웅들 [3] 교정 한정화 2007.05.28 3126
5029 (11) 젊은 성공의 다른 쪽에는 [5] 박승오 2007.05.28 4393
5028 (칼럼10) 폭신폭신한 나의 영웅 [10] 素賢소라 2007.05.28 3437
5027 나의 아멘호테프 [12] 최정희 2007.05.29 3422
5026 [11]우리 작은 영웅들의 이야기 [2] 써니 2007.05.29 3515
5025 [10] 부자 교회 앞 거지와 이방의 신 [6] 써니 2007.05.29 3676
5024 독서를 지속해야 하는 3가지 이유 [3] 현운 이희석 2007.05.29 4019
5023 인류와 나, 우리들의 과거 속 빛나는 장면들 [4] 海瀞 오윤 2007.06.03 3266
5022 [컬럼012] 경이로운 떨림의 장면들 [3] 香山 신종윤 2007.06.04 3186
5021 떨림, 그 긴 여운 (칼럼12) [3] 최정희 2007.06.04 2807
5020 (12) 역사 속의 반짝이는 물결 조각들 [4] 時田 김도윤 2007.06.04 3032
5019 (칼럼11) 가슴으로 다시 만난 역사 [7] 素賢소라 2007.06.04 3020
5018 (12) 역사는 예(example)를 통해 가르치는 철학 [6] 박승오 2007.06.04 3148
5017 [12] 칼럼이 아닌 내면의 토의와 탐색 [4] 써니 2007.06.04 2701
5016 나에게 가장 경이로운 역사의 5가지 장면 [3] 현운 이희석 2007.06.05 3288
5015 [칼럼12]역사와 함깨한 5월을 보내며 [6] 素田최영훈 2007.06.05 2973
5014 (13) 실컷 울어라! [5] 時田 김도윤 2007.06.07 3466
5013 [칼럼13] 기본으로 돌아가자 [4] 余海 송창용 2007.06.08 36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