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연구원

칼럼

연구원들이

  • 윤정욱
  • 조회 수 1004
  • 댓글 수 3
  • 추천 수 0
2017년 10월 16일 00시 08분 등록

별 이유 없이 유독 꺼려지는 물건이 있다. 가끔 예비 신부와 길거리 상점을 걷다 우연히 발견이라도 하면 그녀에게 이 물건은 절대로 사면 안 된다고 버릇처럼 다짐을 받기도 한다. 바로 레이스 달린 여성용 덧신이다. 평생 내가 신을 일도 없는 이 물건에 나는 이상하리만큼 예민하다. 하지만 오해해서는 안 된다. 개인의 취향과 기호는 있는 그대로 존중 되어야 하며, 덧신도 마찬가지다. 그래도 나는 여전히 덧신이 불편하다. 나는 그것을 왜 꺼려하게 되었을까?

 

곰곰이 생각해보면 그것을 볼 때마다 항상 머리 속에 떠오르는 사람이 있었다. 내가 그것을 꺼려하는 이유도 바로 그 사람 때문이 아닌가 한다. 바로 어머니다. 아니 좀 더 정확하게 말하자면 어렸을 적 엄마가 떠오른다. 내가 중학생 때였는지, 고등학생 때였는지 정확하게 기억 나지는 않지만, 얼추 그 즈음부터 나는 엄마어머니라고 부르기 시작했다. 철이 들어서 그런 것도 아니고, 막연히 그렇게 부르면 철이 들어 보일까 싶어서 그렇게 불렀다. 또 그게 효도하는 길 인줄 알았다. 대학생 시절 용돈이 떨어져 어렵게 집에 전화 할 때는 어머니라는 말을 좀 더 낮고 애절하게 부르기도 했다. 그러다 직장을 얻고 스스로 벌이를 시작하게 되면서부터 연락은 아주 뜸해졌고 요즘은 거리감이라도 줄이고 싶어 그냥 엄니라고 부르고 있다.

 

내가 아직은 당신을 엄마라고 부를 때의 일이었다. 저녁 일을 마치고 돌아온 당신은 유난히 어두운 낯빛으로 늦은 저녁을 차리기 시작했다. 반찬 통 몇 개를 꺼내고는 그대로 식탁 위에 올려 두고 드셨다. 당시 우리 집은 반찬을 작은 접시에 따로 담지 않았다. 그것은 무한히 반복되는 설거지만 늘릴 뿐이었고 드라마에서만 가능한 사치였다. 그 날 분명 엄마는 기분이 좋지 않아 보였다. 누나가 없는 때 일수록 막내인 내가 잘하고 싶었다. 나는 냄비 뚜껑을 열고 콩나물이 가득 든 식은 육개장을 데우기 시작했다. 그런데 얼마 지나지 않아 엄마가 나를 향해 다그치듯 말씀하셨다.

 

냄비 뚜껑은 닫고 데워야지. 그래야 쪼매 라도 까스 덜 쓰지!”

 

나는 멍해졌다. 딴에는 잘해보려고 했는데 서운한 마음과 함께 그 순간 머리 속에는 아니 냄비 뚜껑을 닫고 데우면 뭐 얼마나 가스가 더 아껴진다고하는 불만이 스쳐 지나갔다. 그런데 그것도 잠시 문득 바라본 그녀의 모습에서 곧 울음이 터져나올 듯한 어떤 슬픔이 보였다. 어린 나에게도 느껴지는 지독한 삶의 고단함 같은 것이었다. 그리고 그것은 참고 참았을 서러움이 어린 아들 앞에서 난데 없이 툭 하고 터져버린 당혹감 같은 것이기도 했다. 그녀는 그렁그렁해진 눈을 집 안 어디에도 두지 못하고 꽃처럼 붉어진 얼굴을 푹 숙인 채 말없이 밥만 입 안으로 밀어 넣고 있었다.

 

... 오늘은 또 누가 우리 엄마를 이렇게 힘들게 한 것 일까. 붕어빵 기계에 달린 반죽 호스를 이유도 없이 자르고 도망 간 그 호로 자식이었을까. 아니면 어렵게 찾아 간 은행에서 이름 석자 제대로 못 쓴다고 면박 준 나쁜 여직원이었을까.

 

당시 그녀는 레이스 달린 덧신자주 신곤 했다. 나는 요즘도 그것과 비슷한 덧신을 볼 때마다 그 때 그 엄마의 고단해 하던 표정이 떠올라 마음이 저릿하다. 그 고단함의 아주 많은 부분이 바로 나로 인한 것이었음을 안다. 내가 그 동안 길가에서 파는 덧신을 보면 마음이 움찔했던 것도 다 도둑이 제 발 저려서 그랬었나 보다. 그래도 그나마 다행스러운 것은 엄마어머니가 되고, 다시 어머니엄니로 변해가는 동안 그녀는 더 많이 세련되어 졌고, 얼굴에도 자주 웃음꽃이 핀다는 사실이다. 자식들은 모두 장성했고, 하나 남은 아들도 이제 곧 결혼을 하기 때문이다. ‘엄니의 얼굴에 앞으로도 웃음꽃만 가득했으면 좋겠다.

 

그리고 오는 일요일에는 예단을 드리러 안동 고향집에 간다. 갈 때 잊지 말고 꼭 예쁜 덧신 하나 사서 가야겠다.

 

 

) 심순덕 시인의 시() 한 편 첨부 합니다.

 

<엄마는 그래도 되는 줄 알았습니다>

 

엄마는

그래도 되는 줄 알았습니다

하루 종일 밭에서 죽어라 힘들게 일해도

 

엄마는

그래도 되는 줄 알았습니다

찬밥 한덩이로 대충 부뚜막에 앉아 점심을 때워도

 

엄마는

그래도 되는 줄 알았습니다

한겨울 냇물에서 맨손으로 빨래를 방망이질 해도

 

엄마는

그래도 되는 줄 알았습니다

배 부르다 생각없다 식구들 다 먹이고 굶어도

 

엄마는

그래도 되는 줄 알았습니다

발 뒤꿈치 다 헤져 이불이 소리를 내도

 

엄마는

그래도 되는 줄 알았습니다

손톱이 깎을 수조차 없이 닳고 문드러져도

 

엄마는

그래도 되는 줄 알았습니다

아버지가 화내고 자식들이 속 썩여도 전혀 끄떡없는

 

엄마는

그래도 되는 줄 알았습니다

외할머니 보고싶다

외할머니 보고싶다 그것이 그냥 넋두리 인줄만-

 

한밤중 자다 깨어 방구석에서 한없이 소리 죽여 울던

엄마를 본 후론

!

엄마는 그러면 안 되는 것이었습니다

IP *.39.138.196

프로필 이미지
2017.10.16 01:15:02 *.18.218.234

아후 좋다. 지금까지 읽은 정욱씨 글 중 제일 좋다.  

프로필 이미지
2017.10.16 08:12:16 *.124.22.184

아침부터 뭉클하네요. ㅠ

프로필 이미지
2017.10.18 05:44:06 *.106.204.231

짜슥~~ 감동주네.  예쁜 덧신 많이 사드려.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112 어제보다 나은 식당(28) - 밥보다 술을 팔아야 남지 박노진 2006.07.04 5403
5111 어제보다 나은 식당(29) - 싼 맛에 교포 아줌마 쓴다고? [1] 박노진 2006.07.04 6047
5110 어제보다 나은 식당(30) - 모든 것은 고객의 요구에서 시작된다. 박노진 2006.07.05 4429
5109 어제보다 나은 식당(31) - 행복한 직원, 만족한 고객 박노진 2006.07.06 5049
5108 어제보다 나은 식당(32) - 먼저 주어라, 그것도 왕창 퍼 주어라 박노진 2006.07.06 4920
5107 어제보다 나은 식당(33) - 홍보, 입소문이 최고야 박노진 2006.07.06 4754
5106 My First Book 내용 전개 ver 0.5 file [1] 정경빈 2006.07.07 5155
5105 어제보다 나은 식당(34) - 종업원들을 인간적으로 대해주어라.(1) 박노진 2006.07.12 4358
5104 어제보다 나은 식당(35) - 당신만의 무엇, 그것을 찾아라 박노진 2006.07.12 4774
5103 어제보다 나은 식당(36) - 행동은 말보다 크게 울린다 박노진 2006.07.12 4710
5102 어제보다 나은 식당(37) - 계획된 투자, 1년의 고통 박노진` 2006.07.13 4994
5101 어제보다 나은 식당(38) - 식당비즈니스에 관한 꿈 1(꿈의 법칙) 박노진 2006.07.17 5189
5100 어제보다 나은 식당(39) - 식당비즈니스의 꿈 2(장점과 단점을 살려라) 박노진 2006.07.17 4482
5099 어제보다 나은 식당(40) - 식당비즈니스의 꿈 3(미래의 법칙) 박노진 2006.07.17 4525
5098 어제보다 나은 식당(41) - 식당비즈니스의 꿈 4(시간의 법칙) 박노진 2006.07.17 4579
5097 어제보다 나은 식당(42) - 프롤로그 1 박노진 2006.07.19 4195
5096 어제보다 나은 식당(43) - 프롤로그 2 박노진 2006.07.19 4401
5095 어제보다 나은 식당(44)- 프롤로그 3 박노진 2006.07.19 4089
5094 어제보다 나은 식당(45) - 프롤로그 4 박노진 2006.07.19 4098
5093 어제보다 나은 식당(46) - 프롤로그 5 박노진 2006.07.19 36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