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정욱
- 조회 수 1309
- 댓글 수 1
- 추천 수 0
<직장 생활에서 지치지 않는 TIP – 직장 상사 편>
나는
직장생활 7년차다. 이 글은 이제 갓 회사에 입사를 했거나, 입사 후 누구에게나 찾아온다는 3년차의 고비가 아직 찾아오지 않은
초년생들 여러분들에게 전하고 싶다. 여러분들은 지금 직장 생활에 잘 적응하고 있는지 궁금하다. 매일 매일 전쟁터 속에서 외로이 고군분투하는 라이언 일병의 모습을 하고 있지는 않은지 걱정이다. 많은 직장인들에게 물어 보았다. 직장 생활을 하면서 무엇 때문에
지치게 되는지. 많은 사람들이 꼽은 이유 가운데는 과다한 업무, 적은
연봉, 내가 정말 복사하는 기계로 거듭나기 위해 그 힘든 구직 활동을 했나 싶을 만큼 낮은 보람 그리고
상사와의 삐뚤어진 관계를 꼽았다.
그
가운데 실제로 이직을 (어느 정도는 홧김에) 실행하게 만들어
버리기도 하는 강력한 힘을 가진 원인이 바로 상사와의 삐뚤어진 관계가 아닐까 한다. 초년생들이여! 지치지 말자. 대한민국 평균에서 조금 이하인 나도 지난 직장생활 7년 동안 줄곧 같은 팀에서 막내로 있었다. 그 사이 많은 선배들이
오고 갔다. 특별한 문제는 없었다. 소소하지만 사소하지 않은
직장 생활에서 지치지 않는 TIP, 그 첫 번째 직장 상사와의 관계를 이야기 해 보고자 한다. 직장 상사와의 관계를 부드럽게 하는 실전 팁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을까?
첫 번째 팁은 ‘바로 조직 내에서 자신이 믿고 따를 믿을 만한 롤 모델 하나를 찾으라는 것’이다. 직급 무관이다. 사원은 무조건 대리를, 경력직 대리는 과장이나 차장 직급의 사람을 따라야 하는 것은 아니다. 어떻게
찾냐고? 아무리 둔감한 사람이라도 조금 지나보면 쉽게 알 수 있다. 송곳은
주머니 속에 감춰두어도 무리 속에서 눈에 띄게 마련이다. 이 사람이다 싶은 사람이 보이면 직급과 관계
없이 그 사람이 습관, 행동, 보고 방식, 노는 것, 취미 모두를 카피해 보자. 여기서 중요한 것은 ‘진심’이다. 그 사람의 역량과 회사 내에서의 역할 그리고 에티튜드 모두를 진심으로 좇아서 따라 해야 한다는 것이다. 같은 팀에서 롤 모델을 찾을 수 있다면 그것은 둘도 없는 행운이다.
두 번째 팁은 ‘상사와 대화를 할 때는 무슨 일이 있어도 눈을 마주보고 하라는 것’이다. “엥? 그게 왜?”라고 의문이 들 수도 있다. 그런데 이 것이 참 사소한 것 같으면서도
참 어려운 일이다. 지금 당장은 맡은 업무가 적어서 상사의 실없는 농담에도 깔깔깔 웃으며 받아 줄 여유가
있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본인이 맡은 업무가 하나 둘 많아지기 시작하면 아마 생각이 달라질 것이다. 가끔씩은 일할 때 말 거는 선배가 야속하게 느껴질 때도 있을 것이다. 그러다
본인도 모르게 대답은 대답대로 하면서 눈은 나의 컴퓨터 모니터 화면에 박히기 일쑤다. 그래도 그러지
말자. 그 잠시 멈춤이 우리에게 주는 효과는 의외로 크다. 나는
아예 선배들이 등 뒤에서 부르면 하던 것을 그대로 멈추고 돌아서서 앉는다. 듣는 척만 하는 것도 곤란하다. 상사들은
바보가 아니다. 그럼에도 선배들이 질문을 하거나 말을 걸 때,
아예 돌려 앉지는 못하는 상황이라면 그래도 고개를 돌려 눈이라도
계속 마주치자. 물론 바쁠 수도 있다. 이해한다. 대화를 할 때 눈을 항상 마주친다는 것은 단순히 매너를 지키자는 것 이상의 의미를 가진다. 업무를 백 미터 달리기 하듯 모니터만 뚫어져라 쳐다보며 하다가는 금새 지치고 만다. 잠시 멈춤이 스스로 업무의 완급을 조절하는 법을 배우는 기회가 되기도 한다.
세
번째는 단순하다. 지금 당신이 하고 있는 일 가운데, 중요한
일과 급한 일이 있다. 그렇다면 어떤 일부터 해야 할까? 중요한
일을 하자니, 급한 일이 마음에 걸리고, 급한 일부터 마무리를
하자니 벌써 며칠 째 방치되고 있던 중요한 일이 눈 앞에 아른거린다. ‘그럴 때는 고민하지 말고, 상사가 급하게 지시한 일부터 하자’. 그것이 답이다. 물론 간혹 예외적인 상황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더러 어떤 상사는 일을 지시할 때부터 매일같이 ‘급하다, 급하다’를 입에 달고 사는 사람일수도 있다. 그럴 때는 ‘급하다’는
신호에 속지 말고, ‘진짜’ 급하다는 신호를 그가 어떻게
보내는 지 잘 관찰해 보자.
누구나
처음 낯선 조직에 들어가 그들과 일원이 되면, 당신 보다 먼저 그 조직에 몸담고 있는 사람이 있기 마련이다. 우리는 그들을 ‘선배’ 또는
‘상사’라고 부른다. 이
세상의 상사라는 인간(?)들의 종류는 얼마나 될까? 나는
상사의 종류는 이 세상에 존재하는 사람의 수만큼 다양하다고 생각한다. 다시 말해 모든 상사들은 그 특성이
제각기 모두 다르다. 여기서 우리가 인지하고 가야 할 가장 중요한 베이직 에티튜드(Attitude) 하나, 그것은 모든 선배들에게 맞춰줄 수 있는 후배는
없다는 사실이다. 제 버릇은 남에게 줄 수 없다. 그들에게
자꾸만 억지로 맞추려 하다가는 자기가 병든다. 최선을 다 하되, 자신의
능력 밖의 노력이라고 생각 되는 부분은 손을 들어야 한다. 이 사람 저 사람 다 맞추려다가 자기만 병
난다. 최선을 다 하되, 모든 사람을 만족시킬 수는 없다는
사실, 이것 하나부터 인정하고 시작하자. 한결 시작이 가벼워진다.
상사와의
관계에 대한 해법을 압축적으로 나타내는 아주 멋진 말이 있다. 그것은 바로 “미래의 자신의 후배가 자신에게 해주었으면
하는 대로 상사를 대하자”이다. 역지사지(易地思之)라고
생각할 수도 있을 것이다. 물론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도 관계 개선이 안 되는 상사들이 있을 수 있다. 그럴 때는 너무 무리하지 말자. 내가 지쳐서는 곤란하다. 내가 직장 생활에 지쳐 가고 있다는 것을 자가 진단해 볼 수 있다. 다음
번 기회에 다시 다루기로 하자. 거듭 말하지만 직장 생활에 있어 해답은 없다. 다만 내가 조직에 속해 직장 생활을 하지 않고, 혼자 자영업을 하게
되더라도 변하지 않는 사실이 있다. 그것은 바로 일과 동료, 그리고
상사를 대하는 나의 마음가짐과 태도이다. 내가 지치지 않는 것이 제일 중요하다. 그 외의 모든 것들은 그 다음이다.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4812 | (28) 글 쓰기 "놀이"의 딜레마 | 香仁 이은남 | 2007.10.21 | 2391 |
4811 | [29] 노모와 땡중 사이, 그녀의 놀이감 [2] | 써니 | 2007.10.21 | 2877 |
4810 | 혼자놀기-신이 숨겨둔 장난감 찾기놀이 | 우제 | 2007.10.21 | 3116 |
4809 | 연구원 놀이터에서 춤을 추다 [4] | 素賢소현 | 2007.10.22 | 2192 |
4808 | 네 안의 너와 놀아봐. [5] | 호정 | 2007.10.22 | 2335 |
4807 | [칼럼 29] 딱지 따먹기 [1] | 余海 송창용 | 2007.10.22 | 4186 |
4806 | (29) 놀고들 있네! [3] | 時田 김도윤 | 2007.10.22 | 2522 |
4805 | 의식주 문제를 놀이로 만드는 법 [2] | 현운 이희석 | 2007.10.22 | 2760 |
4804 | [칼럼29]거위의 꿈. [5] | 素田최영훈 | 2007.10.22 | 2543 |
4803 | [칼럼026] 가는 곳마다 모임이 생기는 남자 [2] | 香山 신종윤 | 2007.10.22 | 2933 |
4802 | [칼럼 29] 그녀, 연애를 시작하다 [6] | 海瀞 오윤 | 2007.10.22 | 2726 |
4801 | [29] 놀이로 이끄는 사람 vs. 놀이의 파괴자 | 교정 한정화 | 2007.10.22 | 2678 |
4800 | (29) 맛있는 인생을 위하여 [4] | 박승오 | 2007.10.22 | 2876 |
4799 | (29) 시와 더불어 궁시렁.. [5] | 香仁 이은남 | 2007.10.26 | 2610 |
4798 | [30-1] 한 떨기 꽃의 염원 [2] | 써니 | 2007.10.28 | 2646 |
4797 | 금강(錦江)에서 당신께. [7] | 호정 | 2007.10.28 | 3291 |
4796 | 나는 왜 주관적인 글쓰기를 두려워 하는가 [2] | 우제 | 2007.10.28 | 2113 |
4795 | (30) 오랫동안 아팠습니다. [6] | 옹박 | 2007.10.29 | 2683 |
4794 | 가을 산길을 걸으며 [2] | 素田 최영훈 | 2007.10.29 | 2218 |
4793 | [칼럼 30] ‘人’인가? ‘業家’인가? [2] | 余海 송창용 | 2007.10.29 | 226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