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연구원

칼럼

연구원들이

  • 뚱냥이
  • 조회 수 1026
  • 댓글 수 1
  • 추천 수 0
2017년 11월 13일 14시 00분 등록

담다

 

 

어렸을 적 할머니께서는 소위 스댕 그릇에

시원한 묵사발을 만들어 주셨습니다.

어찌나 시원하고 새콤하던지.

 

스댕(스테인레스) 사발은 매번 변신을 했습니다.

알싸한 김치말이국수를 담기도,

뜨끈한 잔치국수를 감싸기도 했습니다.

 

여기서 재미있는 점은

우리집 진도(진돗개)의 밥그릇도

나와 똑 같은 스댕 그릇이었다는 것입니다.

 

마트에서 구매한 예쁜 바구니에

빨래거리를 담으면 빨래통이 됩니다.

재활용 쓰레기를 담으면 쓰레기통이 됩니다.

 

다 마신 우유팩에 꽃을 심으면

자신만의 화분이 되고

담배꽁초를 버리면 재떨이가 됩니다.

 

무엇을 담느냐에 따라 하나는 개밥그릇으로

하나는 할머니를 담은 추억이 됩니다.

화분이 되어 인테리어의 소품이 되지만,

하찮은 쓰레기가 될 수도 있는 것입니다.

 

우리는 우리의 머리속에

어떤 생각을 담고 있을까요?

우리의 입에는

무슨 말을 담고 있을까요?

 

부정적인 생각을 담는다면

패배자로 전락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곱지 않은 말을 입에 담는다면

곱지 않은 시선을 받을 것입니다.

 

내 자신을 하찮은 존재로 만들 것인지

가치 있는 존재로 만들지는

어떤 생각을 그리고 무슨 말을

담느냐에 따라 달라질 것입니다.

 

여러분은 무엇을 담겠습니까?

 

 

------------------------------------------------------------------------------------

 

나무야 나무야

 

 

열매를 수확하기 위해서는

따뜻한 봄에 씨를 뿌려야 합니다.

그 씨앗은 여름을 먹으며 무럭무럭 자라나,

가을이 되어 거두어 집니다.

수확에는 꼬박 1년이 걸립니다.

 

하지만 여기 매일 수확할 수 있는 나무가 있습니다.

아침에 씨를 뿌려

오전의 치열함을 먹고 자라나

오후에 무르익어

저녁에 열매를 맺어 수확을 하는 나무가 있습니다.

 

바로 라는 나무입니다.

우리는 매일 아침 일어나

각자의 삶 속에서 익어

배움이라는 열매를 맺습니다.

 

오늘 하루를 돌아봤을 때

한 일이 없다고 생각되나요?

한 일도 없는데

하루가 훌쩍 가버렸다고 느끼나요?

그런 생각과 느낌도

그 하루의 배움이고 열매입니다.

 

당신은 정말 많은 일을 했습니다.

당신의 삶에 온전히 당신이 있었습니다.

 

성취를 하지 못함을 아는 것도 성취입니다.

작은 기쁨에 취해 미소 짓던 것도

큰 실망에 눈물지었던 것도

모두 오늘의 열매입니다.

 

명심하세요.

당신은 배움이라는 열매를 매일 얻고 있습니다.

 

 

IP *.120.112.77

프로필 이미지
2017.11.15 13:15:21 *.75.253.245

잘 봤어요~ 

뚱냥이 형 자신에게 하고 싶어하는 말인 것 같기도 하네요^^


토요일에 봐요~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212 [기업팀] 01 HR관련 웹사이트 [38] [5] 오세나 2005.06.03 21793
5211 [기업팀] 00 프로젝트 개요 [1] 오세나 2005.06.03 15475
5210 [기업팀] 02 한국적 인사제도 관련 글 모음 [1] 오세나 2005.06.03 9215
5209 [기업팀] 03 한국 특징 정리 file [4] [22] 오세나 2005.06.03 24446
5208 [기업팀] 04 한국 기업의 인사제도 특이 사례 모음 file [23] 오세나 2005.06.03 16439
5207 [기업팀] 05 한국의 특징 상세자료 file [1] 오세나 2005.06.03 13413
5206 [기업팀] 00 프로젝트 회의록_01 오세나 2005.06.03 10680
5205 [기업팀] 00 프로젝트 회의록 _02 file [15] 오세나 2005.06.15 12067
5204 [기업팀] 06 도서정리_2 <First, Break all the Rules> 오세나 2005.06.15 10954
5203 [기업팀] 06 도서정리_1 <성과창출을 위한 실무 인적관리> 문요한 2005.06.15 10104
5202 [기업팀] 06 도서정리_3 <조직의 성쇠> 박노진 2005.06.15 9830
5201 한국성과 유한킴벌리 사례연구 [2] [3] 박노진 2005.07.03 16070
5200 [한국성(Koreanity)] 관계: 국내기업의 간단한 사례 홍승완 2005.07.04 9357
5199 유한킴벌리 연구 1 박노진 2005.07.12 9816
5198 유한킴벌리 연구 2 박노진 2005.07.12 9145
5197 유한킴벌리 연구 3 박노진 2005.07.12 9342
5196 유한킴벌리 연구 4 박노진 2005.07.12 9437
5195 우한킴벌리 연구 5 - 4조 2교대의 사회적 의미 [4] [16] 박노진 2005.07.17 14669
5194 직무스트레스와 한국형 근로자 지원제도의 필요성 [2] [1] 문요한 2005.07.28 11761
5193 유한킴벌리 연구 6 - 인적자원관리 박노진 2005.08.02 188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