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뚱냥이
 - 조회 수 2474
 - 댓글 수 1
 - 추천 수 0
 
담다
어렸을 적 할머니께서는 소위 스댕 그릇에
시원한 묵사발을 만들어 주셨습니다.
어찌나 시원하고 새콤하던지.
스댕(스테인레스) 사발은 매번 변신을 했습니다.
알싸한 김치말이국수를 담기도,
뜨끈한 잔치국수를 감싸기도 했습니다.
여기서 재미있는 점은
우리집 진도(진돗개)의 밥그릇도
나와 똑 같은 스댕 그릇이었다는 것입니다.
마트에서 구매한 예쁜 바구니에
빨래거리를 담으면 빨래통이 됩니다.
재활용 쓰레기를 담으면 쓰레기통이 됩니다.
다 마신 우유팩에 꽃을 심으면
자신만의 화분이 되고
담배꽁초를 버리면 재떨이가 됩니다.
무엇을 담느냐에 따라 하나는 개밥그릇으로
하나는 할머니를 담은 추억이 됩니다.
화분이 되어 인테리어의 소품이 되지만,
하찮은 쓰레기가 될 수도 있는 것입니다.
우리는 우리의 머리속에
어떤 생각을 담고 있을까요?
우리의 입에는
무슨 말을 담고 있을까요?
부정적인 생각을 담는다면
패배자로 전락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곱지 않은 말을 입에 담는다면
곱지 않은 시선을 받을 것입니다.
내 자신을 하찮은 존재로 만들 것인지
가치 있는 존재로 만들지는
어떤 생각을 그리고 무슨 말을
담느냐에 따라 달라질 것입니다.
여러분은 무엇을 담겠습니까?
------------------------------------------------------------------------------------
나무야 나무야
열매를 수확하기 위해서는
따뜻한 봄에 씨를 뿌려야 합니다.
그 씨앗은 여름을 먹으며 무럭무럭 자라나,
가을이 되어 거두어 집니다.
수확에는 꼬박 1년이 걸립니다.
하지만 여기 매일 수확할 수 있는 나무가 있습니다.
아침에 씨를 뿌려
오전의 치열함을 먹고 자라나
오후에 무르익어
저녁에 열매를 맺어 수확을 하는 나무가 있습니다.
바로 ‘나’라는 나무입니다.
우리는 매일 아침 일어나
각자의 삶 속에서 익어
배움이라는 열매를 맺습니다.
오늘 하루를 돌아봤을 때
한 일이 없다고 생각되나요?
한 일도 없는데
하루가 훌쩍 가버렸다고 느끼나요?
그런 생각과 느낌도
그 하루의 배움이고 열매입니다.
당신은 정말 많은 일을 했습니다.
당신의 삶에 온전히 당신이 있었습니다.
성취를 하지 못함을 아는 것도 성취입니다.
작은 기쁨에 취해 미소 짓던 것도
큰 실망에 눈물지었던 것도
모두 오늘의 열매입니다.
명심하세요.
당신은 배움이라는 열매를 매일 얻고 있습니다.
|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 5212 | 
                    
                         
                        [33] 시련(11) 자장면 한 그릇의 기억                     |                                                                                                                                                                                                                 앤 | 2009.01.12 | 205 | 
| 5211 | 
                    
                         
                        [36] 시련12. 잘못 꿴 인연                     |                                                                                                                                                                                                                 지희 | 2009.01.20 | 209 | 
| 5210 | 
                    
                         
                        [38] 시련 14. 당신이 사랑을 고백하는 그 사람.                     |                                                                                                                                                                                                                 지희 | 2009.02.10 | 258 | 
| 5209 | 
                    
                         
                        [32] 시련 10.   용맹한 투사 같은 당신                     |                                                                                                                                                                                                                 앤 | 2008.12.29 | 283 | 
| 5208 | 
                    
                         
                        [37] 시련. 13. 다시 만날 이름  아빠                     |                                                                                                                                                                                                                 앤 | 2009.01.27 | 283 | 
| 5207 | 
                    
                         
                        [28] 시련(7)  우리가 정말 사랑했을까                     |                                                                                                                                                                                                                 지희 | 2008.11.17 | 330 | 
| 5206 | 칼럼 #18 스프레이 락카 사건 (정승훈) [4] | 정승훈 | 2017.09.09 | 2072 | 
| 5205 | 마흔, 유혹할 수 없는 나이 [7] | 모닝 | 2017.04.16 | 2077 | 
| 5204 | [칼럼3] 편지, 그 아련한 기억들(정승훈) [1] | 오늘 후회없이 | 2017.04.29 | 2094 | 
| 5203 | 9월 오프모임 후기_느리게 걷기 [1] | 뚱냥이 | 2017.09.24 | 2132 | 
| 5202 | 
                    
                         
                        7. 사랑스런 나의 영웅                     |                                                                                                                                                                                                                 해피맘CEO | 2018.04.23 | 2136 | 
| 5201 | 2. 가장 비우고 싶은 것은 무엇인가? | 아난다 | 2018.03.05 | 2167 | 
| 5200 | 
                    
                         
                        #6 역사가 있는 풍경_정수일                     |                                                                                                                                                                                                                 정수일 | 2014.05.18 | 2175 | 
| 5199 | 그땐 울어도 될 것 같구나 [7] | 유형선 | 2013.07.15 | 2176 | 
| 5198 | 엄마가 필요해 [4] | 왕참치 | 2014.12.22 | 2177 | 
| 5197 | 단상 in Mongol [3] | 차칸양 | 2013.08.20 | 2178 | 
| 5196 | 지혜의 열매 [8] | 어니언 | 2014.06.09 | 2178 | 
| 5195 | #15 등교_정수일 [10] | 정수일 | 2014.07.20 | 2179 | 
| 5194 | #42 엔지니어 - ing [2] | 희동이 | 2015.02.09 | 2179 | 
| 5193 | 그래 마음껏 바닥을 쳐보자 [6] | 녕이~ | 2014.06.02 | 2182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