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2017년 11월 24일 07시 51분 등록

지방의 한 호텔방에서 이 글을 쓰고 있습니다. 지난 월요일부터 머물고 있으니 꽤 긴 출장입니다. 매일 아침 일어나 출근을 하고 점심엔 도시락을 먹고 일을 마친 후엔 맛집 탐방을 다니는 것이 일상이 되었네요. 11월은 일이 많아 쉬는 날이 거의 없었습니다. 10월 초 긴 휴가 때문에 매출이 반토막이 나서 걱정했는데 기우였네요.


1인 기업가로 활동하면서 가장 큰 불안은 '불규칙한 수입'입니다. 직장생활을 할 때는 일이 많으나 적으나 일정한 수입이 있었지만 1인 기업가는 일한 만큼 벌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일이 없으면 마음 속 걱정이 조금씩 자라납니다. 아무도 저에게 돈을 더 벌라고 하는 사람은 없습니다. 하지만 수입이 줄면 쓸모없는 존재인것 같아 자괴감이 듭니다. 이러다 영영 잊혀지는 것이 아닌가 불안감이 올라옵니다. 하지만 3년 동안 사업을 하면서 얻은 깨달음이 있습니다. 그것이 걱정이 올라올 때마다 외우는 만트라가 되었습니다. 바로 "신은 우리에게 일용할 양식을 주신다"입니다. 신은 언제나 그러셨습니다.   


꿈벗여행에서 구본형 선생님께 단식을 하는 이유를 여쭌 적이 있었습니다. 선생님은 이리 말씀하셨습니다. "우리는 언제나 밥에 매여 살지 않느냐? 자발적 빈곤을 통해 '밥'과 '존재'의 화해를 시도해보는 것이다. 밥벌이에 얽매이지 않고 자신이 하고 싶은 일을 진지하게 생각해 보는 것이다. 굶어보니 어떠하냐? 생각보다 괜찮지 않느냐? 우리는 아주 조금 먹고도 얼마든지 살 수 있다." 2박 3일 동안 단식을 해보니 별로 배가 고프지 않았습니다. 우리는 항상 '먹고 살기 위해 어쩔 수 없다'고 핑계를 대지만 사실 먹고 사는데는 큰 돈이 들지 않습니다. 우리는 어쩌면 막연한 불안과 두려움, 탐욕과 허세 때문에 현재의 삶에 머물러 있는지도 모릅니다.


저도 그랬습니다. 제 인생 최고의 연봉을 받던 시절, 저는 '가족을 위해서 버텨야 한다'고 생각했습니다. 이 나이에 이 정도 연봉을 주는 곳이 어디있어? 내가 여기까지 오느라 얼마나 고생했는데. 회사와 자리에 대한 미련, 그리고 본전생각으로 저는 버티고 버텼습니다. 그러다 결국 큰 탈이 나고 말았지요. 제가 결단을 내리지 못한 가장 큰 이유는 욕심 때문이었습니다. 또한 남을 의식하는 마음 때문이었습니다. 지금 생각하니 참으로 어리석었습니다. 


막연한 두려움 때문에 불만족한 삶에 머물러 있는 직장인들이 많습니다. 왜 그렇게 사느냐고 물으면 가족 때문이라고 말합니다. 하지만 사실은 자기 자신 때문인 경우가 많습니다. 새로운 도전에 자신이 없어서, 새로운 변화에 적응하기가 힘드니까 머물러 있는 것입니다. 삶에 전환이 필요하다면 용기를 내야 합니다. 젖먹던 힘까지 끌어올려 결단을 내려야 합니다. 하지만 지금 당장 자리를 박차고 일어설 필요는 없습니다. 자신이 원하는 것을 명확히 하고 계획을 세워 하나하나 실천하며 때를 기다리는 것도 좋습니다. 하지만 너무 오래 미루지는 말아야 합니다. 


제가 직장인일 때 세상엔 온통 직장인들만 있었습니다. 그땐 회사를 나가면 굶어 죽는줄 알았습니다. 회사를 나오니 회사에 다니지 않고다 잘먹고 잘사는 사람들이 아주 많습니다. 왜 그리 어리석게 살았나 후회가 되기도 합니다. 최고 연봉일 때 만큼은 아니지만 저는 요즘 생활에 필요한 충분한 돈을 벌고 있습니다. 하고 싶은 공부도 하고 가끔은 낮잠을 잘 수 있는 여유도 부릴 수 있습니다. 그러니 그대도 뭔가 하고 싶은 일이 있다면 용기를 내세요. 그 일을 해도 절대 굶어 죽지 않습니다. 신은 우리에게 일용할 양식은 주십니다. 



[알림1] 박승오 연구원이 일하는 성천문화재단에서 베스트셀러 작가인 안광복 선생님을 모시고 '철학, 역사를 만나다' 강의를 진행합니다. 한 해의 마무리로 철학을 통해 자신을 돌아보고 싶은 분을 기다립니다. http://www.bhgoo.com/2011/index.php?mid=free&document_srl=833720


[알림2] 수희향 연구원이 운영하는 1인회사연구소에서 2018년 6기 연구원을 모집합니다. 1인 지식기업가로 살아가고자 하는 분들의 많은 관심을 바랍니다. http://www.bhgoo.com/2011/index.php?mid=free&document_srl=833409 


IP *.93.177.136

프로필 이미지
2017.11.24 08:12:00 *.8.191.103

"본전생각",  "가족", "두려움"

오늘은 이 세 단어가 혼란스러운 제 마음속에 고요함을 던져주는 것 같습니다.

저 또한 그렇게 생각해왔고 막연한 두려움 속에서 하루하루 근근히(?) 버티고 있었다는 생각이 듭니다.

아직 박차고 세상을 나갈 준비는 안됐지만 우리에게 일용할 양식을 주시는 신께서 계신다면

지금부터 조금씩 준비해 나가는 삶의 자세가 필요할 것 같습니다.

좋은 글에 피곤한 금요일의 아침이 번뜩 뜨이는 하루가 될 것 같습니다.


잘 읽었습니다.

프로필 이미지
2017.11.30 21:17:01 *.35.229.12

그럼요, 차근차근 준비하면 못할 일이 없습니다.

용기를 내서 삶의 변화를 만들어가시길 기원합니다.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176 텅 비어 있어 더 가득하다 [1] 옹박 2017.09.04 773
4175 기억의 회향(回向) 書元 2017.10.06 773
4174 [일상에 스민 문학] 수녀원에서 온 편지 [4] 정재엽 2018.04.04 773
4173 관계의 고마움에 대해 생각해 봅니다 [4] 차칸양 2018.09.04 773
4172 [일상에 스민 문학] 오독(誤讀)할 자유 [2] 정재엽 2018.09.19 773
4171 목요편지 - 한 해를 보내며 [1] 운제 2018.12.27 773
4170 가족처방전 – 명절에 시댁에 가지 않습니다, 여덟 번째 이야기 제산 2018.12.10 774
4169 누리는 걸까, 소비당하는 걸까 [1] -창- 2017.09.09 775
4168 [금욜편지 40- 신화속 휴먼유형- 헤라클레스형 2-열정과 분노사이] 수희향 2018.06.08 775
4167 [금욜편지 98- 내가 만드는 나의 미래] 수희향 2019.07.26 775
4166 생각하는 갈대 운제 2020.03.12 775
4165 세 번째 생존자 [1] 어니언 2022.05.26 775
4164 [수요편지] 태초에 행동이 있었다 [1] 불씨 2023.06.07 775
4163 [금욜편지 22- 심연통과 5: 책쓰기 전략 (하편)] 수희향 2018.01.26 776
4162 가족처방전 – 명절에 시댁에 가지 않습니다, 두 번째 이야기 [1] 제산 2018.10.08 776
4161 65세, 경제적 문제없이 잘 살고자 한다면?(7편-투자수입이 중요한 이유) [1] 차칸양 2018.11.13 776
4160 [수요편지] enlivenment 불씨 2023.12.20 776
4159 [자유학년제 인문독서 #06] 삼국유사 (1부) 제산 2018.07.23 777
4158 [일상에 스민 문학] - 뉴욕에서의 한 가을 날 정재엽 2018.10.31 777
4157 [수요편지] 대추한알 [1] 불씨 2022.06.07 7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