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 이철민
  • 조회 수 867
  • 댓글 수 0
  • 추천 수 0
2017년 12월 7일 05시 38분 등록



상품은 눈으로 볼 수 있는 모양이 있어 설명이 쉽고 불량품도 쉽게 찾아낼 수 있습니다. 그래서 우리는 반품과 환불규정도 별도로 만들어 둡니다. 반면 서비스는 형체가 없어 설명도 어렵고 불량 서비스를 구별하기도 쉽지 않습니다. 직원이 반찬 그릇을 던지듯 내려놓아도 손님은 참아야 합니다. 퉁명함의 기준이 다르고 형체도 없기 때문이지요. 점포 안에서 도움을 요청할 때 직원의 사무적 어투를 손님이 지적하기란 애매합니다. 이것이 반복되거나 특별한 상황이 발생하는 것이 아니면 애매한 서비스를 이유로 상품을 반품하기는 뭔가 좀 이상합니다. 불량품에 대한 가장 쉬운 해결책이 반품이라면, 불량 서비스에 대한 가장 쉬운 해결책은 다시 오지 않는 것입니다. 마음에 들지 않는 서비스에 대해 개선을 요구하고 이러쿵저러쿵 설명을 하느니 조용히 발길을 돌리면 가장 확실하게 해결됩니다. 소비자는 쉽게 말하지 않습니다. 이런 상황들이 누적되면서 매출은 서서히 감소됩니다. 돈 받고 파는 것이 아닌 서비스 때문에 경영이 어려워지게 되는 것입니다.

 

상품을 팔고 싶다면 길을 놓듯 서비스의 과정을 잘 만들어 놓으세요. 그렇지 않으면 고객은 온전한 구매에 도달하지 못합니다. 서비스, 이것이 마케팅에 도달하는 성공과 실패의 분기점입니다. 상품 판매가 판매자의 목적이라면 서비스 받고 싶은 것은 구매자의 목적 중 하나입니다. 구매자는 좋은 서비스를 받으며 구매에 이르고 싶어 하지요. 산다고 다 만족했다는 뜻은 아닙니다. 온전한 구매의 완성은 서비스의 완성으로 이루어집니다.

 

국수 값을 받으며 사무적으로 오천 원입니다라고 말하고 돈을 받는 과정은 무리가 없습니다. 그러나 그것은 하수의 계산방식입니다. 고수는 그 순간에도 맛있게 먹었는지, 불편함은 없었는지, 다음에는 더 맛있게 만들겠다는 이야기를 하며 감사의 마음을 표현합니다. 서비스를 통해 상품에 이르고 만족감을 배가시키는 마케팅 촉진방법입니다.

만약 손님마다 자신이 받은 서비스를 레벨로 표시할 수 있다면 점포의 재방문율은 예측 가능해 질 것입니다. 그것으로 사업주는 단점과 보완점을 만들 수 있을 테니 말입니다. 그러나 손님은 서비스의 레벨을 알려주지 않습니다. 불편한 서비스는 다시 오지 않으면 되고 상품은 어디든 넘쳐나기 때문이지요. 한 점포의 매출 수준은 상품이 아니라 서비스 수준으로 결정됩니다.






***** 변화경영연구소 알림 *****



[알림] 다음 주 12/9(토)에 4호선 삼각지역 근처에서 변화경영연구소 송년회가 있습니다. 변경연을 사랑하는 사람이라면 어떤 분이든 대 환영입니다. 흘러가는 2017년 의 끝자락을 여러분들의 이야기로 채우고 싶습니다. 많은 반가운 얼굴들을 보고 이야기 나누시려면 링크를 클릭하세요.

[알림] <처음 읽는 서양철학사>, <철학, 역사를 만나다> 등의 베스트셀러를 쓴 안광복 작가의 철학 강의가 열립니다. 인류 문명을 이끄는 철학의 역할을 고찰함과 동시에, 철학을 통해 자신의 개인적 역사를 돌아보면 어떨지요? 자세한 내용은 링크를 클릭하세요.

[알림] 박경숙 연구원의 신간 <어쨌거나 회사를 다녀야 한다면>이 출간되었습니다. 회사에만 가면 우울해지는 업무무기력에서 빠져나오고 싶은 분들에게 권합니다.

[알림] 양재우 연구원이 운영하는 에코라이후에서 6기를 모집합니다. 경제와 인문 공부를 통해 삶의 변화를 꿈꾸는 분들을 기다립니다. 




IP *.221.234.154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656 [수요편지] 깨달음은 궁극인가 과정인가 [1] 불씨 2022.12.21 893
3655 목요편지 - 요즘 어떻게 지내십니까? 운제 2020.02.21 894
3654 목요편지 - 장마 [1] 운제 2020.07.23 894
3653 함께한 기억(4/14 마음편지) [1] 어니언 2022.04.21 894
3652 [라이프충전소] 나만의 오리지널을 구축하는 법 3.끝까지 가라 김글리 2022.06.10 894
3651 [라이프충전소] 발리에서 띄우는 편지 [4] 김글리 2022.07.30 894
3650 [화요편지] Into the unknown [2] 아난다 2020.01.14 895
3649 [라이프충전소] 나만의 세상을 만드는 가장 손쉬운 방법 [1] 김글리 2022.02.04 895
3648 스스로를 다시 보다 어니언 2023.08.24 895
3647 그림으로 말해요 – 세 번째 이야기 file [4] 제산 2017.08.13 896
3646 [수요편지 15- 명함없는 삶] [2] 수희향 2017.10.11 896
3645 목요편지 - 포근한 겨울 운제 2020.01.23 896
3644 불확실성에 대처하는 확실한 자세 [1] 어니언 2022.12.01 896
3643 [라이프충전소] 실패는 실패로만 끝나지 않는다 김글리 2023.01.27 896
3642 [수요편지] 인생을 바꾼 한마디 [1] 불씨 2023.03.21 896
3641 지속가능한 즐거움을 시작하라 file [2] 어니언 2023.06.29 896
3640 [화요편지] 나의 기쁨과 세상의 기쁨이 만나는 현장, ‘엄마의 시간통장’ file [1] 아난다 2019.05.14 897
3639 [수요편지] 그대, 할말을 어디에 두고 왔는가 장재용 2019.09.04 897
3638 [화요편지]9주차 미션보드 _ 내 안에서 보물찾기 아난다 2019.10.15 897
3637 화요편지 - 종종의 종종덕질 "무취미한 당신에게 필요한 것은 오디션 프로그램!" [2] 종종 2022.01.11 8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