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 이철민
  • 조회 수 880
  • 댓글 수 0
  • 추천 수 0
2017년 12월 7일 05시 38분 등록



상품은 눈으로 볼 수 있는 모양이 있어 설명이 쉽고 불량품도 쉽게 찾아낼 수 있습니다. 그래서 우리는 반품과 환불규정도 별도로 만들어 둡니다. 반면 서비스는 형체가 없어 설명도 어렵고 불량 서비스를 구별하기도 쉽지 않습니다. 직원이 반찬 그릇을 던지듯 내려놓아도 손님은 참아야 합니다. 퉁명함의 기준이 다르고 형체도 없기 때문이지요. 점포 안에서 도움을 요청할 때 직원의 사무적 어투를 손님이 지적하기란 애매합니다. 이것이 반복되거나 특별한 상황이 발생하는 것이 아니면 애매한 서비스를 이유로 상품을 반품하기는 뭔가 좀 이상합니다. 불량품에 대한 가장 쉬운 해결책이 반품이라면, 불량 서비스에 대한 가장 쉬운 해결책은 다시 오지 않는 것입니다. 마음에 들지 않는 서비스에 대해 개선을 요구하고 이러쿵저러쿵 설명을 하느니 조용히 발길을 돌리면 가장 확실하게 해결됩니다. 소비자는 쉽게 말하지 않습니다. 이런 상황들이 누적되면서 매출은 서서히 감소됩니다. 돈 받고 파는 것이 아닌 서비스 때문에 경영이 어려워지게 되는 것입니다.

 

상품을 팔고 싶다면 길을 놓듯 서비스의 과정을 잘 만들어 놓으세요. 그렇지 않으면 고객은 온전한 구매에 도달하지 못합니다. 서비스, 이것이 마케팅에 도달하는 성공과 실패의 분기점입니다. 상품 판매가 판매자의 목적이라면 서비스 받고 싶은 것은 구매자의 목적 중 하나입니다. 구매자는 좋은 서비스를 받으며 구매에 이르고 싶어 하지요. 산다고 다 만족했다는 뜻은 아닙니다. 온전한 구매의 완성은 서비스의 완성으로 이루어집니다.

 

국수 값을 받으며 사무적으로 오천 원입니다라고 말하고 돈을 받는 과정은 무리가 없습니다. 그러나 그것은 하수의 계산방식입니다. 고수는 그 순간에도 맛있게 먹었는지, 불편함은 없었는지, 다음에는 더 맛있게 만들겠다는 이야기를 하며 감사의 마음을 표현합니다. 서비스를 통해 상품에 이르고 만족감을 배가시키는 마케팅 촉진방법입니다.

만약 손님마다 자신이 받은 서비스를 레벨로 표시할 수 있다면 점포의 재방문율은 예측 가능해 질 것입니다. 그것으로 사업주는 단점과 보완점을 만들 수 있을 테니 말입니다. 그러나 손님은 서비스의 레벨을 알려주지 않습니다. 불편한 서비스는 다시 오지 않으면 되고 상품은 어디든 넘쳐나기 때문이지요. 한 점포의 매출 수준은 상품이 아니라 서비스 수준으로 결정됩니다.






***** 변화경영연구소 알림 *****



[알림] 다음 주 12/9(토)에 4호선 삼각지역 근처에서 변화경영연구소 송년회가 있습니다. 변경연을 사랑하는 사람이라면 어떤 분이든 대 환영입니다. 흘러가는 2017년 의 끝자락을 여러분들의 이야기로 채우고 싶습니다. 많은 반가운 얼굴들을 보고 이야기 나누시려면 링크를 클릭하세요.

[알림] <처음 읽는 서양철학사>, <철학, 역사를 만나다> 등의 베스트셀러를 쓴 안광복 작가의 철학 강의가 열립니다. 인류 문명을 이끄는 철학의 역할을 고찰함과 동시에, 철학을 통해 자신의 개인적 역사를 돌아보면 어떨지요? 자세한 내용은 링크를 클릭하세요.

[알림] 박경숙 연구원의 신간 <어쨌거나 회사를 다녀야 한다면>이 출간되었습니다. 회사에만 가면 우울해지는 업무무기력에서 빠져나오고 싶은 분들에게 권합니다.

[알림] 양재우 연구원이 운영하는 에코라이후에서 6기를 모집합니다. 경제와 인문 공부를 통해 삶의 변화를 꿈꾸는 분들을 기다립니다. 




IP *.221.234.154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616 자신에게 냉정한 통찰력을 발휘하라 [2] 이철민 2017.10.12 914
3615 [자유학년제 가족 독서 #04] 법구경 [2] 제산 2018.06.11 914
3614 [용기충전소] 모난 돌이라면 김글리 2020.04.16 914
3613 [용기충전소] 랜선시대, 피할 수 없다면 김글리 2020.07.17 914
3612 목요편지 - 생활의 발견 운제 2020.07.30 914
3611 무엇을 왜 아끼고 있나요 [1] -창- 2017.05.27 915
3610 첫 경험, 많이 해보셨나요?(전편) 차칸양 2017.09.05 915
3609 소점포 창업, 소박하고 디테일한 그림으로, [14] 이철민 2018.02.08 915
3608 [금욜편지 34- 유럽 에니어그램 공부] file [2] 수희향 2018.04.27 915
3607 [금욜편지 78- 사십 대, 인생의 중립지대] [6] 수희향 2019.03.01 915
3606 [자유학년제 인문독서] 28. 초등 고학년 자녀가 책을 읽지 않습니다. 제산 2019.07.01 915
3605 목요편지 - 새해 새 마음 운제 2020.01.03 915
3604 [수요편지] 월급쟁이 금욕주의자 장재용 2020.01.14 915
3603 [용기충전소] 도전의 가장 큰 적은 [2] 김글리 2020.07.09 915
3602 [화요편지]무엇이 나를 열받게 하는가? 아난다 2019.07.09 916
3601 철학은 처음이시죠? - 동양철학 제산 2019.07.28 916
3600 [알로하의 맛있는 편지] 와인과 음악, 설렘이 있는 11월 file 알로하 2019.11.17 916
3599 [금욜편지 121- 책쓰기는 강의다] 수희향 2020.01.31 916
3598 (화요 편지) 종종덕질 - 사랑과 자유를 위해 No할 수 있는 용기 [4] 종종 2022.01.18 916
3597 [라이프충전소] 인생의 방향을 다시 설정하고 싶다면 [2] 김글리 2022.09.17 9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