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 이철민
  • 조회 수 860
  • 댓글 수 2
  • 추천 수 0
2017년 12월 14일 06시 27분 등록


나는 왜 과식 하는가의 저자 브라이언 완싱크는 레스토랑에서 6가지 메뉴로 실험을 합니다. 같은 음식에 하나는 평범한 이름을 다른 하나에는 표현력 있는 이름을 지어 6주 동안 실험한 결과를 공개합니다.

예를 들면

라이스를 곁들인 레드 빈스’ / ‘전통적인 케이준 풍의 라이스를 곁들인 레드 빈스

석쇠에 구운 치킨’ / ‘석쇠에 부드럽게 구운 치킨이런 식으로 말입니다.

결과는 수사가 붙은 표현력 있는 메뉴가 27%나 더 팔렸다는 것입니다. 기대감을 갖게 하는 통통 튀는 형용사형 메뉴명에 대해 고객들은 생각합니다. 그것은 한편으론 빤한 수작이라고 생각하면서도 마음속에 기대감을 일으키게 된다는 점입니다. 그 기대감이 결국은 선택의 좌표로 작용하는 것이지요.

 

이것은 수제(手製) 마케팅과도 맥을 같이 합니다.

일반인들이 생각하는 수제의 의미는 무엇일까요?

고객들이 바라는 수제의 의미는 무엇일까요? 한편,

상인들이 말하는 수제의 의미는 무엇일까요? 그렇다면,

수제가 흔해진 요즘 수제는 어떤 의미로 전달되고 있을까요?

 

최근 수제는 그 의미의 범위가 더 보편화되고 더 넓어졌습니다. 또한 마케팅 경쟁이 치열해 지면서 아쉽게도 수제의 의미가 많이 퇴색되었다고 말하기도 합니다. 너도 나도 수제를 외치기 때문입니다.

쿠키를 예로 들자면, 따지고 보면 세상의 모든 쿠키는 수제입니다. 공정상 한번 이상은 누군가의 손으로 만들었을 테니 말입니다. 여러분이 원하는 수제, 그것으로 충분한가요. 요즘들어 과감하고 적극적으로 수제를 붙이려는 노력들이 보입니다.


이처럼 브랜드 네이밍이 중요한 것은 완싱크 교수의 실험처럼 수사가 붙은 상품이 판매 촉진에 더욱 유리하기 때문입니다. 다 알고 있으면서도 땅콩쿠키보다는 수제 땅콩쿠키에 마음이 더 움직이는 것이 고객의 마음입니다.







***** 변경연 연구소 알림 *****


[알림1] 박경숙 연구원의 신간 <어쨌거나 회사를 다녀야 한다면>이 출간되었습니다. 회사에만 가면 우울해지는 업무무기력에서 빠져나오고 싶은 분들에게 권합니다. http://www.bhgoo.com/2011/833801#4 

 

[알림2] 양재우 연구원이 운영하는 에코라이후에서 6기를 모집합니다. 경제와 인문 공부를 통해 삶의 변화를 꿈꾸는 분들을 기다립니다.  http://www.bhgoo.com/2011/index.php?mid=free&document_srl=834101   

 

[알림3] 박승오 연구원이 일하는 성천문화재단에서 베스트셀러 작가인 안광복 선생님을 모시고 '철학, 역사를 만나다' 강의를 진행합니다. 철학을 통해 자기성찰을 하고 싶은 분을 기다립니다. 

http://www.bhgoo.com/2011/index.php?mid=free&document_srl=833720 







IP *.221.234.154

프로필 이미지
2017.12.14 08:13:44 *.158.25.187

맞습니다.

똑같은 메뉴라도 말씀하신것처럼 '수제'가 들어가면 무언가 더 특별해 보이는것같아요.


비슷한 예로 '30년 전통', 혹은 '원조' 등도 들수있을것같네요.

프로필 이미지
2017.12.17 20:56:29 *.38.251.153

'적당한, 적절한' 포장은 본질을 더욱 빛냅니다.


때론 다소 과장된 '구라'가 듣는 이의 긴장을 해제시키기도 하고요...^^



추위가 기승입니다. 건강에 더욱 신경쓰시기 바랍니다. 고맙습니다..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816 [일상에 스민 문학] - 수녀원에서 온 편지 정재엽 2018.01.24 866
3815 가족처방전 - 명절에 시댁에 가지 않습니다, 열여덟 번째 이야기 제산 2019.10.28 866
3814 잠시 멈추고 주변을 둘러봅니다. 제산 2019.11.25 866
3813 이렇게 살 수도, 죽을 수도 없는 서른 다섯 워킹맘의 선택 아난다 2020.02.18 866
3812 핀테크는 왜 '개인금융의 미래'라 불리는가(3편) - 디레몬 [2] 차칸양 2017.10.17 867
3811 <에코라이후 단기과정>을 시작하며 차칸양 2018.08.28 867
3810 [화요편지]2주차 워크숍_자극과 반응 사이 file 아난다 2019.07.16 867
3809 [라이프충전소]자꾸만 조급해지려고 할 때 [9] 김글리 2022.02.11 867
3808 [수요편지 19- 심연통과 3: 주승천 전략] 수희향 2017.12.27 868
3807 사유의 확장을 위한 <열한 계단> (4편) [2] 차칸양 2018.04.03 868
3806 [수요편지] 세상의 가운데로 보낸 자기유배 [1] 장재용 2019.07.17 868
3805 [월요편지 115] 부자와 가난한 사람의 차이가 고작 이것 때문이라고? 습관의 완성 2022.07.10 868
3804 [화요편지]12주차 미션보드_아이와 함께라 더 행복한 엄마의 강점혁명 프로젝트 아난다 2019.11.26 869
3803 제대로 보는 방법 [1] 불씨 2022.02.15 869
3802 [일상에 스민 문학] 미세먼지로 뒤덮힌 분노의 포도 정재엽 2018.03.28 870
3801 가족처방전 - 명절에 시댁에 가지 않습니다, 열 번째 이야기 [2] 제산 2019.01.28 870
3800 [금욜편지 120- 책쓰기는 함께놀기다] 수희향 2020.01.17 870
3799 [화요편지]4주차 미션보드_가지 않은 길을 걸어보다 아난다 2019.08.06 871
3798 [월요편지 111] 책을 더럽게 읽는 남자 [2] 습관의 완성 2022.06.12 871
3797 [금욜편지 100- 백번째 편지와 첫 만남] 수희향 2019.08.09 8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