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海瀞오윤
- 조회 수 3645
- 댓글 수 2
- 추천 수 0
김구 선생님과 바톤 터치하기
절묘하게도 한 달 전에 아버지께서 변.경.연 홈페이지를 둘러보시다가 갑자기 내게 줄 것이 있다고 하셨다. 바로 다름 아닌 <백범일지> 였다. 누군가로부터 받은 책인데 마침 나의 도서 목록에 있으니 잘 되었다고 하시면서 바로 다음 날 가져다 주셨다. 이런 우연도 다 있네 하며 책을 받아 든 나는 책장에 잘 꽂아놓고는 백범 일지에게 읽힐 순서를 기다리게 했다.
그의 차례가 되어 읽어내려 갔고, 김구 선생님께서 그토록 보고 싶어했던 ‘최고 문화 건설’이란 대목에 이르렀을 때는 참으로 미래학자다운 발상이라고 생각했다. 최고 문화란 과연 무엇이고, 우리는 과연 현재 바른 방향으로 가고 있는 것이며, 어떻게 하면 그것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일까. 지금 당장은 이렇다 할 답변 없는 물음들일 테지만, 기업들도 최근 들어서야 문화의 중요성을 인식하기 시작했는데 그때부터 이미 문화를 강조하신 걸 보니 김구 선생님은 상당한 선견지명을 가지셨구나 싶었다.
문화, 문화란 무엇일까. 영국의 인류학자 타일러는 문화를 다음과 같이 정의했다. ‘지식•신앙•예술•도덕•법률•관습 등 인간이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획득한 능력 또는 습관의 총체’ 라고.
여기서 구본형 선생님의 <코리아니티>를 읽은 사람이라면 적어도 이 ‘코리아니티’라는 단어 정도쯤은 연상되어야 하지 않을까. 왜냐하면, 이것만큼 한국인의 문화를 대표할 만한 적당한 단어가 또 있을까 싶기 때문이다. 이 참에 5가지 코리아니티를 다시 꺼내 보았다.
코리아니티 1ㅡ 남들만큼은 되어야 한다
코리아니티 2ㅡ ‘우리’ 속의 ‘나’
코리아니티 3ㅡ 모순을 껴안는 힘
코리아니티 4ㅡ 거친 생명력과 흥청거림
코리아니티 5ㅡ 명분과 배움, 선비정신
아직은 한국이라는 나라에 대해 떠오르는 단어들을 열거하라고 하면, 아마 이런 것들이 대부분일 것이다. 분단국가, IT 천국, 여자 프로 골프, 한류 열풍 등 진정 코리아니티라고 하기에는 어딘지 모르게 부족한. 아니, 어찌 보면 코리아니티의 첫 번째인(굳이 단계별로 규정짓는다면) ‘남들만큼은 되어야 한다’는 초기 단계에 와 있는지도 모를 일이다. 그것은 희망적이다. 왜냐하면, 조금 느리게 가더라도 우리는 적어도 올바른 방향으로 가고 있기 때문이다.
우리 모두는 기나긴 마라톤에서 김구 선생님으로부터 각자 바톤 하나씩을 전달 받았다. 이제부터는 각자의 위치에서 열심히 달려 우리들의 후세에게 다시 바톤 터치하는 일만 남았다. 그리하여, 행여라도 바톤을 땅에 떨어트리지 않고 이 릴레이 마라톤을 완주할 수 있게 말이다.
IP *.6.5.228
절묘하게도 한 달 전에 아버지께서 변.경.연 홈페이지를 둘러보시다가 갑자기 내게 줄 것이 있다고 하셨다. 바로 다름 아닌 <백범일지> 였다. 누군가로부터 받은 책인데 마침 나의 도서 목록에 있으니 잘 되었다고 하시면서 바로 다음 날 가져다 주셨다. 이런 우연도 다 있네 하며 책을 받아 든 나는 책장에 잘 꽂아놓고는 백범 일지에게 읽힐 순서를 기다리게 했다.
그의 차례가 되어 읽어내려 갔고, 김구 선생님께서 그토록 보고 싶어했던 ‘최고 문화 건설’이란 대목에 이르렀을 때는 참으로 미래학자다운 발상이라고 생각했다. 최고 문화란 과연 무엇이고, 우리는 과연 현재 바른 방향으로 가고 있는 것이며, 어떻게 하면 그것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일까. 지금 당장은 이렇다 할 답변 없는 물음들일 테지만, 기업들도 최근 들어서야 문화의 중요성을 인식하기 시작했는데 그때부터 이미 문화를 강조하신 걸 보니 김구 선생님은 상당한 선견지명을 가지셨구나 싶었다.
문화, 문화란 무엇일까. 영국의 인류학자 타일러는 문화를 다음과 같이 정의했다. ‘지식•신앙•예술•도덕•법률•관습 등 인간이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획득한 능력 또는 습관의 총체’ 라고.
여기서 구본형 선생님의 <코리아니티>를 읽은 사람이라면 적어도 이 ‘코리아니티’라는 단어 정도쯤은 연상되어야 하지 않을까. 왜냐하면, 이것만큼 한국인의 문화를 대표할 만한 적당한 단어가 또 있을까 싶기 때문이다. 이 참에 5가지 코리아니티를 다시 꺼내 보았다.
코리아니티 1ㅡ 남들만큼은 되어야 한다
코리아니티 2ㅡ ‘우리’ 속의 ‘나’
코리아니티 3ㅡ 모순을 껴안는 힘
코리아니티 4ㅡ 거친 생명력과 흥청거림
코리아니티 5ㅡ 명분과 배움, 선비정신
아직은 한국이라는 나라에 대해 떠오르는 단어들을 열거하라고 하면, 아마 이런 것들이 대부분일 것이다. 분단국가, IT 천국, 여자 프로 골프, 한류 열풍 등 진정 코리아니티라고 하기에는 어딘지 모르게 부족한. 아니, 어찌 보면 코리아니티의 첫 번째인(굳이 단계별로 규정짓는다면) ‘남들만큼은 되어야 한다’는 초기 단계에 와 있는지도 모를 일이다. 그것은 희망적이다. 왜냐하면, 조금 느리게 가더라도 우리는 적어도 올바른 방향으로 가고 있기 때문이다.
우리 모두는 기나긴 마라톤에서 김구 선생님으로부터 각자 바톤 하나씩을 전달 받았다. 이제부터는 각자의 위치에서 열심히 달려 우리들의 후세에게 다시 바톤 터치하는 일만 남았다. 그리하여, 행여라도 바톤을 땅에 떨어트리지 않고 이 릴레이 마라톤을 완주할 수 있게 말이다.
댓글
2 건
댓글 닫기
댓글 보기
VR Left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232 | [칼럼 15] 열무김치 속에 담긴 목민심서 [9] | 海瀞 오윤 | 2007.06.25 | 3833 |
231 | (15) 몸에 대하여 [7] | 時田 김도윤 | 2007.06.25 | 3992 |
230 | [칼럼 015] 가족이라는 이름의 사람 [6] | 好瀞 민선 | 2007.06.24 | 3218 |
229 | [칼럼15]서울입성 [7] | 素田최영훈 | 2007.06.25 | 3188 |
228 | 10만원의 위력을 아시나요? [11] | 최정희 | 2007.06.23 | 3429 |
227 | (15)우리 신랑 [7] | 香仁 이은남 | 2007.06.23 | 3321 |
226 | [칼럼15] 우연일까? 운명일까? [9] | 余海 송창용 | 2007.06.21 | 4523 |
225 | 동지, 그 아름다운 동행 [3] | 현운 이희석 | 2007.06.19 | 3422 |
224 | (14) 백범과 묵자의 딜레마 [6] | 박승오 | 2007.06.24 | 3539 |
223 | [14] 유서, 스승, 르네상스(꿈 꽃) [9] | 써니 | 2007.06.18 | 3552 |
222 | [컬럼014] 무엇을 써야 할까? 글쓰기의 소재찾기 [11] | 香山 신종윤 | 2007.06.18 | 3622 |
221 | 또 다른 목민을 위하여 [9] | 최정희 | 2007.06.20 | 3442 |
» | [칼럼 14] 김구 선생님과 바톤터치 하기 [2] | 海瀞오윤 | 2007.06.18 | 3645 |
219 | (14)모든 죽어가는 것들을 위하여 [4] | 香仁 이은남 | 2007.06.17 | 3506 |
218 |
[칼럼 014] 상하이의 기억 ![]() | 好瀞 민선 | 2007.06.18 | 3564 |
217 | (014) 경험에서 건너뛰기 [4] | 校瀞 한정화 | 2007.06.17 | 3024 |
216 | [컬럼14]호랑이가 겨자씨로 보이던 날 [6] | 素田 최영훈 | 2007.06.16 | 3609 |
215 | [칼럼14] 구전심수(口傳心授) [8] | 余海 송창용 | 2007.06.16 | 3980 |
214 | 질퍽한 삶이 높은 이상을 품다 [6] | 현운 이희석 | 2007.06.12 | 3760 |
213 | [컬럼013] 자전거와 일상의 황홀 [9] | 香山 신종윤 | 2007.06.12 | 337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