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연구원

칼럼

연구원들이

  • 정승훈
  • 조회 수 1033
  • 댓글 수 0
  • 추천 수 0
2017년 12월 23일 22시 56분 등록

부모라 힘들어요

11기 정 승 훈

 

 전화 상담을 하며 공통점을 발견했어요. 가해자 부모든 피해자 부모든 모두 힘들어한다는 거예요. 그냥 생각하면 가해자 부모가 뭐가 힘들어 할 수 있지만 그렇지 않아요. 나의 문제가 아니라 내 아이의 문제이기에 이성적으로 판단할 수 없고 지극히 본능적으로 사고해요. 가장 최우선으로 내 아이를 보호하고자 욕구가 있어서 어떻게든 학폭위도 열리지 않았으면 하고, 처분도 가볍게 받기를 원해요. 그러다보면 피해자인 상대 아이의 문제를 부각시키고 싶고 원이 제공을 했으니 내 아이의 잘못만은 아니라고 여기기도 해요. 피해자 부모님은 당연 말할 필요도 없죠. 내 아이가 피해자가 됐는데 무슨 말이 필요하겠어요.

 

 그런데 당사자인 아이들은 생각보다 쉽게 화해하고 심지어 기억조차 못하는 것들이 부모에겐 트라우마로 남아요.

 초등학교 운동장에서 2학년 A가 공을 굴리고 B는 공을 발로 차는 활동을 하고 있었어요. 그러다가 BA의 손을 공과 함께 찼어요. 이후 A의 엄마는 병원을 가서 진료를 받고, B의 엄마는 진료비를 지불했어요. 그런데 거기서 더 나가 A의 엄마는 성장판을 다치진 않았지만 혹시 모르니 성장판 도움을 줄 약을 먹여야 한다고 했다고 해요. 그러면서 일부로 찼다면서 확인되지 않은 이야기까지 하고 그 이야기를 들은 B의 엄마는 화가 났지만 결국 비싼 약값을 지불했다고 해요. AB는 전혀 그런 사실을 알지도 못하고 아무 문제없이 학교생활 잘 했어요. 미성년자인 아이의 금전적 배상 문제는 부모의 몫이다 보니 오히려 큰 어려움을 겪게 되는 거죠.

B인 아이에게 물어봤어요. “그때 그런 일 있었지? 기억나?” 했더니 . 그런 일 있었던 것 같아요. 그런데 정확히는 모르겠어요.”

그래서 그 친구와는 어떻게 지냈어?” “... 그냥 잘 지냈는데요.”

 

 두 명의 초등학생 서로 피, 가해자로 되었지만 학교에서 같이 생활할 수밖에 없는 상황에서 학폭위가 열리고 처분이 내려졌어요. 가해자의 처분이 약하다고 여긴 피해자 부모는 재심을 하고, 그러다 쌍방 고소를 하게 되고 결국 민사까지 가게 됐다고 해요.

그러던 어느 날 피해자인 아이가 집으로 전화가 왔대요. “아빠, 000이가 같이 놀자고 하는데 같이 놀아도 돼?”라고요. 그 순간 그 아빠는 그동안 난 누구를 위해, 무엇을 위해 이렇게 까지 했나하는 생각에 당황했고 혼란스러웠대요. 그래서 대답은 그래. 놀아.” 라고 했대요. 부모는 서로 법적 대응까지 갔지만 아이들은 그 과정을 전혀 알 수 없죠. 그저 친구일 뿐이죠.

 

 두 사례에서 보듯이 부모라 힘들 수밖에 없는 과정과 상황들. 가해자, 피해자 가릴 것 없이 힘들어요. 내 아이를 대신해서 처리해야 하는 것들이 생각보다 많다는 거예요. 그리고 모든 부모는 내 아이가 최우선이에요. 사건의 크고 작음에 있지 않아요. 부모 성향도 다 다르고 표현하는 방식도 해결하는 방법도 달라요. 상대에게 받는 스트레스도 객관적인 강도가 아닌 절대적으로 주관적인 강도로 받아요.

이건 당사자인 아이들도 마찬가지예요. 그런데 아이들은 관계가 회복되면 잘 지낼 수 있어요. 하지만 부모들의 관계 회복을 위한 것은 어디에도 없어요. 오히려 금전적 배상으로 사건은 끝날 수는 있지만, 돌이키고 싶지 않은 기억으로 남게 돼요.

 

 자녀의 나이가 더 많아질수록 법적 절차 적용이 달라지고 사건도 심각하고 복잡해져요. 그러면 부모로 겪어야 할 것들이 많아지고 생각지도 못한 고통도 느끼게 돼요. 그러니 학교폭력은 사건이 발생하기 전에 막는 것이 아이뿐만 아니라 부모를 위해서도 중요한 것이라는 거죠.

IP *.124.22.184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172 전략적 인적자원관리 1 [1] 박노진 2005.10.11 12821
5171 전략적 인적자원관리 2 박노진 2005.10.16 10335
5170 인적자원관리 부문의 향후 과제 박노진 2005.10.27 6429
5169 한국인과 숫자 3 [1] 오세나 2005.10.27 8655
5168 직장의 미래 모습 박노진 2005.10.28 5902
5167 직장인의 미래 모습 [1] 박노진 2005.10.28 6971
5166 디지털 시대의 인재상 박노진 2005.10.28 6266
5165 핵심인재가 되기 위한 방법론 박노진 2005.10.28 6089
5164 최강 노동자가 만든 도요타 박노진 2005.11.30 7046
5163 노동과 경영 1 박노진 2006.02.16 4887
5162 노동과 경영 2 박노진 2006.02.16 4667
5161 노동과 경영 연재 3회 - 생산성 향상으로 나타난 시장의 현실(3) 박노진 2006.02.17 5349
5160 노동과 경영 연재 4회 - 노동절약기술의 발전과 노동운동의 아이러니한 동거 박노진 2006.02.17 5365
5159 노동과 경영 연재 5회 - 자동화에 대한 미국노동운동의 대응과 결과 [1] 박노진 2006.02.19 4973
5158 노동과 경영 연재 6회 - 포스트포디즘 [1] 박노진 2006.02.19 6612
5157 노동과 경영 연재7회 - 블루칼라의 종말 박노진 2006.02.20 5868
5156 노동과 경영 연재 8회 - 서비스부문의 현실 박노진 2006.02.20 5251
5155 노동과 경영 연재 9회 - 첨단 기술의 승자와 패자 박노진 2006.02.21 5248
5154 노동과 경영 연재 10회 - 린 생산방식에 대한 상반된 평가 박노진 2006.02.21 7692
5153 노동과 경영 11회 - 노동시간의 리엔지니어링(1) 박노진 2006.02.22 53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