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연구원

칼럼

연구원들이

  • 송의섭
  • 조회 수 1030
  • 댓글 수 0
  • 추천 수 0
2017년 12월 25일 11시 14분 등록

우리의 삶이 길을 걷는 여정과 많이 닮아있다는 생각이 들 때가 있습니다. 힘겨운 길을 만나거나 가파른 길 끝에 도달했을 때, 되돌아 갈 수 밖에 없는 상황에 직면했을 때 우린 길을 잃었다고 표현하곤 합니다. 의도하건 의도하지 않건 우리는 누군가 정한 그 길을 가야만 하는 운명 일런지도 모르겠습니다. 누구나 평판한 꽃길만을 가고 싶어 하지만, 그 역시도 내가 정한 것이 아닌 까닭에 주어진 운명에 맡기면서 이길일지, 저길일지 선택하는 수밖에 없지 않나 합니다. 그렇지만 이것 하나는 선택할 수 있을 거 같습니다. 혼자가거나 무리지어 같이 가거나 하는 것 말이죠.

 

여기 나홀로 여행을 떠났던, 정말 걷기에 이골났을 법한 한 사람을 소개합니다. ‘베르나르 올리비에그는 「나는 걷는다」통해 기자 출신답게 현장의 생생한 모습을 묘사해 주고 해박한 지식과 함께 과거와 현재를 오가게 해 줍니다. 그는 굳이 왜 혼자 여행을 한 것일까요? 의외로 답은 간단했습니다. 오래전부터 여행을 계획한 부인은 10년전에 세상을 떠났고 자녀들은 독립을 한 까닭이었습니다. 그리고 실크로드에 관한 역사적 관심과 걷는 즐거움을 느끼기 위해서 였다고 합니다. 적지 않게 살아온 노년에 가까운 중년에 그는 왠지 새로 시작하고 싶었고 살면서의 의미를 찾고 싶었던 이유도 있지 않을까 생각해 보았습니다.

 

길을 가는데 가장 중요한 건 무엇일까요?

인생을 살면서 가장 중요한 건 무엇일까요?

이 두개의 질문은 같은 답을 가지고 있습니다. 바로 방향성.

어떤 길을 택하느냐에 따라서 여행도, 우리의 삶도 천차만별로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리더에게도 가장 첫번째로 중요한 덕목은 방향성입니다. 무리를 이끄는 수장이 중심을 잡지 못한다면 이리저리 흔들릴 수 밖에 없습니다. 혼자이건 무리이건 말이죠.

 

2017년 한해를 마감하면서 한해 정산을 해보았습니다. 어떤길은 잘 견디면 갔고, 어떤길은 헤매기도 했음이 보였습니다. 많은 부분 명제는 숫자가 증명할 수 밖에 없는 것이니까요. 그러면 내년은 어떠한가?’ 그건 아직 잘 모르겠습니다. 베르나르처럼 낡은 지도와 가방을 들고 또 길을 나서는 방법밖에, 원하는 목적지를 그리면서, 그때 그때 만나는 상황을 현실에 맞게 대처하는 수밖에 없지 않나 합니다. 그러면서 나름의 원칙의 길이 완성도를 높이는 것이 아닐까 합니다.

 

오늘은 2017번째 크리스마스입니다. 어떤 길을 걸어왔건, 어떤 사람을 만났건 잠시 쉬어보는 날이 되셨으면, 내려놓는 날이 되셨으면 합니다. 쉼이 내 중심으로 들어와 힘을 다시 공급할 공간을 만들게끔 내버려 둬야 또 길을 떠날 수 있기 때문에 말씀 드렸봅니다. 그리고 크리스마스의 진정한 의미에 대해서 다시 한번 생각해보는 날들 되시길 바래봅니다. 이상은의 노래처럼 삶은 여행이니까 언젠간 끝날 것입니다.

행복하십시오.

감사합니다.

 

추신 : 「나는 걷는다」가 총 3편이더군요. 11기 과정이 끝나면 저도 완주해 보겠습니다.

 

 001.JPG

 

 

 

 

 

IP *.41.5.100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172 전략적 인적자원관리 1 [1] 박노진 2005.10.11 12821
5171 전략적 인적자원관리 2 박노진 2005.10.16 10342
5170 인적자원관리 부문의 향후 과제 박노진 2005.10.27 6436
5169 한국인과 숫자 3 [1] 오세나 2005.10.27 8660
5168 직장의 미래 모습 박노진 2005.10.28 5903
5167 직장인의 미래 모습 [1] 박노진 2005.10.28 6976
5166 디지털 시대의 인재상 박노진 2005.10.28 6270
5165 핵심인재가 되기 위한 방법론 박노진 2005.10.28 6095
5164 최강 노동자가 만든 도요타 박노진 2005.11.30 7051
5163 노동과 경영 1 박노진 2006.02.16 4887
5162 노동과 경영 2 박노진 2006.02.16 4667
5161 노동과 경영 연재 3회 - 생산성 향상으로 나타난 시장의 현실(3) 박노진 2006.02.17 5359
5160 노동과 경영 연재 4회 - 노동절약기술의 발전과 노동운동의 아이러니한 동거 박노진 2006.02.17 5372
5159 노동과 경영 연재 5회 - 자동화에 대한 미국노동운동의 대응과 결과 [1] 박노진 2006.02.19 4980
5158 노동과 경영 연재 6회 - 포스트포디즘 [1] 박노진 2006.02.19 6620
5157 노동과 경영 연재7회 - 블루칼라의 종말 박노진 2006.02.20 5873
5156 노동과 경영 연재 8회 - 서비스부문의 현실 박노진 2006.02.20 5257
5155 노동과 경영 연재 9회 - 첨단 기술의 승자와 패자 박노진 2006.02.21 5249
5154 노동과 경영 연재 10회 - 린 생산방식에 대한 상반된 평가 박노진 2006.02.21 7692
5153 노동과 경영 11회 - 노동시간의 리엔지니어링(1) 박노진 2006.02.22 53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