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연구원

칼럼

연구원들이

2017년 12월 28일 13시 36분 등록

때를 보는 도사림, 지택림(地澤臨)

 

 

괜찮아. 나에게는 아직 100달러가 있으니까.”

 

뉴욕 주 시골마을 우드스톡의 한 오두막. 스펙만 좋은 무직의 청년은 서랍 속에 넣어둔 100달러짜리 지폐를 꺼내 보며 중얼거린다. <스타워즈>의 감독조지 루카스에게 영향을 미친 20세기 최고의 신화학자조셉 캠벨 25세일 때의 장면이다.

 

조셉 캠벨은 컬럼비아 대학에서 학사와 석사학위를 받았으며, 이후 파리대학과 뮌헨대학에서 중세 프랑스어와 산스크리트어를 공부하였다. 미국과 유럽에 걸친 기나긴 가방 끈을 갖고 있었던 셈이다. 유학을 마친 젊은 캠벨이 미국으로 돌아왔을 때는 1929년으로 그를 기다리고 있던 것은 악명 높은 경제대공황이었다. 그의 나이, 앞날이 창창해야 할 25세였다.

 

사람에게는 공부해야 할가 있고, 사회에 공부한 것을 펼쳐야 할가 있다. 하지만 인류의 역사와 개인의 인생은 그를 순탄하게 열어주지만은 않는다. 미국을 강타한 경제대공황, 많은 청년들이 좌절과 방황 속에서 주저 앉았을 때 청년 캠벨은 의미 있는 쉼표를 찍기로 한다. 5년 간의 칩거에 들어간 것이다.

 

그는 뉴욕 주의 우드스톡이라는 작은 시골마을로 들어가 오두막 생활을 한다. 먹고 사는 문제를 생각하지 않을 수 없었던 그는에 대한 구속을 달리 생각해보고자 100달러짜리 지폐를 서랍에 넣고 불안한 마음을 다스린다. 이렇게 5년 간 독서, 사색, 습작을 통해 자신만의 시간을 가진 그는 20세기 최고의 신화학자로 거듭나게 된다.

 

한국에도 어두운 시대, 갇힌 공간에서도 자신만의 향기를 피워낸 인물이 있다. 1941년에 태어난 신영복은 5세 때(1945년) 해방을 맞이하고 10세 때(1950년) 때 전쟁을 겪는다. 서울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숙명여자대학교와 육군사관학교에서 경제학 강사로 활동하던 중, 28세 때(1968년) 통일혁명당 사건에 연루되어 무기징역을 선고 받는다. 48세(1988년)가 되어서야 특별가석방으로 출소하여 20년의 수감생활을 비로소 마감하게 된다.

 

듣기만 해도 숨가쁜 유년시절과 청년시절이 아닐 수 없다. 그의 삶을 설명하는 단 몇 줄에서도 그의 인생에 담긴 시대의 어두움과 아픔을 느낄 수 있다.

 

20년의 빛나는 청장년기를 후미진 작은 감방에서 갇혀 보낸 신영복. 그 스스로 표현하길무엇을 도모하거나 실천하기에는 너무나 후미진 공간이자더불어 관계 맺기가 어려운 적막한 처소에서 그는 한학의 대가인 노촌(老村) 이구영 선생을 옥중 스승으로 모시고 동양고전을 공부한다. 또한 옥중 서도반에서 만당(晩堂) 성주표, 정향(靜香) 조병호 선생의 집중적인 서예 지도를 받아 소주처음처럼으로 유명한어깨동무체를 만들게 된다.


어두운 시대, 감옥이라는 고독한 공간 속에서 그는 성찰과 사색을 통해관계의 의미를 되새긴다. 그 결과 사람 간의 연대(連帶)를 그에 어울리는 서체에 담아냈다. 그의 마지막 가는 길을 배웅하러 온 많은 이들을 맞이한 것은더불어 숲이라 쓰인 연대적 내용과 그에 맞는 어깨동무서체의 대형 현수막이었다.

 

조셉 캠벨과 신영복. 두 인물의 교집합을 찾자면 어두운 시대, 후미진 공간, 성찰을 통해 거듭난 위대한 인물이라는 것이다. 타의로 내몰린 격리된 공간에서 자신을 마주하고 내면의 더듬이를 살려낸 그들의단절변모에 주목하자. 이 즈음에서 비슷한 패턴의 인물을 묘사하는 괘상이 등장할 때가 되었다. 바로 주역의 19번째 괘, ‘지택림괘(地澤臨卦)’이다.

 

 지택림.png

underground lake.jpg


지택림괘는 아래에연못을 상징하는태괘(☱)가 있고 위에는 땅을 상징하는곤괘(☷)가 있다. 땅 밑에 연못이 위치하고 있다. ‘표면으로 상징되는 땅과심연으로 상징되는 연못을 마음 속에 떠올려보자. 사람은 외양을 가꾸는 일 못지 않게 내면의 탐구가 필요한 시기가 도래한다. 개인적으로 그 시기는 마흔 전후가 아닌가 싶다. ‘캠벨의 오두막이건신영복의 감옥이건 인물을 후미진 공간으로 몰아붙이는 힘은시대의 어두움이었다.

 

시대의 어두움까지는 아니라 할 지라도 노력만으로 안되는 시기, 뜻대로 안되는 시기는 누구에게나 찾아온다. 그런 시기가 다가올 때 우리는 알아야 한다. 표면의 땅 속으로 들어가 내면의 연못을 바라봐야 할 때가 왔다는 것을. 도사림의 시기가 필요한 것이다. 때를 살피며 내면의 힘을 키워야 한다.

 

나에게도 패기만만한 시절이 있었다. 마음 먹은대로 되고 뜻대로 되는 마법 같은 시절이었다. 돌이켜 보면 행운의 여신이 함께 한 거였지만 어린 마음에 나의 추진력과 열정으로 모든 것이 잘 풀린다고 생각했다. 중국의 동쪽 산동에서 서쪽의 티벳까지, 실크로드를 넘어 파키스탄과 인도까지 여행을 하며 인생은 도전하는 자의 것임을 자신했었다하지만 예기치 않게 마주친 결핵은 악셀을 밟는 나의 발목을 잡았고, 신체적 제한으로 인해 나의 모든 외부활동은 방해 받았다.

 

그런 시기 내가 할 수 있는 것은 독서와 습작 뿐이었다. 원망과 화를 글로 토해 내며 시련과 주저앉음의 의미를 되새길 수 있는 시기였다. 의도하지 않은 멈춤 속에서 내면의 힘을 비축할 수 있는 기회를 얻었고 그 과정 속에서 나의 첫 책이 나왔다. 어려운 시기를 함께 해준 남편을 만난 것도 그 비축과 도사림의 시기였다.

 

우리는 높은 곳만을 향해 가고자 한다. 하지만지택림괘저 높은 곳을 향하여가는 우리들에게 말한다. ‘낮은 곳으로 임()하라. ‘땅 밑 연못의 이미지에서 괘상의 이름으로()’을 이끌어낸 옛 성인의 가르침을 생각할 일이다. 높은 곳을 향해 올라가려는 우리의 발목을 잡는 무언가가 있다면 그러한 딴지조차 고맙게 받아들여야 할 것이다.

 

지금은 때가 아님을, 도사림이 필요한 지택림의 시기임을 말이다. ()




<본 글은 개인적 습작 차원의 글로 자의적 해석의 여지가 있음> 


IP *.18.187.152

프로필 이미지
2018.01.01 23:23:52 *.18.218.234

(내가 나에게) 인물과 주역 괘를 연결하려는 시도는 알겠으나 서두 진짜 안읽힌다. 조금 더 인물의 이야기 속으로 들어가고(연혁이 아닌) 주역의 괘상이라는 이미지 속으로 들어갈 것. 녹여내고 풀어내라. 

프로필 이미지
2018.01.02 17:39:39 *.106.204.231

자아비판 하는거에요? ㅋ

전체적인 흐름은 다 좋은것 같아요. 다만 신영복은 우리가 잘 알고 소개를 잘 해주셨는데 조셉캠벨은 사람들이 잘 모르잖아요.

캠벨에 대해 설명해주는 글들이 추가되면 좋을 것 같아요.

캠벨, 신영복, 리아는 각각 지택림의 시기를 내면의 성장을 위한 시기로 잘 전환을 시킨거네요.

제 2의 지택림도 성공하시길 기원할께요.

프로필 이미지
2018.01.02 22:19:58 *.18.218.234

아마 당분간은 자아비판 댓글이 달릴 듯. ㅋ 영 맘에 안들어.  

이건 선무당이나 서당개도 못되는 퀄러티인데..일단 쓰는데 의의를 ㅡㅜ 


그나저나 캠벨의 오두막, 빅터 프랭클의 수용소, 소로의 월든, 기상의 군대? 공통점이 보이지 않수? 기상씨, 주제 잘 잡았단 말시. 

프로필 이미지
2018.01.04 18:53:02 *.129.240.30

조셉켐벨과 신영복.. 그리고 곧 그 반열에 오를 "보따리아'  ㅎ

별로 연관성 없어 보이는 각 인물들간의 연결 고리가 주역 속에 있군요.


생각해 보니 나 역시 지난 5년간이 '지택림'괘의 시간이 아니였나 하는 생각이 드네요


프로필 이미지
2018.01.07 12:02:39 *.18.218.234

주제 관련 글을 쓰기로 스스로에게 약속해서 올리고는 있습니다만 낯 뜨겁습니다. 선무당 작두 타다 발바닥 난리 나겠어요. ㅋ


그러고 보니 모닝의 5년이 그랬네요. 끝이 좋으니 5년의 시간이 의미 있게 기억되겠어요. 그 경험 꼬옥~~ 한번 쓰시면 좋을 듯요. 

프로필 이미지
2018.01.05 23:05:47 *.237.120.174
습작치고는 아주 좋은데요.
서두도 잘 읽혀요.
'주역으로 들여다본 인물열전&결정적 시기'라는 컨셉도 괜찮고요.
자신의 글에 대한 피드백도 적절하고요.
그 피드백대로 하려면 주역 공부도 공부지만
글의 분량이 많이 늘어나야 할 거에요.
특히, 세 사람의 이야기를 소개한다면요.
그게 나쁘다는 게 아니라,
지금처럼 습작 혹은 스케치 단계에서
그 정도 품질까지 가는 건 욕심일 수 있다는 뜻이에요.

어쩌면 하나의 절이 아니라,
두개나 세개의 절, 혹은 하나의 장이 되는게 나을 수도 있어요.
'위대한 멈춤'에서 9개의 도구를 다루면서
하나의 도구당 4개의 꼭지(절) 글을 배치했지요.
그 중 2개는 심층 인물 사례,
세 번째 꼭지는 큰 원칙과 다른 인물 사례들,
네 번째 꼭지는  실천 방법과 우리(두 저자) 이야기.

주역의 64괘 모두는 아니더라도,
리아님한테 끌리고 보편적으로 적용 가능성이 큰 20개 정도의 괘를
위의 글 형태(두 인물 사례, 괘 설명과 해석, 본인 이야기)로
스케치해 두면 아주 좋을 것 같아요.
소재와 재료, 뼈대가 어느 정도 갖춰지면
거기에 살을 붙이는 건 별로 어렵지 않아요.
대략적인 스케치가, 여러 모로 활용하기도 좋고요. 

박승오 연구원이 일하는 성천문화재단에서 진행하는 인문 강좌에서
2월 말부터 매주 주역 강좌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해요.
강사는 유현주 박사인데, 이기동 교수님 제자인데
실력이 출중하다고 해요.
공익 목적으로 하는 강의여서 교육비도 엄청 싸고요.
강의장이 서울 여의도이긴 한데,
관심 있으면 한 번 검토해보세요.

http://www.sungchun.or.kr/

프로필 이미지
2018.01.07 12:00:23 *.18.218.234

세상에! 생각지도 못한 승완 선배의 덧글이라니! 정성어린 조언 감사합니다. 그렇쟎아도 메일 드리고 피드백 좀 받을 수 있을까 망설이던 중이었어요. ㅡㅜ 변경연 과정에서 접한 저자들을 사례로 끌고 오는 건..제대로 못할 거면 과욕이 되는 건 맞는 거 같아요. 고민 되는 포인트이긴 한데, 일단은 습작으로 써내려가다 보면 돌파구가 나오지 않을까 하는 심정으로 ㅋ


꼭지와 목차 조언 진짜 감사합니다! 

주역강좌 정보도 감사해요! 알아볼게요. 뭘 알아야 쓰지, 이건 뭐. ㅋ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872 어떤 사장이 될 것인가 [3] 송의섭 2018.01.01 992
4871 크리스마스의 진실 file [4] 모닝 2017.12.31 996
4870 칼럼 #30 피해자 부모가 해야 할 일과 해서는 안 되는 일(정승훈) [3] 정승훈 2017.12.30 993
» (리아의 주역 에세이) 때를 보는 도사림, 지택림(地澤臨) file [7] 보따리아 2017.12.28 2238
4868 #29 크리스마스와 고백_이수정 알로하 2017.12.25 1001
4867 <뚱냥이칼럼 #28> 다시 시작 [1] 뚱냥이 2017.12.25 1051
4866 우리의 삶이 길을 걷는 여정과 많이 닮아 있습니다 file 송의섭 2017.12.25 1009
4865 결혼도 계약이다 (이정학) file [2] 모닝 2017.12.25 998
4864 #29. 입대의 두려움 [1] ggumdream 2017.12.25 1009
4863 (리아의 주역 에세이) 가장 에로틱한, 택산함괘(澤山咸卦) file 보따리아 2017.12.24 2183
4862 칼럼 #29 부모라 힘들어요 (정승훈) 정승훈 2017.12.23 1012
4861 #28. 군(軍)과 두려움 [1] ggumdream 2017.12.18 991
4860 #28. 월요일 아침의 희망_이수정 [1] 알로하 2017.12.18 1036
4859 #28 아름다운 금문교의 유혹(이정학) file [2] 모닝 2017.12.18 1007
4858 <뚱냥이칼럼 #27> 내가 하는 모든 일은 밥이다 [1] 뚱냥이 2017.12.18 1007
4857 경험과 일과 자유가 사랑이 되시길... file [1] 송의섭 2017.12.18 1011
4856 칼럼 #28) 하고 싶은 이야기가 생각나지 않을 때는 어떻게 해야 하나요? (윤정욱) [1] 윤정욱 2017.12.18 1046
4855 (리아의 주역 에세이) 한국인 팔자엔 주역이 있다. file [2] 보따리아 2017.12.17 1032
4854 [칼럼#28] 이게 성폭력이래요 (정승훈) file [2] 정승훈 2017.12.16 1089
4853 12월 오프수업 후기 ggumdream 2017.12.12 1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