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연구원

칼럼

연구원들이

2018년 1월 8일 01시 37분 등록

얼마 전에 남편이랑 같이 걸어가는데 그 인간이 내 손을 잡는 거야. 막 화나더라?”

 

자살소동까지 벌이며 부모의 반대에도 무릅쓰고 결혼한 친구의 말이었다. 그녀의 뜨거운 시절을 아는 나로서는 남편의 손길이 화난다는 말에 어리둥절 할 수밖에 없었다. 드라마의 남자 주인공을 보며 연애를 하고 싶다는 걸 보면 아직 설레는 마음, 연애 세포는 살아 숨쉬는 거 같은데 그 대상이 지금의 남편은 아니라니!

 

또 다른 친구 역시 마찬가지였다. 연애 시절엔 하루가 멀다 하고 데이트를 하던 그들이었다. 결혼 후 어느 날, 남편의 출장으로 혼자만의 시간을 가지게 되어 행복하다는 그녀를 보며 의아한 마음이 들었다.

 

결혼한 지 좀 된 인생 선배들은 말한다. 이젠형제애로 살아간다고. ‘형제애의리는 느낄 수 있을지언정 부부관계에 쓰일 때엔 설레임, 가슴 떨림 등은 느낄 수 없는 무지막지한 말이다결혼은 과연 사랑의 무덤인 걸까. 이 모든 의아한 감정은 내가 미혼일 때 품었던 것이다.

 

나도 이제 결혼 10년 차, 주말 부부를 만나게 되면 이렇게 말하게 되었다.

 

“3대가 복을 쌓으셨군요.”

 

비록 농담조였지만 그 말을 내뱉은 나 스스로에게 놀랐다. 어랏? 내가 왜 이런 말을 하지? 모든 부부의 시작이 그랬듯이, 우리 역시 뜨거웠는데! 함께 일을 하기 때문에 24시간 365일을 내내 같이 지내며일심동체를 넘어선암수동체라고 할 정도의 부부애를 과시하던 우리였다.

 

일상으로 사랑이 무디어지면 안된다는 남편의 뜻에 따라 매주 목요일은 일을 쉬고 데이트를 했다. 우리의 목요 데이트는 7-8년 간 지속되었다. 그렇게 공들인 우리 관계도 언젠가부터 시들어졌다. 모처럼 쉬는 날, 각자 따로 만나고 싶은 사람, 하고 싶은 일이 생긴 것이다. 그렇게 어느 순간 결혼 10년 차에 3대의 복을 운운하게 된 나를 보았다. 머지 않아 나도부부 간 형제애를 입에 올리게 될까? 벌써 권태기가 온 걸까?

 

신혼의 뜨거운 계절이 지나간 중년부부에게 필요한 괘가 있을까? 주역의 31번째 괘, ‘택산함괘는 젊은 연인의 뜨거운 교감을 뜻한다면, 바로 뒤 이은 32번째 괘, ‘뇌풍항괘(雷風恒卦)’는 부부 간의 도()를 말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먼저뇌풍항의 괘상을 보자. 아래에는 바람을 나타내는손괘(☴), 위에는 우레를 나타내는진괘(☳)가 있다.

 

천둥바람.jpg wild life2.jpg


우레바람이 부부 간의 도를 상징한다니! 꼭 붙어 있는 한쌍의 원앙새나 잉꼬가 아닌 발톱을 세운 독수리와 으르렁 대는 사자가 떠오르는 괘상이다. 택산함괘의 연못과 산을 상상할 땐 그 하늘도 푸를 거 같더니, 뇌풍항괘의 하늘은 어둡고 묵직할 거 같다. 거기에 천둥 치고 바람이 휘몰아치는 광경을 마음 속에 떠올리자니 사랑과 전쟁이 따로 없다. 역시 결혼생활을 유지한다는것은 먹구름 속 난리통 같은 것일까? 부부의 인연을 맺고 권태기를 넘어 백년해로 할 수 있는 '유지력'은 어디에서 오는 걸까?


뇌풍항.jpg  

괘상을 다시 한번 보자. ‘바람이 아래에 위치한다. 아래에 위치한 바람을 나타내는 괘의 이름은부드러움공손함을 뜻하는 손()괘이다. 정도의 차이는 있겠지만 스스로만 돌보면 된다는 점에서 누구나 자유로운 영혼인 때가 있었다. 하지만사랑에 눈이 멀어 오직 그 사람만 보고 결혼을 한다. 결혼을 한 순간, 여러 역할과 책임들이 군식구처럼 딸려온다. 마냥 싱글이던 시절의 자유를 그리워만 할 수 없다. 자유롭게 떠돌던 바람은 우레 밑에공손하게 머무르는손괘가 된다.

 

바람이 머무는 곳, 그 위에는 우레가 있다. 주역에서는 사물을 진동케 하며 위세를 떨친다는 뜻의 진()괘로 표현된다. 위세를 떨치는 우레 밑에 바람이 머물고 있다. 그런데 이런 형상이 항상(恒常)을 뜻하는항괘(恒卦)’라는 것은 무슨 의미일까? 멈춰있는()’이 아니다. 변화무쌍한 인생 속에서 부부 간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끊임없는 에너지가 공급되어야 한다. ‘유지력이 뒷받침 되어야 비로서()’이 가능한 것이다. 그 유지력은 어디에서 오는 걸까?


올 해 회혼을 맞이하게 된 이어령, 강인숙 교수의 이야기를 들어보자. 1958년 결혼한 동갑내기 부부인 그들은 60년을 함께 산 비결로따로 서로를 언급한다. 부부를 일심동체로 생각하면 관계가 어긋나며따로 서로를 잘해야 회혼까지 갈 수 있다는 것이다. 부부가 각자 개성을 찾으면서도 함께 할 수 있는 비결이 거기에 있다고 한다


남자는 하늘, 여자는 땅이라는 사고방식으로는 권태기를 이겨낼 수 없다. 무너질 리 없는 하늘로서의 남편, 꺼질 리 없는 땅으로서의 아내. 주역은 그런 '변화없음'에서()’을 말하지 않는다. 부부는 전력과 풍력으로 가정이라는 공동운명체의 항해를 꾀하는 서로 다른 에너지의 결합체이다. 아내와 남편은 각자의 에너지를 품고 계속 변하는 존재이다. 불평 불만이 아닌 서로의 입장과 상황을 이해할 때 비로소 부부 간의유지력이 생긴다


'사랑'이 부부의 연을 맺게 하는 '추진력'이라면, '정'은 그 관계를 지속시키는 '유지력'이 된다. 인생을 함께 살아가는 반려자의 변화를 인정하고 수용하며 함께 나아가야 한다. 유지력은 바로 그 지점에서 힘을 얻음을 뇌풍항괘는 암시하고 있다. 



IP *.18.218.234

프로필 이미지
2018.01.08 13:25:17 *.18.187.152

(내가 나에게) 원래 글엔 이어령 내외(현재 스코아 60년 해로)와 윌 듀란트 내외(68년 해로/ 48년 공동작업)의 사례를 넣었으나, 윌 듀란트는 낯선 인물일 거 같아 제외. 권태기를 또 다른 동력의 전환으로 삼으라는 메시지 전달이 안돼...일단 여까정!

프로필 이미지
2018.01.08 15:53:02 *.106.204.231

주말부부, 월말 부부를 해본 1인으로서 사람들이 항상 그런 얘기를 할때마다 저는 업보라고 얘기하곤 했는데.

주말부부에서 매일부부로 바뀐 지금, 확실히 갈등이 많기도 하지만 그래도 지금이 훨씬 좋습니다. '따로 서로'  격하게 공감합니다.

주역 어렵겠지만 64괘가 있는데 글감이 무슨 걱정인가요? 주제가 정해진 이후로 한주 한주가 너무 힘드네요. 능력 부족은 물론이고 읽은 책이 절대적으로 부족하니 풀어나가기가 쉽지 않아요. 그래도 나탈리 저자가 얘기한 것처럼 쓰고 또 써봐야겠죠.

프로필 이미지
2018.01.09 12:50:41 *.18.187.152

어떤 주제건 글감이야 서말이지. 꿰는 게 문제여...ㅜ_ㅜ 실이 튼튼해야 하는데..약하니까 자꾸 끊겨.

문득 든 생각인데 '군대와 가족'도 한꼭지 넣으면 괜찮겠는데요? 직업군인들의 경우 고충이 특히 많겠던데 그 가운데 현명한 지침이 있다면.

프로필 이미지
2018.01.09 21:24:51 *.223.32.122
재밌네요.
저도 결혼20년차인데ᆢ 도움되는 글이었습니다. "따로 서로", 요문구 집어갑니다. ^^;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892 또 다시 칼럼 #15 학교밖 아이에게 맞았어요 [4] 정승훈 2018.08.05 1041
4891 칼럼#24 학교폭력 사주? (정승훈) [2] 정승훈 2017.11.05 1042
4890 11월 오프모임 후기_이정학 모닝 2017.11.21 1042
4889 #30. 배고픔의 미학 [2] ggumdream 2018.01.01 1042
4888 또 다시 칼럼 #24 소년법을 폐지하면...(첫 번째) file 정승훈 2018.11.04 1042
4887 또 다시 칼럼 #25 소년법을 폐지하면...(두 번째) 정승훈 2018.11.12 1042
4886 인생은 B와 D사이의 C [1] 불씨 2020.06.27 1042
4885 서평 - 하틀랜드 [1] 종종걸음 2020.07.13 1042
4884 칼럼 #17 처음 불려간 선도위원회 (정승훈) [7] 정승훈 2017.09.02 1043
4883 카메라를 지르세요 file [4] 송의섭 2017.09.04 1043
4882 #33 오만과 미련_이수정 알로하 2018.01.29 1043
4881 6월 오프수업 후기(정승훈) [5] 정승훈 2018.06.18 1043
4880 #1 자기소개 - 희동이 [6] 희동이 2020.05.24 1043
4879 5월 오프모임 후기(김기상) [6] ggumdream 2017.05.23 1044
4878 #21. 군대에서 시작하는 변화이야기 [2] ggumdream 2017.10.09 1044
4877 칼럼 #25) 개인이 즐거워야 회사도 즐겁다 (“개인” 편)_윤정욱 윤정욱 2017.11.13 1044
4876 또 다시 칼럼 #27 출판 계약을 하고나니 기분이 묘하다 [3] 정승훈 2018.12.02 1044
4875 또 다시 칼럼 #29 부모라면 힘들어도 자녀를 책임져야한다는 청소년 회복센터장 정승훈 2018.12.24 1044
4874 또 다시 칼럼 #30 학교폭력 상담이 연말이면 너무 많아요 [4] 정승훈 2018.12.30 1044
4873 [12.11.09] 나는 걷는다 [1] 어니언 2020.08.09 10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