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연구원

칼럼

연구원들이

  • 윤정욱
  • 조회 수 1049
  • 댓글 수 2
  • 추천 수 0
2018년 1월 8일 07시 01분 등록

지난 2017 12 23일 토요일 장가를 가게 되었습니다.

 

image002.jpg

 

 8개월 간 준비를 한 결혼식은 반나절도 되지 않아 마무리 되었습니다. 그 동안 저희 부부 두 사람만 고생하며 준비한 결혼식인 줄 알았는데, 막상 결혼식을 치르다 보니 주변에 저희 두 사람을 물심양면으로 도와준 많은 분들이 계셨음을 비로소 알게 되었습니다. 서면으로나마 깊이 감사 인사 드리고자 합니다.

 

저희 부부는 반나절의 결혼식을 마치고, 그 길로 약 열흘 간의 신혼 여행을 다녀 왔습니다. 신혼 여행 중에는 싸우기도 많이 싸웠습니다. 우리 두 사람이 서로 참 다른 구석이 많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함께 하는 해외 여행이 처음은 아니지만 신혼여행은 뭔가 조금 달랐습니다. 예를 들면 이런 식이었습니다. 모든 일정을 계획하고 준비했던 남자는 예정된 일정이 틀어지면 불안해 했지만, 자유로운 영혼을 가진 그녀는 일정에 구속 받는 것을 싫어했습니다. 그녀에게 있어 일정은 항상 변동 가능하고 최종 결정은 그 날의 컨디션에 따라 좌우 되었죠그 뿐 아닙니다. 남자는 최적의 동선으로 가장 많은 것을 효율적으로 봐야 직성이 풀리지만, 그녀는 자기가 보고 싶은 것들을 다 보았다면 그 날의 일정은 그 것으로 충분히 만족스러운 것이었습니다. (만족스러운 날에는 이런 표정도 나옵니다)

 

image003.jpg

  

그리고 경험을 중요시 하는 남자는 예정된 예산을 초과하더라도 뮤지컬은 제일 비싼 자리에서 봐야 직성이 풀리고 설사 음식이 남더라도 많은 것을 먹어 보려고 했지만 그녀는 예산을 초과하는 것을 싫어했습니다. 이런 두 사람이 열흘 동안 함께 여행을 하는데 어떻게 싸우지 않을 수 있었을까요? 새삼 서로 많이 다르다는 것을 느끼게 되었지만 다행히 둘 다 이제는 서로 노하우가 생긴 탓에 그 싸움이 오래 가지는 않았습니다서로 의지할 사람이 둘 말고는 없다는 것을 잘 알았을 뿐만 아니라 이제는 서로가 다르다는 점을 조금씩 인정하고 이해하기 시작했기 때문이었습니다.

 

image006.jpg

 

 신혼 여행 셋 째 날 즈음 늦은 저녁 런던의 어느 작은 펍에서 맥주를 마시면서 그녀가 이런 이야기를 한 적이 있었습니다. 정말 우리가 결혼을 한 것인지 실감이 나지 않는다고. 저 역시 그 말에 고개를 끄덕이며 말없이 웃었습니다그리고는 이렇게 말했습니다. 공감한다고. 그런데 한 가지 달라진 점이 있다고. 예전에는 ‘결과’가 중요해서 어디를 가서 좋은 구경을 얼마나 많이 했는지 또 얼마나 예쁜 사진을 많이 찍었는지가 중요했다고그런데 지금은 그 ‘과정’에 좀더 많이 신경이 쓰인다고. 좋은 것을 보고 맛있는 것을 먹을 때 당신도 나와 같은 생각인지지금 기분은 어떤지, 혹시 나만 좋아하고 있는 건 아닌지 그런 감정을 공유하는 ‘과정’들이 더 많이 신경이 쓰인다고그렇게 쓰이는 신경은 우리가 런던이 아닌 제주도를 가도 아마 크게 달라지지 않을 것 같다고.

 

image012.jpg

 

그녀도 웃으며 그런 것 같다고 대답했습니다우리는 이제 막 신혼여행을 마치고 돌아온 새내기 신혼 부부 입니다연애는 오래 했지만 부부 생활을 처음입니다. 많은 것들이 낯섭니다. 신혼 여행을 마치고 바로 처가로 가서 인사를 드리고 어제 오후 늦게 신혼 집에 도착했습니다정신 없이 빨래를 하고 짐 정리를 마치고 나니새벽이네요. 늦은 저녁 그녀를 집에 데려다 주지 않아도 되는 상황도 낯설고, 공식적으로(?) 함께 맞게 될 첫 아침도 낯설었습니다. 그래서 그런 탓인지 아니면 시차 탓 인지 오늘은 새벽 일찍 잠에서 깼습니다옆에서 잠든 그녀가 깨지 않게 조심스레 침대에서 내려와 결혼 선물로 지인에게 받은 커피 머신으로 커피를 한 잔 했습니다. 그녀의 어설픈 남자친구였던 저는 오늘부터 그녀의 어설픈 남편 역할을 다하고자 합니다. 물론 제가 아내의 마음을 다 헤아리지는 못하겠지만 그녀도 나름대로 부담감이 클 것입니다. 서로가 잘 해야겠지만 제가 좀 더 잘하면 될 것 같습니다.

 

저희 두 부부의 행복한 결혼 생활을 축복해주신 여러분 모두에게 진심으로 감사 인사 올립니다. 앞으로 행복하게 잘 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image014.jpg

IP *.33.178.162

프로필 이미지
2018.01.08 13:41:42 *.18.187.152

풋풋하다. 좋을 때다. 부럽다!

달리 무슨 말을 하리요. 축하해요 정욱!

프로필 이미지
2018.01.09 21:19:42 *.223.32.122
두팔벌려 축하드립니다!
그리고 행복한 가정 꾸리시길~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212 [기업팀] 01 HR관련 웹사이트 [38] [5] 오세나 2005.06.03 21790
5211 [기업팀] 00 프로젝트 개요 [1] 오세나 2005.06.03 15474
5210 [기업팀] 02 한국적 인사제도 관련 글 모음 [1] 오세나 2005.06.03 9212
5209 [기업팀] 03 한국 특징 정리 file [4] [22] 오세나 2005.06.03 24446
5208 [기업팀] 04 한국 기업의 인사제도 특이 사례 모음 file [23] 오세나 2005.06.03 16437
5207 [기업팀] 05 한국의 특징 상세자료 file [1] 오세나 2005.06.03 13412
5206 [기업팀] 00 프로젝트 회의록_01 오세나 2005.06.03 10680
5205 [기업팀] 00 프로젝트 회의록 _02 file [15] 오세나 2005.06.15 12066
5204 [기업팀] 06 도서정리_2 <First, Break all the Rules> 오세나 2005.06.15 10954
5203 [기업팀] 06 도서정리_1 <성과창출을 위한 실무 인적관리> 문요한 2005.06.15 10103
5202 [기업팀] 06 도서정리_3 <조직의 성쇠> 박노진 2005.06.15 9828
5201 한국성과 유한킴벌리 사례연구 [2] [3] 박노진 2005.07.03 16068
5200 [한국성(Koreanity)] 관계: 국내기업의 간단한 사례 홍승완 2005.07.04 9354
5199 유한킴벌리 연구 1 박노진 2005.07.12 9816
5198 유한킴벌리 연구 2 박노진 2005.07.12 9144
5197 유한킴벌리 연구 3 박노진 2005.07.12 9341
5196 유한킴벌리 연구 4 박노진 2005.07.12 9437
5195 우한킴벌리 연구 5 - 4조 2교대의 사회적 의미 [4] [16] 박노진 2005.07.17 14667
5194 직무스트레스와 한국형 근로자 지원제도의 필요성 [2] [1] 문요한 2005.07.28 11759
5193 유한킴벌리 연구 6 - 인적자원관리 박노진 2005.08.02 188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