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연구원

칼럼

연구원들이

  • 송의섭
  • 조회 수 1071
  • 댓글 수 1
  • 추천 수 0
2018년 1월 22일 11시 10분 등록

참 희안한 일입니다. 어떤 책을 읽고 '그렇게 살아야겠다'라고 마음을 먹게되면 이상하게도 마치 시험이라도 하듯이 그 반대되는 일이 일어납니다. 예전에도 몇 번 그런일이 있어서 혼자 피식 웃어버리곤 했었는데 자꾸 되풀이 되니까 우연이 필연처럼 더 깊이 제 삶을 들여다 보게 됩니다. 이번 주는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의 「명상록」을 읽었는데 '보다 더 포용성있게, 공동체를 위하여, 타인에 대한 이해와 용서'를 다짐하고 새기고 있었는데, 공교롭게 그래 잘 하나보자라는 것처럼 삶의 어떤 사건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아주 마구 마구 말이죠. 무턱대고 화를 내는 타입은 아닌지라 발생한 상황을 몇 번씩 생각하고 생각하는데 마음이 그리 쉽게는 가라 앉지 않더군요. 그냥 술 한잔 마시고 잠자는 방식을 택하며 잊어 버리자. 잊어버리자를 되뇌이고 있습니다. 아우렐리우스님은 한마디 더 덧붙여 주셨습니다.

 

몹시 화가 나거나 속이 상하면, 인생이 한 순간이며

잠시 뒤면 우리 모두 묻히게 된다는 것을 생각해 보라.

 


IMF때 대학을 졸업했습니다. 그 당시 졸업할 당시도, 졸업한 이후도 사회는 두려운 대상이었습니다. 찾아주는 이 하나 없었고, 할 줄 아는 것도, 하고 싶은 것조차, 아무것도 없는 상황이었으니까요. 절망하고 한탄만 했습니다. 업친데 덮친 격으로 아버지의 사업실패로 집안 살림은 급격히 기울기 시작했습니다. 캄캄하고 앞이 보이지 않았던, 어두운 터널을 진입하던 사회 생활의 초입이 문득 떠올랐습니다. 어머니께서는 울고 울으셨던 참 안타까운 기억입니다. 어떻게 해볼 수 있는 문제도 아니었던 지라 많이 답답했었던 그때였습니다. 저는 그때 제 스스로가 많이 한심하더군요. 저 또한 많이 울었고 아버지를 원망했고 세상에 욕을 던졌습니다. 쌓여가는 은행 대출이자에 막연한 미래에 뭐하나 제대로 돌아가는 것은 하나도 없었던 암흑과 같은 날들의 연속이었습니다. 그러던 어느날인가부터 어머니는 새벽기도를 하시기 시작하셨습니다. 그 모습을 뵐 때 마다, 그 염원이 무엇인지 아는 까닭에, 어머니의 뒷못습 속에는 가슴을 관통한 눈물로 돋아났고, 마음을 타고 들어와 눈물을 흘렸던 적이 한두번이 아니었습니다. 참 어려운 시기였습니다.

그리고 몇 년이 지나고, 기도가 이어지던 어느날, 참 희안한 일들이 일어나기 시작합니다. 동네에 갑자기, 정말이지 뜬금없이 재건축 바람이 불어왔던 것입니다. 그 바람을 타고 우리는 빚을 정리할 수 있었고, 저는 새로운 회사에 안착을 하는 어두운 터널을 빠져나오는 체험을 하게 됐습니다. 아마도 어머니의 기도가 하늘에 닿아 그래 한번 살아봐라라고 말씀하시는 듯 했습니다. 얼마나 다행이고 감사한 일이었던지 지금도 그때의 기억이 어제의 일처럼 떠오르곤 합니다. 저는 그 모든 일이 어머니의 기도속에서 이루진 것이라 믿고 있습니다.


마음먹은 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바라는 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세상의 일들은 참 많습니다. ‘누구는 쉽게 돼 가는거 같은데, 왜 나에게만 이리 어려운 것일까? 내가 뭐 그리 잘못한 게 많다고…’ 그런 마음이 들때가 있었습니다. 마음이 텅 비어 버렸고, 세상에 혼자 있는 것 같았던 때. 저는 그때 이런 글을 썼습니다.



가끔은 혼자만의 괴로움으로 가슴을 적실때가 있더라.

누구에게도 말할 수 없지만, 누군가에게 이야기 하고픈 것들.

그럴 때 혼자만의 몸부림을 감당해야하는 스스로의 고독이 뭉쳐지곤 한다.


 

그런데 말이다.

그게 다 혼자 살아내고, 혼자만 감내하며 안고 가는 것 같았는데

항상 내 뒷면에는 묵직한 침묵에 나를 사랑하는 분의 영혼이

지켜주시고 계시었다.


 


 00.jpg


 



힘들고 고달파하는 후배의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원망하고 자책하더군요. 그러면서 또 다른 희망을 보기도 했습니다. 걱정하는 제 목소리에 그는 엄마와 고기를 먹어서 행복합니다.”라고 하더군요. 저는 그에게 이런 이야기를 전해주고 싶습니다.

혼자만의 고독이 몸부림 칠 때, 사실 혼자가 아니었음을, 부모님은 늘 함께 하셨음을, 알았던 적이 있었다. 그리고 너를 위해 기도하는 어머니를 떠올리라고…”. 제가 어두운 터널을 빠져나온 것처럼, 그 친구도 반가운 햇살을 다시 만날 것입니다. 그걸 믿으며 기도 올려야겠습니다.


우리의 삶은 힘들다고 멈출 수도, 한없는 원망으로 지체만 할 수도 없습니다. 그건 그냥 잠시 그럴 수 있는 일’. 이라고 생각해야 합니다. 물론 쉽지는 않습니다만, 그렇게 신발끈 동여매고 앞으로 나아갈 때만이 지금을 벗어날 수 있을 것입니다. 무엇을 선택하든 우리의 자유이겠으나, 분명한 건 나 혼자만이 아니다라는 사실입니다.

힘을 내십시오. 후배여!

저 또한 마음을 추스리며, 한주를 열심히 살아 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IP *.226.22.183

프로필 이미지
2018.01.29 14:55:44 *.18.187.152

아! 이번 글 너무 좋다.

 

어머님 뒷모습 좋네요. 배경의 자개장도 지나간 시대가 느껴지구요. 어머니 세대의 대표적 혼수였는데 말이죠. 관계가 많을수록 힘든 사람 마주할 확률도 많죠. 술 마시고 그냥 자버렸다는 대목에 괜히 찡하네. 항상 사람이 힘들죠.

 

교통사고는 무조건 쌍방과실 처리이듯, 인간관계도 그런 거 같아요. 저도 누군가때문에 힘들 때 저 사람도 나때문에 힘들겠지 합니다. ㅎㅎ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752 별을 보는 방법 [1] 불씨 2020.07.12 1075
4751 눈에 잘 보이지 않는 것의 소중함을 느낄 때 [1] 정승훈 2020.06.25 1076
4750 <칼럼 #2> 행복의 첫걸음 - 장성한 [5] 뚱냥이 2017.04.21 1078
4749 <뚱냥이칼럼 #17> 뚱냥이 에세이 - 더 크게, 더 많이, 더 자주 외 1편 [8] 뚱냥이 2017.09.03 1078
4748 #24 꿈, 환상 그리고 여행_이수정 [3] 알로하 2017.11.06 1078
4747 #31 프로세스(Process) [4] 불씨 2018.12.23 1078
4746 잠못드는 밤 비는 내리고 [2] 불씨 2018.10.28 1079
4745 또 다시 칼럼 #16 공탁을 해야 할까요? [2] 정승훈 2018.08.12 1080
4744 중력의 유령 [2] 불씨 2018.07.08 1081
4743 일기 [1] 박혜홍 2019.01.07 1081
4742 칼럼 #15 보은(報恩)_윤정욱 [2] 윤정욱 2017.08.14 1082
4741 목차와 임산부의 일반 경험 연결하기 [2] 콩두 2020.07.20 1082
4740 (보따리아 칼럼) 부탄, 방부제가 뿌려진 히말라야 산자락의 꽃 피는 산동네 [1] 보따리아 2017.08.07 1084
4739 #20 - 영웅을 떠나보내줘야 하는 이유 [2] 모닝 2017.10.02 1084
4738 코로나 이후의 직장 풍경 [2] 희동이 2020.06.28 1085
4737 1주1글챌린지_아이와함께하는삶_07 [2] 굿민 2020.07.08 1085
4736 5주- 아이와 함께 자신을 키워라 [1] 콩두 2020.09.04 1085
4735 <칼럼 #3> 나는 그곳에 있었다 - 장성한 file [4] 뚱냥이 2017.05.01 1086
4734 갚으라 박혜홍 2019.01.28 1086
4733 1주1글챌린지_아이와함께하는삶_04 [3] 굿민 2020.06.14 10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