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연구원

칼럼

연구원들이

  • 윤정욱
  • 조회 수 2338
  • 댓글 수 0
  • 추천 수 0
2018년 1월 29일 08시 37분 등록

지난 주말 토요일의 일이었다. 갑작스레 고장 난 컴퓨터를 어찌하지 못하고 결국 새 노트북을 사기로 마음 먹었다. 아내와 함께 한 대형 마트 내 전자제품 가게로 향했다. 미리 생각해 둔 모델이 있었기에 물건을 사는데 시간이 오래 걸릴 것 같지는 않았다. 마트에 들리기 전에 오랜만에 세차도 하기로 했다. 여러모로 기분 좋은 주말 오후였다. 그런데 이상한 일이었다. 창원대로를 따라 마트로 향하는 길 곳곳에 녹색 조끼를 입은 경찰들의 모습이 더러 보였던 것이다. 무슨 행사라도 하나 싶었다. 창원대로에서 시청 방향으로 차를 돌리면 왕복 8차선이 나오는데 그 대로가 끝나는 지점에 마트가 있었다. 그 큰 길 한 가운데서 신호를 기다리는데 도무지 신호가 바뀌지 않았다. 얼마 뒤 한 무리의 사람들이 경찰들의 보호를 받으며 대로를 횡으로 가로지르고 있었다. 태극기 집회 사람들이었다.


당혹스러웠다. 집회라는 것이 서울 그것도 광화문이 아닌 주말 오후 한참 시간에 창원에서 태극기 집회라니. 대부분 고령의 할아버지 할머니들이었다. 좀 더 젊은 사람들은 마스크와 선글라스를 더러 한 사람들도 보였다. 그들은 플랜카드와 태극기를 저마다 손에 들고 있었다. 집회 행렬은 생각보다 길었다. 바로 눈 앞에 마트가 보이는데 차가 옴짝달싹 할 수가 없었다. 자극적인 그들의 주장보다 그들이 내 앞 길을 막고 있다는 사실이 더 불편했던 찰나 경찰 수십 명이 어디론가 우르르 뛰어가는 모습이 보였다. 차에 타고 있던 일부 시민들과 집회 참가자들 사이에 시비가 붙은 것이었다. 경찰들은 그들을 갈라 놓았고 집회 참가자들의 시위는 잠시나마 더 격렬해졌다. 어쩔 수 없었다. 격한 말이 목구멍까지 차오르는 것을 억누르며 우리도 먼 길을 돌아가는 수 밖에 없었다.


그렇게 평소라면 15분이면 도착 할 곳을 거의 한 시간이나 지나서야 도착했다. 새 노트북을 사고 점원이 새 프로그램을 설치하는 동안 짬을 내 마트 식당에서 간단하게 요기를 했다. 옆 자리에는 초로의 노부부가 다정하게 식사를 하고 있었다. 대화가 많지는 않았지만 티 나지 않게 할아버지를 배려하는 할머니의 모습이 보기 좋았다. 그런데 그들의 짐들 가운데 나는 하얀 깃대 두 개를 보았다. 태극기였다. 잘 말아서 가방 안에 넣어둔 태극기 위로 옷을 덮어 가렸지만 나는 분명 보았다. 깃대 손잡이 부분만 머쓱하게 살짝 튀어나와 있었던 것이다. 집회를 마친 노부부가 허기를 달래러 마트에 들린 것 같았다. 나는 생각에 빠졌다. 무엇이 그들을 그 추운 겨울 날 거리로 나서게 했을까? 확성기에 대고 소리를 지르던 그들의 모습과 지금 내 옆에서 조용하게 식사를 하고 있는 노부부의 모습 사이의 간극을 나는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


우리는 지금 긴 겨울의 한 가운데를 지나가고 있다. 여전히 봄은 오지 않은 듯 하다. 지난 겨울 한 집에 사는 자식들은 촛불집회에서, 그 부모들은 태극기 집회에서 추위에 떨었다. 그리고 그들은 집에 돌아와선 아무런 말이 없었다. 대화가 사라진 그 곳에는 공허한 고함소리만 가득하다. 나는 하나의 목소리가 사회 전체를 뒤덮는 것이 두렵다태극기 집회든 촛불 집회든 추운 겨울 우리가 거리로 나온 이유를 우리는 스스로에게 당당하게 말할 수 있는지 궁금하다그리고 그 이야기를 현재 또는 미래의 내 아이내 손주에게도 차분히 설명할 수 있는지 궁금하다그리고 나서 내 아이내 손주가 하는 이야기에도 진심으로 귀 기울일 수 있다면 당당하게 자신의 이야기를 주장하라 말하고 싶다지금까지 태극기 집회 하는 사람들을 보며 내가 느꼈던 조롱과 비웃음을 떠올리며나는 과연 그들의 이야기를 차분히 들을 준비가 되어 있었는지 돌이켜 보았다말하는 것 보다 듣는 것이 더 어려운 것 같다. 말하는 사람과 듣는 사람이 서로 다르지 않다. 우리의 과제다. 둘 모두의 역할을 우리가 해낼 때 보다 더 성숙한 민주주의 사회로 다가갈 수 있다고 믿는다.

IP *.75.253.245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212 [33] 시련(11) 자장면 한 그릇의 기억 secret [2] 2009.01.12 205
5211 [36] 시련12. 잘못 꿴 인연 secret [6] 지희 2009.01.20 209
5210 [38] 시련 14. 당신이 사랑을 고백하는 그 사람. secret 지희 2009.02.10 258
5209 [32] 시련 10. 용맹한 투사 같은 당신 secret [2] 2008.12.29 283
5208 [37] 시련. 13. 다시 만날 이름 아빠 secret [3] 2009.01.27 283
5207 [28] 시련(7) 우리가 정말 사랑했을까 secret [8] 지희 2008.11.17 330
5206 칼럼 #18 스프레이 락카 사건 (정승훈) [4] 정승훈 2017.09.09 1817
5205 마흔, 유혹할 수 없는 나이 [7] 모닝 2017.04.16 1839
5204 [칼럼3] 편지, 그 아련한 기억들(정승훈) [1] 오늘 후회없이 2017.04.29 1864
5203 9월 오프모임 후기_느리게 걷기 [1] 뚱냥이 2017.09.24 1914
5202 2. 가장 비우고 싶은 것은 무엇인가? 아난다 2018.03.05 1921
5201 7. 사랑스런 나의 영웅 file [8] 해피맘CEO 2018.04.23 1934
5200 우리의 삶이 길을 걷는 여정과 많이 닮아 있습니다 file 송의섭 2017.12.25 1940
5199 서평 - 음식의 위로 [2] 종종걸음 2020.07.21 1955
5198 [칼럼 #14] 연극과 화해하기 (정승훈) [2] 정승훈 2017.08.05 1959
5197 나의 하루는...? [5] 왕참치 2014.09.15 1960
5196 칼럼 #27) 좋아하는 일로 먹고 사는 법 (윤정욱) [1] 윤정욱 2017.12.04 1962
5195 1주1글챌린지_'아이와 함께 하는 삶'_01 [9] 굿민 2020.05.24 1962
5194 감사하는 마음 [3] 정산...^^ 2014.06.17 1963
5193 걷기와 맑은 날씨 [2] 희동이 2020.07.05 19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