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 정재엽
  • 조회 수 911
  • 댓글 수 0
  • 추천 수 0
2018년 2월 21일 00시 51분 등록

[일상에 스민 문학]삶의 예술가로 사는  


- 니체 <차라투스투라는 이렇게 말했다>

 

마음편지 가족 여러분, 설 연휴는  보내셨는지 궁금합니다

 

이번 설은 더군다나 동계올림픽과 함께해서 특별했지요저는 연휴기간동안 그동안 밀어 두었던 책을  권이나읽었답니다에밀리 브론테의 <폭풍의 언덕> 니체의 <차라투스투라는 이렇게 말했다>입니다   대단한작품들이죠

 

먼저 에밀 브론테의 <폭풍의 언덕> 제가 정기적으로 기고하는 칼럼에 글을 쓰기 위해 이전에 접어두었던 것을 이번 기회에 '폭풍 읽기'로 마무리 했고,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순전히 지난번 칼럼에 말씀드렸듯이조경란 작가의 <풍선을 샀어> 나온 주인공에 매료되어서 읽게 된 책이었습니다주인공이 단순히니체 전공자라는 이유만으로 말입니다. 아마도 주인공도  책을 읽었을 것이라는 생각을 하며 흐뭇하게 읽어내려갔죠


500페이지가 넘는 <폭풍의언덕> 600페이지가 넘는 <차라투스트라..> 어떻게  읽을  있었냐구요물론 수험서 읽듯이 읽을 수는 없었죠하지만요즘처럼  바람이 부는 바깥 공기는 <폭풍의 언덕> 배경이  요크셔 지방을 연상시켰고워낙에줄거리는 알고 있는지라교과서 읽듯이 자세히는 읽지 못하더라도 인물들간의 대화나 플롯을 따라 읽다보니 어느새 끝장을 넘기고 있었습니다.  <폭풍의 언덕> 약속된 다른 칼럼에서 소개하도록 하고요오늘은 <차라투스투라..>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저는  책을 접한것은 고등학교 1학년때 였습니다지금은 강남 한복판의 통증의학과 원장님으로 있는 친구와 관련이 있습니다. 1학기때 수학 여행에저는 도스토예프스키의 <까라마초프의 형제들> 들고 갔습니다그때 그 친구는 바로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들고왔습니다당시 다른 친구들은 <드레곤 >시리즈아니면이름도 가물거리지만 울긋불긋한 도색잡지들을 몰래 숨겨온 친구들도 있었습니다물론 스포츠 신문이 대부분이었지만요기차 안에서 이런 책들을 보고 있는 친구가 있으니 아이들 눈에는 별종으로 보였겠지요. 그래서 아이들은 저희를 보고 "카라차라"라며 놀리곤 했습니다. 카라마쵸프의 '까라', 차라투스투라의 '차라'를 딴 별명이었죠. 물론 수학 여행기간에 책에 대한 이야기도 조금 나누었습니다. 암튼이를 계기로  친구와 저는 급속도로 친해지게 되었습니다덕분에 학교생활도 즐거워졌습니다. 그 친구는 공부도 잘했지만엄청난 독서광이었습니다동서양을 막론하고 읽어대는  친구의 영향으로  또한 많은 책들을 접할  있었습니다 친구가 읽었던   아직도 기억나는  권은 아직도 제가 읽기를 시도조차 하지 못한 것들도 있습니다친구의 추천에 결국여름방학때  책을 읽기 시도했습니다줄거리에 익숙했던 저는 잠언집같은  책에 당황해서 친구에게는 대충 읽었다고 이야기하고 화제를 돌렸던기억이 납니다 

 

변화경영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있을 구본형 선생님께서는 연구원 수업 중에 니체에 관한 책을 과제로 주신 적이 있습니다이번 칼럼을 계기로  책을 다시 찾아보니 보이질 않았습니다당시에도  난해하다고 느꼈던 모양입니다이전에 제가 칼럼을 쓰기 위해 당시에 메모한 자료들을 살펴보았습니다니체에 관한 여러가지 사실들을새삼 다시 발견할  있었습니다예를 들면 책을 '철학적 다이너마이트라고 했다거나니체를 보고 ‘망치를 철학자다라고 명명한다는 것들입니다그만큼  책도 저자도 다양한 모습을 지니고 있는 논란의 철학자임에는 분명한 것 같습니다.   

 

불친절하고 난해한 그럼에도 불구하고  책은 독일어로   중에서 <성서> <파우스트다음으로 많이 팔렸다고 하죠니체가  책의 마지막 4부를  썼을 당시에는 출판사를 찾지 못해 자비로 출판을 했지만 말이죠. 

 

 책을 통해서 니체는 우리에게 이야기합니다. 

 

삶의 예술가라 되어라그것이 최고의 행복이다.”라고요. 

 

 자신의 힘에 대한 불신 극복하고  곳에 머무르지 않고  새로워지려는 그리고 창조의 기쁨을 위해서 파괴의 고통을 긍정하는 힘이 필요하다고 니체는 말합니다그는 ‘차라투스트라라는 인물을 통해서 독자들에게 이야기합니다이러한 자기의 극복은  한번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 순간 자기 극복 통해서 영원회귀에 이른다고 말입니다. 

 

그는 우리에게  가지 질문을 던집니다. 

 

당신의 삶은 영원히 반복되어도 좋다고 말할  있는 삶인가하고 말입니다. 

 

까까머리 고등학교 시절을 거쳐, 10 변화경영연구소 연구원으로 시절을 지나, 40대를 지나고 있는 저에게 30 중반의 니체는 물어봅니다

 

지금 당신은삶의 예술가로 살고 있느냐고이런 삶이 계속 지속되어도 행복하겠느냐고 말입니다. 

 

정재엽 (j.chung@hanmail.net드림. 

 


***** 구본형변화경영연구소 공지 ***** 

1. [안내] 변경연 팟캐스트 크랭크인
2018년 구본형변화경영연구소에서 야심차게 추진하는 프로젝트 중 하나인 팟캐스트에서 첫편째 편인 <위대한 멈춤>의 홍승완, 박승오 두 작가의 이야기에 이어, 두 번째 초대손님으로 정신과 의사이자 <굿바이 게으름>, <그로잉>, <스스로 살아가는 힘>의 저자인 문요한 작가에 대한 다양하고 흥미로운 이야기들이 업로드 되었습니다. 일청과 함께 많은 공유 부탁드립니다.

2. [들어보세요~] 차칸양의 강의 <잘 산다는 것>
변화경영연구소 4기 차칸양연구원이 지난 1월 20일 변경연 영남권 모임에서 강의했던 <잘 산다는 것>을 공유하고 있습니다. ‘어떻게 사는 것이 과연 잘 사는 것일까’하는 명제는 사실 누구나 한번쯤 고민해 본 사안일텐데요, 그렇다면 차칸양은 과연 어떻게 그 난제를 풀어냈을까요? 백문이 불여일청! 시간나실 때 한번 들어보시기 바랍니다~^^
IP *.210.112.106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916 '빨딱병'과 조류 독감, 그 이면에 감추어진 현실(1편) [2] 차칸양(양재우) 2017.01.24 1258
2915 [월요편지 79]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 [1] 습관의 완성 2021.10.31 1258
2914 [월요편지 85] 가짜 곰, 진짜 곰 [1] 습관의 완성 2021.12.13 1258
2913 소로우의 아침 書元 2015.10.03 1259
2912 자가용에 대한 여러 생각들 [1] 차칸양(양재우) 2016.08.02 1259
2911 제주에 집을 얻어 <글쓰기여행 in Jeju>공저를 진행합니다 file [6] 한 명석 2017.02.22 1259
2910 백열세번째 편지 - 1인 기업가 재키의 10대 풍광 [2] 재키제동 2017.08.04 1260
2909 [라이프충전소] 당신이 정말 친구로 만들어야 할 사람 [1] 김글리 2023.03.03 1260
2908 좋은 삶은 무엇으로 채워지는가? 김용규 2016.07.07 1262
2907 show는 어디에나 있다 file [1] 한 명석 2015.09.03 1264
2906 '빨딱병'과 조류 독감,그 이면에 감추어진 현실(2편, 완) [2] 차칸양(양재우) 2017.01.31 1264
2905 [알로하의 두번째 편지] 춤을 배우기에 늦은 나이는 없다 file [2] 알로하 2020.03.29 1264
2904 [일상에 스민 문학] 세월호와 <노인과 바다> file [7] 정재엽 2017.03.29 1265
2903 <알로하의 두번째 편지> 그 엄마에 그 딸 1 file [2] 알로하 2020.11.01 1265
2902 [화요편지]100% 실패를 받아들이고 나자 생긴 일 아난다 2021.11.02 1265
2901 졸업식날은 역시 짜장면! 제산 2018.02.18 1267
2900 인공지능의 시대, 창의성이란?(7편) file 차칸양(양재우) 2016.10.04 1268
2899 [화요편지]요가는 어떻게 삶이 되는가? [2] 아난다 2021.06.15 1268
2898 틀려도 괜찮다 잘하고 있으니 너무 애쓰지 마라 [1] 장재용 2021.06.22 1268
2897 열 살에 삶의 길을 결단한 남자 김용규 2016.06.30 12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