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연구원

칼럼

연구원들이

  • 정승훈
  • 조회 수 1025
  • 댓글 수 5
  • 추천 수 0
2018년 4월 15일 19시 28분 등록

3 아들이 스타일리스트가 되고 싶다고 학원을 다니며 자격증 준비를 했다. 2월에 필기시험에 합격하고 3월엔 실기시험을 봤다.

필기시험은 학원생 중 유일하게 자기만 합격했다고 한다. 대견했다. 그 많은 문제들을 혼자 풀어보고 공부했다. 그렇게 열심하는 모습이 언제였나 싶었다. 3월 실기시험을 보고 나서 지난 주 발표가 있었다. 아침에 학교를 가면서도 불안해했다. 시험을 보고 나서 안배운 게 나왔고 어려웠다고 했다.

 

두 시가 지나 카톡으로 불합격됐다는 문자를 보내왔다. 많이 실망한 눈치였다. 이번에 합격하고 다음 달부터는 야자하면서 수능시험에 전력을 다할 계획이었다. 시험에 떨어져서 개말렸어.”라며 짜증을 냈다. 다음 시험은 6월에 있다고 했다. 한번 실패한 거니 괜찮다. 다음엔 되겠지. 하며 위로했지만 위로가 되지 않았나보다. 전화가 왔다. “엄마, 인생 내 맘 같지 않아.”라고 하는데 왜 그렇게 웃음이 나는지... “그래, 이번에 됐으면 수능준비만 하면 되는데 맘이 편하지 않겠다.”며 다시 달래줬다. 결국 그날 기분을 풀어야 한다며 늦게 들어왔다.

 

며칠이 지났다. 저녁에 씻고 나와선 나 인생 잘 산 것 같아.”한다. “뭔 소리야?” 했더니 나 시험 떨어진 날 00이는 학원도 안 가고 나랑 같이 시간 보내줬고, 00이는 너라면 다음엔 꼭 될 거야. 라며 말해줬어. 이 정도면 나 잘 산거 아니야?” 한다. “그럼, 그렇지.”하며 맞장구를 쳐줬다. “나 원래 긍정적이잖아. 잘 될 거야.” 한다.

 

갑자기 그 순간 소년재판의 아버지라 불리는 천종호판사의 말이 생각났다. 10호 처분으로 소년원 2년을 보낸 아이들이 검정고시로 고졸학력도 취득도 하고 기술을 익혀 자격증도 딴다고 한다. 그리고 회사에 취직한다. 하지만 오래 다니지 못하고 그만둔다고 했다. 크게 두 가지 이유다. 첫째, 격리된 생활을 오래 하다 보니 사회성이 떨어진다는 것이다. 둘째는 정서적 지지기반이 없다는 것이다. , 직장생활을 하다보면 질책도 받고 혼나기도 하는데 그럴 경우 보통은 부모에게, 친구에게 위안도 받고 같이 이야기를 하며 위기를 넘긴다. 그들은 우선 부모의 보살핌이 없다. 친구도 별로 없다. 그러다 보니 고비가 오면 그냥 그만둔다. 정서적 지지기반이 없다. 자격증과 기술이 있어도 경력이 쌓일 수 없다. 경력이 없으니 월급이 적다. 결국 쉽게 돈 버는 길로 간다.

 

그래서 격리 시설인 소년원이 아닌 그룹홈 형태의 유사가정이 필요하다고 한다. 부부가 십여 명의 아이들과 생활하는 형태다. 저녁을 같이 먹고 서로 정서적으로 교류하며 어른과 함께 생활하면서 사회성도 키우고 정서도 키우는 것이다. 이렇게 생활한 아이들은 원만히 사회생활에 적응도 잘 한단다. 결혼해서 가정을 이룬 청년도 있다고 한다.

 

아이들에겐 어른이 있어야 한다. 옆에서 말없이 지켜봐주고 격려해주는 언제나 내 편이 되어줄 어른이. 꼭 부모가 아니어도 된다. 노년에 청소년 회복센타 같은 기관에서 비행청소년들을 돌보는 일을 하면 어떨까 한다. 입양을 하려다 못했는데 이것이 또 다른 입양이 아닐까? 나의 노후 계획 중 하나이다.

 

IP *.124.22.184

프로필 이미지
2018.04.16 10:19:03 *.103.3.17

아이는 어른의 거울이라는 격언이 생각납니다. 소외된 아이들에게 더 많은 사회적 배려의 장치가 생겼으면 좋겠네요.

프로필 이미지
2018.04.16 13:46:23 *.124.22.184

의외로 많은 분들이 활동하고 계시더라구요.

프로필 이미지
2018.04.16 12:58:28 *.130.115.78

노년에 청소년 회복센타 같은 기관에서 비행청소년들을 돌보는 일을 하면 어떨까 한다.


아! 아라미스님은 결국 '세상의 엄마'가 되고 싶으신 거였군요.

현재의 저로서는 감히 상상도 되지 않는...그리도 큰 분이셨군요.


깊은 존경과 무한한 응원을 보냅니다.

프로필 이미지
2018.04.16 13:45:48 *.124.22.184

앗! 들켰다. 제가 정한 신화를 눈치채다니....

프로필 이미지
2018.04.21 07:15:28 *.48.44.227

이렇게 세상의 엄마, 청소년들의 조력자가 되려고 노력하시는 분이 계시기에 이 세상이 유지가 됩니다.

또 발전합니다.

생각은 행동을 이룹니다.  타인에 대한 사랑은 자신에게도 사랑으로 돌아옵니다. 

함께 하게 되어서 기쁩니다~~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032 [컬럼011] 가슴 속의 역사, 소중한 떨림 [6] 香山 신종윤 2007.05.28 3480
5031 변할 수 밖에 없는 것과 변하면 안 되는 것 [5] 해정 오윤 2007.05.28 3885
5030 (011) 그 시절의 영웅들 [3] 교정 한정화 2007.05.28 3152
5029 (11) 젊은 성공의 다른 쪽에는 [5] 박승오 2007.05.28 4423
5028 (칼럼10) 폭신폭신한 나의 영웅 [10] 素賢소라 2007.05.28 3467
5027 나의 아멘호테프 [12] 최정희 2007.05.29 3438
5026 [11]우리 작은 영웅들의 이야기 [2] 써니 2007.05.29 3526
5025 [10] 부자 교회 앞 거지와 이방의 신 [6] 써니 2007.05.29 3745
5024 독서를 지속해야 하는 3가지 이유 [3] 현운 이희석 2007.05.29 4045
5023 인류와 나, 우리들의 과거 속 빛나는 장면들 [4] 海瀞 오윤 2007.06.03 3291
5022 [컬럼012] 경이로운 떨림의 장면들 [3] 香山 신종윤 2007.06.04 3218
5021 떨림, 그 긴 여운 (칼럼12) [3] 최정희 2007.06.04 2821
5020 (12) 역사 속의 반짝이는 물결 조각들 [4] 時田 김도윤 2007.06.04 3069
5019 (칼럼11) 가슴으로 다시 만난 역사 [7] 素賢소라 2007.06.04 3042
5018 (12) 역사는 예(example)를 통해 가르치는 철학 [6] 박승오 2007.06.04 3151
5017 [12] 칼럼이 아닌 내면의 토의와 탐색 [4] 써니 2007.06.04 2705
5016 나에게 가장 경이로운 역사의 5가지 장면 [3] 현운 이희석 2007.06.05 3318
5015 [칼럼12]역사와 함깨한 5월을 보내며 [6] 素田최영훈 2007.06.05 3000
5014 (13) 실컷 울어라! [5] 時田 김도윤 2007.06.07 3499
5013 [칼럼13] 기본으로 돌아가자 [4] 余海 송창용 2007.06.08 37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