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 운제
  • 조회 수 815
  • 댓글 수 0
  • 추천 수 0
2018년 5월 17일 09시 43분 등록

[목요편지]  장미의 계절 

   

 

가정의 달, 5월도 벌써 중순을 빠르게 지나고 있습니다. 우리 동네에 장미 담장이 예쁜 집이 있습니다. 오늘 아침에도 운동길에 그 장미를 보았습니다. 붉은 장미가 만발하였습니다. 드디어 장미의 계절이 왔습니다. 장미를 좋아하지 않는 사람이 없습니다. 축하, 사랑의 고백 등 의미가 있는 날에는 장미가 빠지지 않습니다. 

 

<어린 왕자>에 장미에 대한 이야기가 나옵니다. 워낙 명대사라서 올려봅니다.

"너의 장미가 그토록 소중한 것은 그 꽃을 위해 네가 공들인 그 시간 때문이야."

"너는 네가 길들인 것에 대해 언제까지나 책임이 있는거야. 너는 네 장미에 대해 책임이 있어."

"아저씨 별의 사람들은 한 정원 안에 장미꽃을 5천 송이나 가꾸지만 그들이 원하는 것을 거기서 찾지 못하고 있어. 그렇지만 그들이 찾는 것은 단 한 송이의 꽃이나 한 모금의 물에서 찾을 수도 있어."

내가 장미를 더욱 좋아한 것은 <어린왕자>에 나오는 장미 이야기를 알고 나서부터 입니다.  그때부터 나에게 장미는 하나의 꽃이 아니라 하나의 의미가 되었습니다. 

 

윌리엄 블레이크는 '한 알의 모래 속에서 세계를 보며, 한 송이 들꽃에서 천국을 보라'고 했습니다. 한 송이 장미꽃도 자세히, 오래 보면 꽃 이상의 의미를 찾을 수 있습니다. 장미를 보면서 느끼는 것은 아름다움 만이 아닙니다. 내가 찾은 의미는 3가지 정도입니다.

 

첫째, 장미꽃은 열정입니다. 사랑도 열정입니다. 그래서 사랑의 고백에 장미가 항상 있는 것 같습니다. 다른 색깔도 있지만 특히 붉은 장미를 보면 마음 속까지 붉게 물드는 것 같습니다. 장미꽃은 예쁘기도 하지만 오래 갑니다. 삶에는 열정이 있어야 합니다. 항상 뜨거울 수는 없지만 삶을 열정 없이 산다면 진정으로 삶을 사는 것이 아닙니다.  

 

둘째, 장미에는 가시가 있습니다. 가시는 꽃을 지켜줍니다. 가시때문에 장미를 싫어하는 사람은 별로 없습니다. 꽃이 아름다우면 가시가 있어도 꽃의 아름다움이 줄어들지 않습니다. 사람도 마찬가지입니다. 사람도 자신을 지켜줄 가시같은 것이 필요합니다. 한 없이 좋은 사람이 좋은 사람은 아닙니다. 자신을 지키면서 아름답고 향기가 있어야 진정으로 좋은 사람입니다.  

 

셋째, 장미는 생명력이 강합니다. 장미는 햇볕과 물만 있으면 어디서든 잘 자랍니다. 물만 제 때 주면 널쿨을 뻗으며 예쁜 장미화원을 만듭니다. 꽃이 아무리 예뻐도 잘 죽으면 가꾸기가 어렵습니다. 사람으로 치면 예쁘기는 한데 병치레를 잘 하는 사람이 아름답다고 할 수 없는 것과 마찬가지입니다. 그런 면에서 장미는 모든 것을 다 갖추고 있습니다.  

 

5월은 신록의 계절이자 장미의 계절입니다. 길 가에 피어있는 장미를 보면서 열정과 생명력을 느껴보시길 바랍니다, 그리고 예쁜 꽃 속에도 가시가 있고, 몸에 가시를 품고 있으면서도 예쁜 꽃을 피우는 장미의 세계에 빠져봅시다. 그리고 세상을 어떻게 보아야 할지도 생각헤 보세요. 같은 장미를 보더라도 장미화원을 생각하는 사람이 있고, 가시덤불을 생각하는 사람이 있습니다. 당신은 어떤 것을 보는 사람입니까? 

 

    

 

김달국 올림 (dalkug@naver.com) 

 

 


IP *.103.213.108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096 목요편지 : 가을바람이 분다 [1] 운제 2018.09.06 806
4095 목요편지 - 귀조경 [1] 운제 2018.09.27 806
4094 [금욜편지 59- 기질별 인생전환 로드맵-8번 골목대장- 로드맵] 수희향 2018.10.19 806
4093 [자유학년제 인문독서] 14. 엄마는 중학교 때 무슨 책 읽었어? [1] 제산 2019.02.18 806
4092 [자유학년제 인문독서] 24. 다시, 책으로 제산 2019.05.20 806
4091 가족처방전 – ‘엄마의 글쓰기’ 동아리 file 제산 2018.06.18 807
4090 목요편지 - 첫사랑 [2] 운제 2018.12.20 807
4089 <알로하의 두번째 편지>_첫번째 이야기 file 알로하 2020.02.16 807
4088 화요편지 - 잘 봐, 언니들 인생이다! [4] 종종 2022.04.12 807
4087 경계 너머 [1] 어니언 2022.04.28 807
4086 [라이프충전소] 함께 사는 사람들 [1] 김글리 2022.05.06 807
4085 [라이프충전소] 나만의 오리지널리티를 구축하는 법 2. 많이 모방할 것 [1] 김글리 2022.05.27 807
4084 가족처방전 – 엄마, 트럼펫 배우고 싶어요. [2] 제산 2018.08.20 808
4083 달력에 담긴 꿈, 그녀를 응원합니다! [4] 차칸양 2018.11.20 808
4082 4월을 맞이하며 [4] 어니언 2022.03.31 808
4081 [수요편지] 자기 자신을 등불로 삼아라 [1] 불씨 2022.05.10 808
4080 [금욜편지 66- 기질별 인생전환 로드맵- 6번 우유부단한 공동체수호자] file 수희향 2018.12.07 809
4079 [금욜편지 110- 책쓰기는 책읽기다-전문분야편] 수희향 2019.11.01 809
4078 [알로하의 두번째 편지] 미지의 삶을 찾아서... file 알로하 2020.03.01 809
4077 [일상에 스민 문학] <사슬에 묶인 프로메테우스> 정재엽 2018.06.06 8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