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 운제
  • 조회 수 968
  • 댓글 수 1
  • 추천 수 0
2018년 6월 21일 14시 28분 등록

많은 사람들이 자존심과 자존감을 혼동하고 있습니다. 저도 얼마 전까지 그랬습니다. 오늘은 여기에 대해 알아봅니다  

 

건강한 자아를 위해서는 자존심과 자존감의 균형이 필요합니다. 자존심은 타인이 나를 어떻게 생각하느냐에 따라서 나타나는 마음인데 비해 자존감은 스스로 나의 가치와 능력에 대해 느끼는 마음입니다. 다시 말해 자존심은 타인을 통해 존중받는 마음이며, 자존감은 자기 스스로를 존중하는 마음입니다.  

 

자존심이 높은 사람은 타인을 의식하지만 자존감이 높은 사람은 타인의 평가나 시선에 연연하지 않습니다. 자존심과 자존감은 대체로 반비례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자존감이 낮은 사람은 자존심을 세움으로써 보상을 받으려는 심리가 있습니다. 그런 사람은 다른 사람의 자극이나 반응에 민감하게 반응합니다. 자신의 낮은 자존감이 드러나는 것이 두렵기 때문이지요. 자존심이 높은 것처럼 보이는 사람은 다른 사람에게 강한 모습을 보이기 위해 그렇게 노력할 뿐이며 자존감이 낮은 사람입니다. 반면, 자존감이 높은 사람은 자존심을 내세우려고 하지 않습니다. 그것은 자존심이 없어서가 아니라 스스로 내세울 필요가 없기 때문이지요 

  

자존감이 낮은 사람은 상처를 받거나 무시당하면 쉽게 흔들리지만 자존감이 높은 사람은 남의 시선이나 의견에 쉽게 흔들리지 않습니다. 자존심은 뱃살처럼 자연발생적으로 생기는 것이지만 자존감은 복근처럼 자신을 갈고 닦아야 생깁니다. 둘 다 자신을 지키는데 필요한 것이지만 많은 사람들이 자존감보다는 자존심에 더 많이 기대려 합니다 

  

자존감은 세상이 자신을 알아주지 않을 때 자신을 지킬 수 있는 힘이 되지만 자존심은 자신을 지키기 위해 내세우려다가 자신을 더욱 위험하게 만들 수도 있습니다. 자존심은 자신을 지켜주는 칼과 같습니다. 자신을 지켜주는 칼이 없으면 안 되지만 칼이 있다고 해서 함부로 휘둘러서도 안 됩니다. 칼은 칼집 속에 있을 때 힘을 발휘하는 것이지 일단 칼집에서 빠져나오면 힘을 잃습니다. 자존심은 세우는 것이 아니라 가지고 있는 것입니다. 자존심은 가지고는 있지만 함부로 쓰지 않을 때 더 큰 힘을 발휘합니다. 자존심을 내세우면 고집이 됩니다. 고집을 부리는 것은 자신이 소인배라는 것을 폭로하는 것과 같습니다. 

 

우리의 몸에 의도하지 않은데도 늘어나는 뱃살을 의도적으로 줄여야 하듯이, 우리의 마음도 자존심을 내세우지 않아도 될 정도로 자존감을 높이는 것이 좋습니다. 당신은 타인들의 시선이나 견해에 자존심과 자존감 중 어느 카드를 먼저 꺼내는 편입니까?

IP *.103.213.127

프로필 이미지
2018.06.23 08:18:47 *.62.8.75
뱃살과 복근에만 대입해보면 너무 자신감 떨어지는데요ㅎㅎ
속편에서는 다른 비유도 좀 부탁드려요^^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436 영화 다시 보기 [1] 어니언 2023.05.18 972
3435 NG의 변신 이야기 [1] 차칸양 2018.07.17 973
3434 두 사람은 어떻게 결혼할 수 있었을까? 어니언 2023.08.10 973
3433 백열일곱번째 편지 - 1인 기업가 재키의 친정엄마 재키제동 2017.09.15 974
3432 [수요편지] 나는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1] 불씨 2022.09.28 974
3431 나를 위한 선택의 기술 [2] -창- 2017.05.13 975
3430 나만의 김영란법은 -창- 2017.06.10 975
3429 [화요편지] 남겨질 이들을 위한 변명 아난다 2020.01.07 976
3428 [수요편지] 습관의 완성은 본성(本性) [1] 불씨 2022.10.25 976
3427 [용기충전소] 새로운 변화가 필요할 때 [2] 김글리 2020.09.25 977
3426 [자유학년제 인문독서] 11. 줄글책 인문고전 입문서 제산 2018.12.30 979
3425 가족처방전 – 누가 뭐래도 내 길을 갈래 file 제산 2018.09.02 980
3424 모임에 대하여 어니언 2022.11.10 980
3423 [금욜편지 35- 성격이 운명이다] 수희향 2018.05.04 981
3422 목요편지 - 명언 운제 2019.09.27 982
3421 월급쟁이 마음사전 장재용 2020.04.07 982
3420 [알로하의 두번째 편지] 성실의 아이콘 또는 짜증 대마왕?? file 알로하 2020.08.23 982
3419 목요편지- 아! 가을인가 운제 2020.09.24 982
3418 [수요편지] 삶이 그대를 속일지라도 [1] 불씨 2022.10.12 982
3417 [금욜편지 115- 책쓰기는 설득이다] 수희향 2019.12.06 9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