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연구원

칼럼

연구원들이

  • 박혜홍
  • 조회 수 1006
  • 댓글 수 6
  • 추천 수 0
2018년 7월 25일 16시 22분 등록

학교라는 공적인 조직에서 퇴직하고 사적으로 선택해서 들어온 조직이 변화경영연구소이다.

할머니가 되어서 재미있게 여생을 살 일이지 왜 하필 글을 쓰는 곳인가 

내게만 주어진 특별과제를 받고 나서 문득 생각해 보았다.

국민학교 ( 초등학교) 때 글쓰기 대회에 종종 나가서 상도  받은 기억이 있다.  어릴 때부터 글쓰기를 좋아했던 것 같다.

자녀들에게도 편지를 종종 썼다. 학생들이 내게 편지를 보내면 꼭 답장을 해 주었다.

이렇다 할  취미가 없던 내가 그나마 좋아했던 것이 글쓰기인 것 같다. 

왜 내가 글을 쓰려고 하는지 그 깊은 이유는 나이 들어 알게 되었다.

살다간 흔적을 자손들에게 남기고 싶은  것이다.

조상이 어떤 생각을 가지고 어떻게 살았는가를 후손들에게 남기고 싶은 것일 것이다

나의 뿌리이신  조부님이나 외조부님이 어떤 분들인지 나는 거의  모른다는 것이 안타까웠기 때문이다.


글쓰기를 배워보려고 퇴직 후에야 여기저기 기웃거려 보았다. 

그러다 수필과 칼럼의 차이도 잘 모르는 상태에서 변경연에 들어오게 되었다.

글은 어떻게 쓰는 것이고,  조직원들은 어떻게 어제보다 아름다와지려는 사람들을  도와주며 작가들은 어떻게 책을 만드는가

궁금 했다.

게다가 구 본형이라는 스승님이 돌아가신 후에도 제자들이 똘똘 뭉쳐 그 뜻을 잇는다고 하니 제자들의 마음이  무척 휼륭하게

생각되었다.

책을 낼 때 마다 다같이 모여서 축하해주고, 서로 격려하며,  서로 다른 사람들이 만나 즐거워하는 모습이 아름다왔다.

역시 젊은(?) 사람들은 재기발랄하다.  처음 참석해 본 변경연 전체 모임인 12기 장례식에서  유쾌하게 웃었던 기억이 지금도 생생하다.


변경연이란 조직의 역사를 잘 모르는 나로서는  그저 글쓰기 훈련에 임하는 자세를 갖는 것이 최선이라고 생각해서

주어진 커리큘럼대로 읽으라면 읽고 쓰라면 쓰는 그런  시간을 보내고 있다.


그래서일까 변경연에 들어왔기 때문에 특별히 새로 알게 된 나의 모습이란 것은 사실 없다.

오래 살아서 그렇기 때문도 하거니와 사람은 변하는 것이 있고 변하지 않는 것이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사람들이 나를 대하는 태도는 각 조직의 성격에 따라 달라지기 마련이기도 하다.


사실 나는 이중苦를 겪고 있다.


정통 기독인들 사이에서는 내가 세상을 즐겨하는 사람으로 아직 믿음이 부족한사람으로 평가받는다는 인상을 종종 받는다.

변경연에서는  나에 대해 너무 기독교에 편향된 것이 아니냐, 틀에서 벗어나라,  조르바처럼 살아보는 것이 어떻냐,  특이하다

당신의 페르소나를 벗어보라,  이쪽에만 기울지 말고 이쪽으로 와 봐라 등의  말을 들었다.

그렇지만 친구들이나 여고동창 모임에서는 날 개그맨 취급을 하기도 한다.

남편의 많은 부부모임이나 동창 모임에서는 누구도 그렇듯이  인기있는 사람이기도 하다.


'나' 라는 사람이 각자 모임의 성격에 따라  다른 태도를 갖고 대해서 그럴 수도 있고

한편으로는  각자가 가진 눈으로 나를 바라보며 평가하기 때문에 그렇기도 하다.


어쨋든 나는 글을 쓸 때 제일 나 다워진다는 것을 안다..  글은 자기 마음을 쓰는 것이다.

젊은 날 이미 까불어 보았고, 되지도 않은 말을 가지고 사람들이나 친구들을 웃기며 살기도 했다.

이런 일을 떠올리면  낯이 뜨뜻하다.



IP *.48.44.227

프로필 이미지
2018.07.25 16:39:23 *.130.115.78

세상은 저마다의 언어로 나를 규정하려고 하지만

그들의 언어로 표현되는 인격체가 나의 본질은 아닐거예요.


혜홍님이 느끼고 계신 혜홍님은 어떤 존재인가요?

그간의 수련을 통해 자기 자신을 느끼는 감각에 변화가 있으셨나요?

프로필 이미지
2018.07.29 13:25:14 *.48.44.227

나는 이런 사람 이라고 이미 내 놓아도 자꾸 뭘 다른 걸 내놓으라 하니...




프로필 이미지
2018.07.25 17:06:26 *.103.3.17

변화라는 것이 다른 사람이나 자기답지 않은 사람이 되는 것을 말하는 것이 아니듯이, 이미 자기 주체성을 확립하고 온전한 삶을 살아가고 있는 사람에게는 변화라는 것이 불필요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변화는 불행한 사람들이 원하는 것이라잖아요 ^^

변화라는 말 대신 발전이라는 말로 대체해보면 어떨까 싶습니다. 마침 7월 자문위원이셨던 요한선배님의 최근작 <여행하는 인간>에서 읽었던 좋은 구절이 있어 여기에 옮겨봅니다.

일본 소설가 나쓰메 소세키(소새끼? ㅋ)가 이렇게 말했답니다.

"자신의 취향은 동일한 취향과 접촉하기 때문에 함양하는 것이고, 또한 이질적인 취향과 만나서 계발되는 것이며, 높은 취향에 매료되기 때문에 향상심이 생기는 것이다."

자기다움으로 이질적인 것들을 아우르고 항상심으로 발전하는 웨버님이 되시길 바래봅니다 ^^

프로필 이미지
2018.07.25 22:39:03 *.48.44.227

일본어는 우리가 듣기에 웃기는게 많아요/ 결석은 겟세끼지요. 경치는 개시끼구 ㅎㅎ

오늘 오후 딸네 가서 애 보다가 같이 밴드하는 친구의 00암 2기라는 연락을 받아 지금 정신이 얼얼한 상태예요.

친구도 무척 충격을 받아 최선을 다해 격려해주고 왔지요.

그 친구가 기도 많이 해달라고 부탁을 하니 내일 당장 새벽기도부터 가야겠어요



프로필 이미지
2018.07.28 10:27:58 *.124.22.184

"어쨋든 나는 글을 쓸 때 제일 나 다워진다는 것을 안다.. 글은 자기 마음을 쓰는 것이다."

저는 생각이 정리되야 글이 써지기도 하고 글을 쓰면서 생각이 정리되기도 하더군요. 글은 나를 드러내기도 하지만 반대로 감출 수도 있다고 생각해요. 어떤 글을 쓰냐에 따라서요.

 

웨버님은 글을 통해 본인의 생각을 피력하시고 있으시죠. 11기 수업때 교육팀에게 많이 들은 말 중 하나가 주장하는 글이 자칫 읽는 사람으로부터 강요라고 느낄 수 있어 글을 보지 않게 만들 수 있다는 것이었어요. 처음 글쓰는 사람들이 본인 글에 힘을 주다보니 생기는 일이라며 글에 힘을 빼라고 했어요.  당위로 접근하는 글도 마찬가지라고. 당연한 것이 어디 있으며 각자의 생각이 있을 뿐이겠죠.

웨버님의 그동안 칼럼이 애국, 도덕을 너무 거대하고 당위적인 것으로 여기시는 듯해서요. 

 

시대정신이 이젠 당연한 것이 당연하지 않을 수 있다는 생각으로 바뀌지 않았나 싶어요. 기독교에서 '늘 께어있는 사람'이라는 표현을 쓰죠. 저는 같은 맥락이라고 생각해요. 젊은 사람들의 생각을 알고 싶다고 하셨던 것이 생각나서요. ㅎㅎ 

프로필 이미지
2018.07.29 13:21:22 *.48.44.227

시대정신이 아무리 바뀌어도 진,선,미를 향한 인류전체의 보편적 가치는 동일해야 하지요. 

몸에 척추뼈가 바로서야 몸이 바른 것 처럼요.

온갖 인간의 말은 인용해도 괜찮고 성경말씀은 인용하면 읽기 거북하다면 그것도 각자의 틀이 되겠네요.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012 [칼럼12]과거속의 영혼의 떨림 [2] 여해 송창용 2007.06.08 2766
5011 [칼럼 13] 새벽 1시에 선물 받은 책 [4] 海瀞 오윤 2007.06.09 3195
5010 [칼럼13]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 [4] 素田 최영훈 2007.06.10 3376
5009 13시간 동안 쓴 13번째 칼럼 [12] 최정희 2007.06.12 3114
5008 (13)출장이야기,그리고.. [11] 香仁 이은남 2007.06.12 3527
5007 [13] 수직으로 내리꽂히는 사랑 [5] 써니 2007.06.12 3301
5006 (013) 피해가지 못하고 [2] 교정 한정화 2007.06.12 3202
5005 [컬럼013] 자전거와 일상의 황홀 [9] 香山 신종윤 2007.06.12 3040
5004 [칼럼 013] 6월4일 ~ 6월8일 [9] 好瀞 민선 2007.06.12 3247
5003 질퍽한 삶이 높은 이상을 품다 [6] 현운 이희석 2007.06.12 3406
5002 [칼럼14] 구전심수(口傳心授) [8] 余海 송창용 2007.06.16 3588
5001 [컬럼14]호랑이가 겨자씨로 보이던 날 [6] 素田 최영훈 2007.06.16 3287
5000 (014) 경험에서 건너뛰기 [4] 校瀞 한정화 2007.06.17 2637
4999 (14)모든 죽어가는 것들을 위하여 [4] 香仁 이은남 2007.06.17 3179
4998 [칼럼 014] 상하이의 기억 file [4] 好瀞 민선 2007.06.18 3201
4997 [칼럼 14] 김구 선생님과 바톤터치 하기 [2] 海瀞오윤 2007.06.18 3321
4996 [컬럼014] 무엇을 써야 할까? 글쓰기의 소재찾기 [11] 香山 신종윤 2007.06.18 3143
4995 [14] 유서, 스승, 르네상스(꿈 꽃) [9] 써니 2007.06.18 3202
4994 동지, 그 아름다운 동행 [3] 현운 이희석 2007.06.19 3089
4993 또 다른 목민을 위하여 [9] 최정희 2007.06.20 29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