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혜홍
- 조회 수 1986
- 댓글 수 1
- 추천 수 0
나는 고2 때 (헉! 1972년인가. 내 자체가 역사가 되었구만 ) 수영을 하면서 스스로 깨달은 것이 하나 있었다.
뭐든지 연습이 쌓이고 쌓여야 잘 할 수 있다는 것을 말이다.
그 당시 종로 YMCA에서 단체 수영강습이 있었는데 실제로는 약 1주일만 기초를 가르쳐주고 그 다음부터는 각자 알아서
연습을 하는 것이었다.
삼투압 작용으로 내 작은 콧구멍에 물이 쫙 들어가 뇌 전체가 욱신거리는 고통 속에서도 열심히 연습했다.
자유형, 배영을 조금씩 마스터하고 접영도 시도했으나 너무 힘이 들어서 그것은 포기했다.
그 수영장에는 수영을 아주 잘 하는 남학생이 있었다.
특히 그가 접영을 하면서 물에 한번 들어갔다가 두 팔을 뒤로 한 채 그의 하얀 얼굴이 그처럼 하얀 파도 속에 보일 때는 나뿐만 아니라
모든 아이가 그 남학생의 수영을 눈길로 따라갔다.
그를 보니 자유형 수영으로 물을 끌어당길 때 팔이 직각이 되는 것이었다. 나는 그의 폼을 보면서 열심히 연습했다.
또 수영장에서 그 남학생만이 턴을 할 수 있었다.
수영을 척척 해 나가다가 순식간에 몸을 뒤집어 발로 벽을 차서 그 힘으로 물살을 헤치고 앞으로 쭉 나갈 때는 보기만 해도 시원했다.
나도 저걸 해보리라.
뒤집고 또 뒤집었다. 성공도 하고 실패도 했다. 나는 늘 코맹맹이가 되었다.
이제는 수영을 하면서 턴하기를 시도해 보았다. 어떤 때는 벽과 멀리서 차서 아무리 차도 제자리였고 어떤 때는 너무 가까이에 가서
벽을 차다 발이 밖으로 나와 바닥에다 애꿎은 발꿈치에 가격을 해 비명을 지른 적도 있었다.
돌 때 제대로 안 돌면 또 코에 물이 쫙 들어갔다. 골이 깨지는 듯이 아프고 뇌 전체에 물이 찬 듯 얼얼하였다.
그러던 어느 날 갑자기 감각이 깨어났다. 어디쯤에서 돌면 되는지 저절로 알게 된 것이다.
그때의 감격이란! 쭉쭉 나가다가 휘리릭 돌아서 벽을 두 발로 착 차서 나갈 때 무아지경이 되었다.
물에 몸을 맡기고 있으면 온 몸이 막대기처럼 되어서 몸이 쭈욱 앞으로 나가는 것이다.
교실에서도 수영하는 생각을 했다. YMCA 수영대회에 나가서 피라미 급을 땄다. 고3때는 알량한 공부 때문에 수영을 못했다.
대학 1년 때도 수영을 간간히 하였다. 그 실력으로 나중에 여행 다닐 때 수영 실력(?)을 유감없이 발휘하였다.
홍도에선가 배에서 바다에 뛰어들어 수영하자 잘한다며 공짜로 회도 먹었고
특히 몬테네그로의 바다에서는 잠수하다가 내 평생의 보물을 줍기까지 했다.
발칸반도를 돌 때도 바다만 보이면 꼭 수영을 하고 다녔다.
특히 로비니의 그 강렬한 햇볕아래 청량한 푸른 바다 속을 헤집고 다닐 때 얼마나 행복했던가
평생 잊지 못할 추억이다. 나는 이 얘기를 수업시간에 꼭 해 주었다.
한 학년이 10반 이상이면 10번 이상 얘기한 것이다. 반이 다르니 한 얘기를 또 했다.
말 하다보니 또 말실력이 쌓여서 나중엔 유머까지 섞어 실감나게 얘기해 주었다.
애들도 입을 헤 벌리고 재미있게 들었다.
특히 그 수영 잘하는 남학생과 박치기했을 때의 얘기를 해주면 좋아라 웃으며 듣다가 꼭 물어본다.
‘혹시 지금 선생님 남편이 되셨나요? ’
여러분, ‘오늘 수업주제는 쌓임입니다. 연습이 쌓이고 쌓이면 저절로 알게 되는 겁니다,’
선생님 수영얘기에서 깨달았지요? 공부도 그렇게 하는 거예요. 그렇게 말을 많이 해놓고서는 내게는 적용하지 않았다.
그저 내 몸에 지방만 쌓이게 했다. 그저 깨달음으로 끝났을 뿐 어디에 그 쌓임을 적용하지 않았다.
그리곤 이 나이가 되었다. 말로만 떠들고 자기에겐 적용하지 않은 선생이 되어 버린 것이다.
마음도 그렇다. 무슨 생각이든 쌓이게 된다. 그래서 조심할 일이다. 마음은.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5032 | 9월 오프수업 후기 [4] | 정승훈 | 2018.09.17 | 2206 |
5031 |
9월 오프수업 후기, 나에게는 일기, 우리에겐 편지 ![]() | 불씨 | 2018.09.16 | 1992 |
5030 |
또 다시 칼럼 #19 형사조정이 뭐예요? ![]() | 정승훈 | 2018.09.09 | 2065 |
5029 | 마지막 말 한마디에 [3] | 박혜홍 | 2018.09.03 | 1878 |
5028 | 일상의 아름다움 [4] | 불씨 | 2018.09.02 | 1799 |
5027 | 또 다시 칼럼 #18 분류심사원, 다시는 가고 싶지 않아요 [3] | 정승훈 | 2018.09.02 | 2032 |
5026 | 만렙을 향하여 [2] | 불씨 | 2018.08.26 | 2158 |
5025 | 또 다시 칼럼 #17 학교폭력이 점점 어려지고 있다 [3] | 정승훈 | 2018.08.26 | 2231 |
» | 쌓임 [1] | 박혜홍 | 2018.08.26 | 1986 |
5023 | 8월 오프 수업 후기 -게시판 이동 | 박혜홍 | 2018.08.24 | 2080 |
5022 | 8월 오프수업 후기 [1] | 정승훈 | 2018.08.20 | 1950 |
5021 | 8월 오프수업 후기 - 나의 하루 창조 [1] | 불씨 | 2018.08.20 | 2189 |
5020 | 빽 튜 더 퓨처 [2] | 박혜홍 | 2018.08.12 | 1941 |
5019 | 또 다시 칼럼 #16 공탁을 해야 할까요? [2] | 정승훈 | 2018.08.12 | 2139 |
5018 | 코딩교육의 본질 [3] | 불씨 | 2018.08.12 | 2222 |
5017 | 건대입구에서 [2] | 박혜홍 | 2018.08.05 | 2100 |
5016 | 또 다시 칼럼 #15 학교밖 아이에게 맞았어요 [4] | 정승훈 | 2018.08.05 | 1986 |
5015 | 개발자의 언어 [3] | 불씨 | 2018.08.05 | 2134 |
5014 | K [2] | 박혜홍 | 2018.07.30 | 1872 |
5013 | 또 다시 칼럼 #14 이제는 말한다 [2] | 정승훈 | 2018.07.30 | 189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