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 운제
  • 조회 수 835
  • 댓글 수 1
  • 추천 수 0
2018년 10월 4일 19시 55분 등록

나를 바꾼 한권의 책 

 

  “한 권의 책이 사람을 바꾼다.”는 말이 있습니다.
나를 바꾼 첫번째 책은 권일송 작가가 쓴 <이 성숙한 밤을 위하여>라는 책입니다.
나는 이 책을 군대에서 첫 휴가를 나오면서 샀습니다. 

첫 휴가를 나오면서 책을 사는 사람도 참 드물겠죠? 

 

이 책은 나에게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에 대해 잔잔하게 가르쳐 주었고 

청춘의 가슴을 뜨겁게 해주었습니다.
이 한권의 책을 시작으로 나는 책에 조금씩 빠져들게 되었습니다.
좋은 글 밑에는 줄을 치면서 보았습니다. 

그래야 다음에 또 쉽게 찾아 볼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 책에는 밑줄을 그을 곳이 많았습니다.

“내 빛을 남에게 기대하지 말라.”

이것이 내가 노트에 적은 첫 번째 문장입니다.
놓치면 다시는 보지 못할 것 같은 마음에 와 닿는 문장에 줄을 치고 노트에 옮겨 적기 시작했습니다.  

내가 밑줄을 친 문장은 주로 이런 문장들이었습니다.

“세상에 자살자는 없다. 다만 사회적 타살자가 있을 뿐이다.”

“돛폭이 찢어지는 한이 있더라도 바다 복판을 항해하는 뱃길이
시련과 영광을 외면하려 들지 말아야 한다.”

“인생은 실상은 잔재미로 산다.
그것이 우리들 인생이 목마르게 추구하는 행복의 조건임을 깨닫게 되기까지에는
역설적이게도 그 얼마나 많은 세월이 흘러야만 하는 것이던가.”

“좀 더 인생을 깊이 살려고 맘먹는 사람에게 있어
고독은 늘 자신을 깨어있게 하는 구성요소가 된다.”

요즘 보면 이런 글들이 밑줄을 치고 노트에 적을 만큼은 아니지만  

그 당시에는 나에게 영혼의 샘물과 같았습니다.  
노트에 적은 글들은 나의 생각으로 자리 잡게 되었고  

흔들릴 때 힘이 되어 주었습니다. 

 


좋은 문장의 힘을 알게 되면서 점점 나는 책에 빠지게 되었습니다.      
그 후부터 책을 고를 때 밑줄을 그을 곳이 많은 책을 사게 되었습니다.
그러다 보니 자연히 소설책은 거의 사지 않았습니다.
소설은 책의 분량에 비해 밑줄을 그을 곳이 별로 없기 때문입니다.
도서관에서 빌린 책은 밑줄을 그을 수 없기 때문에 노트에 적어야 했습니다.
그렇게 적은 노트가 30권이 넘습니다.

좋은 책은 읽은 사람을 그대로 놓아두지 않습니다.
목욕탕에 가기 전과 후에 몸이 달라지듯이  

책은 읽기 전과 후의 영혼을 같을 수가 없습니다.
사람은 잘 바뀌지 않지만 사람을 바꿀 수 있는 것이 책입니다.
책을 읽는다고 다 바뀌는 것은 아니지만  

바뀔 준비가 되어 있는 사람이 책을 일을 때 그 사람은 바뀝니다.  

뱀이 허물을 벗으면서 성장하듯이 사람은 책을 읽으면서 성장합니다.  

 


이 좋은 계절에 당신 곁에 그런 책이 있습니까?

있다면 몇권 정도 있습니까?

만약 그런 책이 없다면 내일 당장 도서관이나 서점으로 가 봅시다.

이 아름다운 계절을 책도 없이 그냥 보내기에는 너무 아깝지 않나요?

  

    

김달국 드림




***** 구본형변화경영연구소 공지 ***** 

1. [변경연 팟캐스트] 『나는 왜 사람들 앞에 서면 말을 못할까』 – 진성희 작가(2부)
이번 팟캐스트는 『나는 왜 사람들 앞에 서면 말을 못할까』의 진성희 작가 2부가 이어집니다. 말하기에서 경청이 중요함을 일화와 함께 소개하고, 자기만의 스피치 만들기와 소통 모드 만들기에 대한 팁을 알려줍니다. 그리고 작당모의 코너에서 현실적인 스피치와 소통에 대한 해법에 대한 이야기를 나눈다고 하니 방송을 통해 꼭 들어보시기 바랍니다: 

2. [북chonTV] 『구본형의 마지막 수업』 박미옥 작가
변화경영연구소 꿈벗이자 <촌TV>의 안철준 대표가 진행하는 <북(book)chonTV>의 이번 초대손님은 『구본형의 마지막 수업』의 박미옥 작가입니다. 이번 편에서는 변화를 위한 자기경영의 핵심가치와 더불어 고전이 삶에 미치는 영향과 의미에 대해 이야기를 나눴다고 하네요. TV인만큼 안대표와 박작가의 실제 모습까지 볼 수 있다고 하니 관심있는 분들의 많은 시청바랍니다.


 

 

 

 

 




IP *.103.213.226

프로필 이미지
2018.10.10 17:02:07 *.7.46.228
선생님 잘지내셨습니까.다름이 아니라 내 빛을 남에게 기대하지 말라.가 무슨 뜻인지 알듯말듯 모르겠습니다.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996 [자유학년제 인문독서] 16. 묵자 1 [2] 제산 2019.03.04 829
3995 [화요편지] <아이를 기다리는 시간> 100배 활용 가이드 [1] 아난다 2019.06.18 829
3994 [수요편지] 하루애愛 장재용 2019.07.31 829
3993 [화요편지] 엄마, 굴레에서 꿈의 현장으로! 아난다 2020.03.03 829
3992 (화요편지) 종종의 종종덕질 - 엄마, 여자, 사람, 그리고 나로 살고 싶은 당신에게 [2] 종종 2022.02.08 829
3991 휴가를 맞이하여 [2] 어니언 2022.07.28 829
3990 차칸양의 마지막 마음편지 [10] 차칸양 2018.12.18 831
3989 백스물네번째 편지 - 1인 기업가 재키의 딸의 편지 재키제동 2017.11.10 832
3988 [자유학년제 인문독서] 12. 식탁에서 시작하는 인문고전 [2] 제산 2019.01.06 832
3987 <알로하의 맛있는 편지> 이번 주 쉽니다 알로하 2019.12.01 832
3986 기쁨에서 슬픔으로 [1] 어니언 2023.10.19 832
3985 [일상에 스민 문학] -샬롯 브론테 <제인에어> 정재엽 2018.05.30 833
3984 국공립 영어도서관, 장서개발회의에 참석했어요! 제산 2019.06.24 833
3983 [수요편지] 살아있는 맛 장재용 2019.06.26 833
3982 [금욜편지] 산사수행 중 수희향 2019.10.18 833
3981 시작하다 = 지금을 살다 [1] 불씨 2022.03.02 833
3980 [금욜편지 49- 신화속 휴먼유형- 하데스형 2- 느긋함과 욕망사이] 수희향 2018.08.10 834
3979 [금욜편지 73- 카잔차키스를 읽고- 나의 자유를 찾아서] [4] 수희향 2019.01.25 834
3978 [수요편지] 잠들지 않는 유년 장재용 2019.07.25 834
3977 [알로하의 두번째 편지]_이번 주 쉽니다 알로하 2020.03.15 8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