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 차칸양
  • 조회 수 950
  • 댓글 수 2
  • 추천 수 0
2018년 10월 9일 12시 39분 등록


지난 편에서는 3층 연금체계의 1층에 위치한 가장 기본적이며 기초적인 연금이라 할 수 있는 국민연금에 대해 말씀드렸는데요, 오늘은 연금 두 번째 편으로 퇴직연금에 대해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퇴직금은 직장인에게 있어 법적으로 보장된 금액입니다. 1년 이상 회사를 다니다 퇴사할 경우 회사에서는 의무적으로 퇴직금을 지급해야만 하죠. 언제든 퇴직금을 지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기업에서는 ‘퇴직급여충당금’이란 제무제표 항목으로 이익 중 일부를 적립해 놓습니다. 하지만 회사운영에 큰 문제가 생길 경우, 퇴직금을 받지 못하는 경우도 생깁니다. 적자 혹은 도산으로 인해 퇴직금으로 줄 자금마저 없어지게 되기 때문이죠.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1990년대와 2000년 초반 일정 규모 이상의 기업에서는 퇴직급여충당금의 일부 혹은 상당 부분을 외부 금융기관의 ‘단체퇴직보험’ 상품에 예치시켜 놓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그렇게 되면 회사에 문제가 발생되더라도 퇴직금만큼은 차질없이 지급할 수 있을 테니까요.

직장인들이 퇴직금을 온전히 받는다 할지라도 문제는 있었습니다. 목돈이지만 이곳 저곳 급한 곳에 쓰다보면 나중에는 어디에 썼는 지도 모르게 사라지고 말았기 때문이죠. 사실 퇴직금이란 퇴직 이후에 쓰라는 금액으로, 잘 생각해 보면 더 이상 일하기 어려운 노후에 활용하는 것이 가장 좋다고 볼 수 있을 겁니다. 그렇기 때문에 정부에서도 퇴직금을 연금으로 활용할 것을 적극 권장했죠. 그래서 나온 것이 바로 2005년 12월부터 시행된 ‘퇴직연금’ 제도입니다.


퇴직연금은 2가지 관점에서 바라볼 수 있습니다. 하나는 직장을 다니고 있을 때의 관점으로, 이때는 회사에서 퇴직연금을 가입하는데 여기에는 2가지 유형이 있습니다. 첫 번째는 확정급여형(DB형, Defined Benefit)으로 회사가 퇴직금의 60% 이상을 퇴직연금 운용기관(은행, 증권, 보험사 등)에 맡겨야 합니다. 이때 퇴직연금을 운용하는 주체는 개인이 아닌, 회사입니다. 그래서 퇴직연금의 운용 성과 또한 회사의 수익으로 포함되죠. 대신 근로자는 퇴직할 때 직전 3개월치 평균 소득에 따라 퇴직금을 받게 되는데, 급여 인상이 많이 될수록, 그리고 직급이 높아져 월급이 많아질수록 유리해 집니다. 즉 퇴직연금 운용에는 관여하지 않지만, 회사의 급여 인상에 따라 자신의 퇴직금 액수도 그만큼 높아진다는 겁니다.

두 번째는 확정기여형(DC형, Defined Contribution)으로 퇴직금을 매년 중간정산하는 것과 같은 개념입니다. 이때 운용의 주체는 회사가 아닌, 개인입니다. 회사는 1년마다 근로자의 퇴직금을 산정하여 개인 명의의 퇴직연금 통장에 지급합니다. 그러면 개인은 1년 동안 자신의 퇴직금을 운용하는 거죠. 투자를 잘해 수익을 잘 내도, 혹 투자를 잘 못해 손실을 본다 하더라도 이는 개인의 책임으로 귀속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DC형은 금융상품 투자에 대해 어느 정도 잘 알고 있는 사람이 유리하다 할 수 있습니다.

DB형과 DC형을 비교할 때, 이렇게 생각하면 쉽습니다. 투자에 자신이 있다면 DC형이 유리합니다. 하지만 그렇지 못하다면 DB형이 속 편하다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자신이 다니고 있는 회사의 매출상황이 좋아 매년 높은 임금 인상을 해주고 있다면, DB형이 더 나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반대로 거의 임금 인상이 되지 않는다면 DC형이 유리하다 할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정기예금에라도 넣어 놓으면 최소 예금 금리만큼은 수익이 날 수 있기 때문이죠.


여기에 더해 한가지를 더 추가할 수 있습니다. 퇴직금은 퇴직연금으로 운용되지만, 이와는 별도로 IRP(individual retirement pension, 개인형 퇴직연금) 계좌를 보유할 수 있습니다. 즉 회사에서 받게 될 퇴직금이 아닌, 개인적으로도 퇴직연금 계좌를 운용할 수 있다는 겁니다. 이는 정부에서 개인들의 퇴직연금 활용을 위해 만든 제도로, 정부에서는 이 제도의 활성화를 위해 여기에 최대 연 700만 원(개인연금이 있을 경우에는 합산하여 700만 원까지)까지의 연말정산 소득공제 혜택까지 주고 있죠. 

직장인이라면 이 IRP 계좌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습니다. 소득공제로 인한 혜택을 누림과 동시에, 상품 운용을 통해 별도의 수익까지 누릴 수 있기 때문이죠. 물론 단점도 있습니다. 연금으로 수령해야 하기 때문에 만 54세까지는 보유해야만 하는데, 중도 해지할 경우에는 받았던 소득공제 혜택은 물론 가산세까지 물어야 합니다. 타격이 클 수 밖에 없죠. 그래서 IRP 계좌를 운용할 때 여기에 넣는 돈은 ‘그냥 없는 돈이다’라고 생각하는 게 좋습니다. 워낙 장기로 넣어야 하기 때문이죠. 하지만 나중에 받게 될 열매는 분명 달 것입니다. 없는 셈 쳤던 돈을 받게 될 테니까 말이죠.


(4편에서 계속)



차칸양 올림
“경제·경영·인문적 삶의 균형을 잡아 드립니다”
Mail : bang_1999@naver.com
Cafe : 에코라이후(http://cafe.naver.com/ecolifuu) - 목마른 어른들의 배움&놀이터




***** 구본형변화경영연구소 공지 ***** 

1. [강좌] <괴로움의 원인과 치유>(김홍근 교수)
변화경영연구소 박승오 연구원이 진행하는 퇴근길 인문학 교실 3강 <괴로움의 원인과 치유>과정이 10/18(목)부터 4주간 진행됩니다. 우리는 일상의 괴로움을 피하고자 하지만 넘쳐나는 생각을 다스리기는 참 힘이 듭니다. 이에 대한 명쾌한 답을 찾고자 하신다면 김홍근 교수와 함께 세계 3대 영성가로 꼽히는 에크하르트 톨레의 책을 교재 삼아 인간의 마음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인간의 내면은 진정 변화할 수 없는지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 가져보시기 바랍니다.

2. [모집] 글쓰기와 책쓰기를 아우르는 글통삶 13기 모집
변화경영연구소 한명석 연구원이 진행하는 <글통삶 책쓰기 과정> 13기를 모집합니다. 글쓰기는 좋은 삶을 이루는 뼈대이고, 책쓰기는 글쓰기의 꽃이라고 합니다. 자아성찰, 자기합리화, 고백 욕구를 담당하여 언제 어떤 국면에 부딪치더라도 새로이 시작할 수 있게 ‘나라도 내편’이 되어 주는 글쓰기와 누구에게도 할 수 없는 이야기를 모두에게 하게 해주는 ‘살 맛’나는 마법의 도구인 책쓰기에 관심있으신 분들의 많은 관심과 신청 바랍니다.


3. [모집] <퇴사연습 – 체크리스트 진단> 11/06 ~ 12/04 매주 화요일
1인회사 연구소 대표이자 변화경영연구소 5기 연구원인 수희향 대표가 <퇴사연습 – 체크리스트 진단> 과정을 진행합니다. 저성장 고령화 시대, 화이트 칼라 중산층들은 모두 잠재적 퇴준생들이 아닐 수 없습니다. 그러나 화이트 칼라들이 회사 문을 나오는 순간 가능한 옵션은 매우 제한적입니다. 이미 레드오션인 자영업 창업이나 이직 시장을 전전하는 것이 아닌 장기적으로 자신의 기질에 가장 맞는 1인 지식기업가의 길을 도모하고 싶은 분들 그 가능성의 첫 걸음을 시도해보시기 바랍니다.

4. [팟캐스트] 완벽이란 놈에 발목잡혀 한 걸음도 못나갈 때 (김글리 작가)
변경연 팟캐스트 35번째의 주인공은 코칭펌에서 일하며 개인 출판과 강연을 병행하고 있는 김글리 작가입니다. 그녀는 1000일 동안 23개국을 여행하며 한국에서라면 망할 것 같은 삶의 방식으로 사는 사람을 많이 만났습니다. 그들과 교류하며 나대로 살아도 되겠다는 확신을 얻었다고 합니다. 강점을 발견해도 약점을 인정해야 강점을 활용할 수 있다는 이야기, 류시화 시인에게 편지 답장 받은 이야기, 전문 여행가의 여행법 등이 공개됩니다.




IP *.117.54.213

프로필 이미지
2018.10.16 08:37:24 *.36.149.8

개인연금과 IRP 는 다른가 봅니다. 

저는 개인연금 (년간 400만원)으로 소득공제 보고 있는중인데 IRP 도 추가로 혜택이 있는지 알아봐야겠습니다.

늘 고맙습니다~

프로필 이미지
2018.10.17 14:41:33 *.39.102.67

개인연금으로 연 400만 원을 적립하고 있다면, IRP로 300만 원을 더 불입하세요.

그러면 총 700만 원의 세액 공제 혜택을 볼 수 있습니다~

덤으로 나중엔 개인연금+퇴직연금을 같이 받을 수 있겠죠?^^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516 정의…2 정의는 어디에서 싹트는가? 김용규 2016.10.27 946
3515 [수요편지 13- 책읽기를 통한 신비체험] [5] 수희향 2017.09.13 946
3514 목요편지 -겨울준비 운제 2019.11.21 946
3513 목요편지 - 꽃비 운제 2020.04.09 946
3512 [용기충전소] 나만의 길을 만드는, 인생학교 [2] 김글리 2020.05.21 946
3511 목요편지 - 음악이야기 [1] 운제 2020.06.18 947
3510 [용기충전소] 예술은 00 [1] 김글리 2020.09.17 947
3509 [알로하의 맛있는 편지] 구름 속에서 탄생한 와인의 기적 1 file [1] 알로하 2019.06.30 948
3508 [화요편지] 그때 거기, 있었던 그대로 file 아난다 2020.08.18 948
3507 기질과 강점을 목격하다 [1] 어니언 2022.09.29 948
3506 [수요편지] 노리스크 노리턴 [1] 불씨 2023.09.27 948
3505 안 해도 좋았을 도전이란 없다 어니언 2023.12.07 948
3504 여든번째 편지 - 1인 기업가 재키의 아홉번째 토크쇼 재키제동 2016.11.25 949
3503 가족처방전 – 어버이날 아버지 선물 준비하셨나요? file 제산 2018.05.07 949
3502 [용기충전소] 일상을 소비하는 새로운 방식 김글리 2020.06.12 949
3501 [수요편지] 생각하지 않는 사람들 불씨 2023.08.29 949
3500 알아두면 쓸데있는 근거없는 계산법 1 [2] 이철민 2017.10.19 950
3499 ‘강사를 가르치는 강사’ 유형선의 <강의 잘 하는 법>(하편) 차칸양 2018.02.27 950
3498 가족처방전 – “엄마, OO해도 돼요?” 라는 질문에 대하여, 두번째 이야기 file 제산 2018.08.06 950
3497 그림으로 말해요 – 첫 번째 이야기 file [2] 제산 2017.06.19 9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