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연구원

칼럼

연구원들이

  • 정승훈
  • 조회 수 1024
  • 댓글 수 0
  • 추천 수 0
2018년 11월 4일 01시 21분 등록

 한국에서 법적 미성년자의 극악한 범죄가 발생할 때마다 소년법 폐지가 거론되고 있습니다. 이번에도 인천여중생이 성범죄 피해자가 되고 2차 피해로 괴롭힘을 당하다 자살하는 사건이 있었고 친언니가 국민청원을 해서 20만명이 넘었다고 합니다. 그럼 소년법을 폐지하면 모든 것이 해결될까요? 소년법을 폐지하면 어떻게 되는지 하나하나 살펴보려고 합니다.

 

첫 번째, UN 아동권리협약에 위배됩니다.


 아동권리협약.jpg


UN 아동권리협약 / 사진제공=유니세프 코리아

 

UN 아동권리협약은 18세 미만 아동의 모든 권리를 담은 국제적인 약속으로, 19891120UN에서 만장일치로 채택됐습니다. 현재 대한민국을 포함한 전 세계 196개국이 가입한 상태입니다.

37조 어린이 범죄자 보호에 관한 조항에 우리에게 사형이나 종신형 등의 큰 벌을 내릴 수 없으며 우리를 고문해서도 안 됩니다. 우리를 체포하거나 가두는 일은 최후의 방법으로 선택해야 합니다. 우리는 갇혀 있는 동안 가족과 만날 권리가 있으며 우리를 어른 범죄자와 함께 지내게 하면 안 됩니다.” 라고 되어있습니다.

만약 소년법이 폐지되면 만 14세부터 18세까지의 소년에게 사형 및 종신형을 선고할 수 있게 됩니다. 이는 협약에 전적으로 위배됩니다. 국제사회의 일원으로 한국이 지금껏 비준한 각종 인권조약과 정면으로 충돌하게 되는 것입니다.

한국에서 소년법을 폐지하겠다는데 국제협약이 뭐가 중요하냐고 할 수 있겠지만 그렇지 않습니다. UN의 인권 관련 규약이 국회에서 비준된 경우에는 국내법보다 우위에 있을 뿐만 아니라 헌법에 준하는 효력이 있다는 것이 학계의 통설입니다.

아동의 권리에 관한 협약은 미국을 제외한 전 세계 모든 UN 가입국이 비준하였고, 미국 역시 연방대법원에서 만 18세 미만에 사형, 가석방 없는 종신형을 선고하는 것은 위헌(미국헌법 위반)이라고 판결하였기 때문에, 전 세계 어느 나라도 범행 당시 만 18세 미만에 사형, 가석방 없는 종신형을 선고하지 않습니다.

 

37조에 우리를 어른 범죄자와 함께 지내게 하면 안 됩니다.”라고 합니다. 그럼 이 내용을 지키기 위해서 어떻게 해야 할까요? 성인 수용시설인 교도소가 아닌 소년 교도소에 보내야 합니다. 그럼 한국의 소년 교도소는 몇 개가 있을까요? 하나입니다. 현재 대구지방교정청 소속으로 김천소년교도소가 유일하게 설치되어 있습니다.

소년법을 폐지해서 형을 집행하면 소년원이 아닌 소년 교도소에 보내야 합니다. 지금 하나뿐인 소년 교도소로는 수용되지도 않습니다. 현재도 과밀수용하고 있습니다. 시설을 늘리는 것으로 수용문제는 해결되겠지만 어린나이에 폐쇄된 시설에서 가족과 떨어져 지내면서 교정과 교화가 되지 않습니다. 천종호판사가 유사가정의 형태인 청소년회복센터를 만든 이유가 여기에 있습니다. 청소년회복센터 생활을 한 아이들의 재범률이 현저하게 줄었습니다. 처벌을 하고 시설에 수용하는 것으로 끝이 아닙니다. 재범에 대한 고민도 해야 합니다. 현실적인 문제에서부터 대안으로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시행하기 전에 충분히 논의하고 나서 해야 합니다.

 

소년법을 폐지하면 형법 적용을 받게 됩니다. 다음 글에선 형법은 어떻게 정하고 있는지, 형법 적용을 받으면 어떻게 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IP *.124.22.184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892 #30. 배고픔의 미학 [2] ggumdream 2018.01.01 1012
4891 # 다시 찾은 제주에서 모닝 2018.01.21 1012
4890 걷기와 맑은 날씨 [2] 희동이 2020.07.05 1012
4889 어쩌다 남중생 수업풍경 - 복수혈전 [3] 지그미 오 2020.08.15 1012
4888 걷기예찬_걷는 시간에 관하여 [2] 어니언 2020.08.16 1012
4887 칼럼_2주차_기숙사 그리고 주말 오후 세시의 짧은 단상 [5] 윤정욱 2017.04.16 1013
4886 5월 오프모임 후기(김기상) [6] ggumdream 2017.05.23 1013
4885 삼국유사속 역사기행은 어떠신지요? [1] 송의섭 2017.07.31 1013
4884 (보따리아 칼럼) 고인을 기리며 남은 효를 다짐하다 file [3] 보따리아 2017.08.11 1013
4883 #34 매일의 힘_이수정 [2] 알로하 2018.02.05 1013
4882 갇힌 자 [1] 박혜홍 2018.07.16 1013
4881 오쌤의 수업풍경- 상처는 자기가 자신에게 주는 것이다 [3] 지그미 오 2020.07.20 1013
4880 (보따리아 칼럼) 우리 아이는 까막눈 [1] 보따리아 2017.06.26 1014
4879 #19 개와 고양이에 관한 추억_이수정 file [8] 알로하 2017.09.18 1014
4878 우리는 무엇이 되어 다시 만날까 [6] 보따리아 2018.01.15 1014
4877 1월 오프수업 후기 - 우린 또 어디선가 마주칠 것이다. [4] 모닝 2018.01.16 1014
4876 9월 오프수업 후기, 나에게는 일기, 우리에겐 편지 file [3] 불씨 2018.09.16 1014
4875 에볼루션(Evolution) 불씨 2018.09.30 1014
4874 보이지 않는 손 박혜홍 2018.11.12 1014
4873 5월 오프모임 후기_이수정 [5] 알로하 2017.05.23 1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