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 아난다
  • 조회 수 896
  • 댓글 수 3
  • 추천 수 0
2019년 3월 5일 07시 53분 등록

제 안의 저도 모르는 힘을 처음 자각한 것은 서른 다섯의 일이었습니다. 물론 내 마음 하나 맘대로 안 되네하는 정도야 새로울 것 없는 익숙한 느낌이었지만 그때 그 느낌은 이전과는 전혀 다른 종류였습니다.

 

그 때 저는 직장 생활 10년차를 맞고 있는 워킹맘이었습니다. 정년이 보장되는 안정적인 일터에 성실한 남편과 건강하고 예쁜 남매까지 갖추었으니 그럭저럭 괜찮은 삶이었는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이상하게도 도무지 행복하지가 않았습니다. 어디서부터 뭐가 잘 못되었는지는 알 수 없었지만 뭔가 잘 못된 것만은 분명했습니다.

 

무료하고 건조한 일상의 사막을 벗어나기 위한 필사적 탈출,

그리고 그 모험 속에서 살아있음을 경험하는 나를 만날 수 있는 레이스.

 

답답한 마음을 달래기 위해 자주 들르던 구본형변화경영연구소의 홈페이지에서 발견한 모집공지에서 눈을 뗄 수가 없었습니다. 눈만 뗄 수 없었던 것이 아니라 온 몸의 신경이 일제히 그 문구를 향해 달려가는 것 같은 느낌이 들었습니다. 세계적인 신화학자 조셉 캠벨의 영웅의 여정을 모티브로, 평범한 직장인에서 작가이자 1인 기업가로 변신에 성공한 저자의 실제 변화과정을 기반으로 설계한 개인대학원이라고 했습니다. 말할 수 없이 매력적이었지만 그 과정에 요구되는 시간과 노력을 확인하고는 그 비현실성을 인정할 수 밖에 없었습니다. 무엇보다 네 살박이 아들과 젖먹이 딸아이를 키우는 워킹맘이 1년간 주 35시간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할 리 없었습니다.

 

물론 이것은 어디까지나 머리의 판단이었습니다. 아무리 달래고 또 달래도 몸은 막무가네였습니다. 어찌된 영문인지 일도 육아도 도무지 손에 잡히지가 않았습니다. 아무것도 할 수가 없게 되자 자포자기하는 심정으로 연구원 제도라고 불리는 그 개인대학원의 응시원서를 쓰기에 이르렀습니다. 그리고 알았습니다. 이것을 바로 운명이라고 한다는 것을. 아무 것도 할 수 없다던 저는 앉은 그 자리에서 까페문을 닫는 그 시간까지 미동도 없이 원서를 써내려갔습니다. 마치 오래 전부터 그 일을 위해 살아왔던 것처럼. 그리고 그 선택은 제 인생의 방향을 완전히 바꾸어 놓았습니다.

 

어쩔 수 없이 원서를 썼던 것치고는 운 좋게 합격했지만 문제는 그때부터였습니다. 일단 어떻게 과정을 이수하는데 필요한 시간을 확보할 것인가가 가장 시급했습니다. 이전의 저로서는 상상도 할 수 없는 간 큰 결단을 내리게 됩니다. 육아휴직하고 직장대신 도서관으로 출근하기 시작한 것입니다. 물론 가족들에게는 비밀이었습니다. 그렇게 뜻하지 않은영웅의 여정도 함께 시작되었습니다. 그런데 말이죠. 이 엄청난 모험은 점점 더 예상치 못한 방향으로 흘러갑니다.

 

시키는 대로 열심히만 하면 스승처럼 성공한 작가가 되는 줄만 알았는데 어이없게도 1년간의 과정이 다 끝날 무렵 저는 작가가 아니라 엄마로서의 소명을 발견하게 되었습니다. 물론 희미하게나마 누군가의 성장을 돕는 사람으로 살고 싶다는 열망이 있다는 것 정도는 알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아직은 누구를 어떻게 돕고 싶다는 건지가 분명하지가 않았습니다. 작정을 하고 휴직까지 하고 덤벼든 자기탐구였지만 좀처럼 그 이상 진도가 나가지 않았습니다. 속이 타들어가 갔습니다.

 

그러던 어느 날, 어쩔 수 없어 감당하고 있던 엄마라는 역할이야말로 제가 꿈꾸던 사람의 성장을 돕는 조력자의 자리라는 것을 알아차리게 되었습니다. 다시 말해 제가 정말로 누군가의 성장을 돕는 사람으로 살고 싶다면 그 꿈을 이루기 위해 지금 여기서 내가 정말 해야할 일은 아이의 성장을 돕는 엄마로서의 역할에 전념하는 것임을 받아들이게 된 것이었습니다. 그제서야 버겁기만 하던 육아가 재미있어지기 시작했습니다.

 

전혀 예상치 못하던 이 작은 깨달음으로 삶의 결은 완전히 달라져 있었습니다. 남몰래 기대했던 것처럼 갑자기 벼락부자가 된 것도 아니고 베스트셀러 작가가 된 것도 아니었지만, 더 이상 일상은 무료하고 건조한 사막이 아니었습니다. 이것이 살아있음의 경험인가 하는 순간들이 종종 찾아왔습니다. 아이들을 흠뻑 사랑하는 시간을 통해 꿈꾸는 새 삶을 일구는데 필요한 필살기까지 연마할 수 있게 된다고 생각하니 고생마저도 달콤하게 느껴졌습니다.

 

온갖 시련을 이겨내고 보물을 찾아 고향으로 돌아온 신화속의 영웅이 된 기분이었습니다. 여정을 시작하기 전에 기대했던 새로운 직업적 성공이라는 보물은 아니었지만, 오히려 더 값진 성과가 분명했습니다. 제 안의 알 수 없는 힘이 위험하고 두렵기만한 존재가 아니라는 것을 알게 된 첫 번째 체험이기도 했습니다.


IP *.130.115.78

프로필 이미지
2019.03.05 08:51:32 *.102.1.146

아난다 선배님의 이야기가 점점 더 기대됩니다.

저도 비슷하게 끌리는듯이 꿈벗을 지원했었고, 7명의 동기들과 3분의 선생님을 만나는 행운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연구원제도는 용기가 없어서 구경만 하였는데,, 다시 시작이 될지 모르겠습니다.


이곳에서 많은 선배님들의 글을 읽으면서 하나하나 배워나갈려고 합니다. 

프로필 이미지
2019.03.07 11:01:44 *.130.115.78

배움이란 내 안의 스승을 찾아가는 과정인 듯 합니다.

굿민님의 배움을 응원합니다. ^^

프로필 이미지
2019.03.07 18:55:02 *.202.233.137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596 재능을 폭발 시키는 완벽한 연습 file [2] 승완 2009.09.08 3151
3595 할 수 있는 것에 초점을 맞추어라 나룻배 2009.09.09 2887
3594 나의 욕망 속에는 우리도 있는가? file [1] 김용규 2009.09.10 2810
3593 삶을 신화로 만드는 힘 - 숫자 5의 마력 file 부지깽이 2009.09.11 4351
3592 주말을 보내는 또 하나의 방법 [12] 신종윤 2009.09.14 2688
3591 재능과 스킬 향상을 위한 비급, <탤런트 코드> file 승완 2009.09.15 3159
3590 기억은 언제나 나의 편 [1] 문요한 2009.09.16 2920
3589 '내버려둠'으로부터 배운 것 file [12] 김용규 2009.09.17 3339
3588 그의 심장을 저울에 달아라 file [1] 부지깽이 2009.09.18 8020
3587 과거의 나에게 물어라 [4] 신종윤 2009.09.21 2894
3586 분노와 짜증을 해독하는 주문 file 승완 2009.09.22 3515
3585 스위치를 다이얼로 바꿔라 문요한 2009.09.23 3084
3584 삶이 철학을 지우게 하지 말자! file [10] 김용규 2009.09.24 3266
3583 순간을 향하여 말하노니, 멈추어라 너는 참 아름답구나 file [1] 부지깽이 2009.09.25 7874
3582 하쿠나 마타타 #2 [4] 신종윤 2009.09.28 2708
3581 소명, 그대 가슴 속의 별 file 승완 2009.09.29 3683
3580 나약함의 힘 [1] 문요한 2009.09.30 3107
3579 그대의 절망에 대하여 file [14] 김용규 2009.10.01 3326
3578 당신의 지금 사랑, 그 사랑을 죽도록 사랑하세요 file [3] 부지깽이 2009.10.02 4707
3577 좋은 아빠의 조건 신종윤 2009.10.05 29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