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 운제
  • 조회 수 849
  • 댓글 수 4
  • 추천 수 0
2019년 3월 7일 15시 51분 등록

며칠 간 계속되던 황사가 좀 물러간 것 같습니다. 밀린 빨래를 밖에 늘었습니다.  

 

고1 음악시간이었습니다. 나에겐 잊지 못할 일이 벌어졌습니다. 번호순서대로 홍하의 골짜기(red river valley)를 불러 점수를 매겼습니다. 원어로 불러야 되니 곡조에도 신경을 써야 되지만 발음에도 신경을 써야 됐습니다.  나는 긴장되었지만 성악가의 포스로 불렀습니다. 처음에는 앞이 잘 안보였지만 점점 내 노래에 빠져드는 친구들의 얼굴이 보이기 시작했습니다. 자신감을 가지고 더욱 아랫배와 목에 힘을 주어 끝까지 불렀습니다. 노래가 끝나자 우레와 같은 박수와 교실이 떠나갈듯한 함성소리가 들렸습니다. 

“서울대 음대 가라”고 말하는 친구들도 있었습니다. 한두 명이 그러면 장난으로 들릴 수 있지만 많은 사람들이 그러니까 정말 내가 노래를 잘 부른 것 같은 착각이 들었습니다. 이것이 착각이 아니길 바라면 선생님의 심사평을 숨죽이고 기다리고 있었습니다.
“이런 것을 변조라고 하는 거야.”
 

그 다음에도 무슨 말을 한 것 같은데 기억나지 않았습니다. 그 한 마디에 흥분된 교실 분위기는 찬물을 끼얹은 것 같았습니다. 나는 ‘변조’라는 말이 무슨 뜻인지 정확하게 몰랐지만 좋은 것은 아니라고 생각했습니다. ‘음을 자기 마음대로 바꾼다’는 뜻으로 들렸습니다. 선생님은 진실을 말했을 것입니다. 나는 진실을 말할 때가 가장 위험할 때라는 것을 살면서 두고두고 느꼈습니다. 자신에게는 진실이지만 상대에게는 상처가 될 수도 있는 것입니다. 그 후 나의 노래를 들어 본 친구는 없었습니다.        




세월이 흘러 아들이 청년이 되어 뮤지컬 노트르담 드 파리를 같이 보았습니다. 아들은 감동하였는지 집에서 뮤지컬을 흉내내면서 노래를 불렀습니다.  

매일 아침에 일어나 "대성당의 시대가 찾아 왔어~"라며 큰 소리로 노래를 불렀습니다. 마치 내가 그때 그랬던 것처럼 아들도 자신이 잘 하는듯한 착각에 빠진 것 같았습니다. 처음에는 그대로 듣고 있었지만 매일 계속되자 한 마디 하였습니다.
"아들아! 아빠를 닮게 만들어서 미안하다."
아들은 별 반응을 보이지 않는 것 같았는데 그 후 아들의 노래소리를 듣지 못하였습니다.  진실도 중요하지만 상대의 마음을 다치지 않게 말하는 것이 더 중요할 것 같습니다. 오늘도 우리는 진실이라는 이름하에 다른 사람의 마음을 아프게 하는 것은 없는지 생각해봅시다.

 

미세먼지가 기승을 부려도 봄은 옵니다. 겨울의 흔적을 거두고 봄의 모드로 맞추시길 바랍니다. 
           
 

 




--- 변경연에서 알립니다 ---

1. [안내] 변화경영연구소, 페이스 북입니다
변화경영연구소의 페이스북입니다. 익숙한 곳과 결별하고, 자신의 잠재력을 힘껏 발휘하며 두려움에 맞서는 사람들의 모임으로 커나가고자 합니다. 변경연을 아끼고 사랑해주시는 분들과 직접 얼굴 맞대고 인사나누지 못하는 아쉬움을 페이스북에 담아 더 가까이 소통하고자 합니다. 많이 들러주시고 ‘좋아요’도 눌러주시기 바랍니다:

2. [팟캐스트] 신화의 힘 – 조지프 캠벨, 신화는 나의 인생과 어떤 관계가 있는가?
올해 팟캐스트는 연구원 과정에서 읽는 책으로 진행한다고 합니다. 죽음과 재생의 레이스라 할 수 있는 변화경영연구소 연구원 제도는 무미건조한 일상의 사막을 벗어나 ‘살아있음을 경험하는 나’를 만날 수 있는 과정입니다. 이 살아있음의 경험이 바로 우리가 신화를 알아야 하는 이유입니다. 또한 이번 팟캐스트 첫번째 책이 조지프 캠벨의 <신화의 힘>이 될 수 밖에 없는 이유인 것 같습니다. 신화의 힘에 영향을 받은 연구원들의 이야기는 방송을 통해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letter_06.gifletter_07.gif

 

IP *.103.213.80

프로필 이미지
2019.03.08 02:31:43 *.144.57.51


프로필 이미지
2019.03.08 02:36:08 *.144.57.51
프로필 이미지
2019.03.08 08:49:28 *.36.133.85

오늘 선생님의 글 중에서 제 마음속에 딱 내리꽃히는 문장입니다. 


나는 진실을 말할 때가 가장 위험할 때라는 것을 살면서 두고두고 느꼈습니다. 자신에게는 진실이지만 상대에게는 상처가 될 수도 있는 것입니다.


곁에 두고 늘 살펴보면서 주의해야겠습니다.

*저도 중학교때 음악선생님이 저 보고 "음치"라고 하였습니다. 그런데 저 악보는 잘 볼줄 몰라도 음감은 좋았는데,,  왜 그런 말을 했는지 몰랐습니다. 지금도 이해가 안됩니다. ㅎㅎ

프로필 이미지
2019.03.11 10:31:00 *.38.29.102
진실을 말하며 살 때는 주변에 사람들이 없더니
진실을 말하지 않았더니 주변에 사람이 넘치네요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336 화요편지 - 오늘도 덕질로 대동단결! 종종 2022.06.07 615
4335 뭐든지는 아니어도 하고 싶은 것 정도는 할 수 있다는 마음 [2] 어니언 2023.11.23 622
4334 [수요편지] 똑똑함과 현명함 [1] 불씨 2023.11.15 627
4333 [수요편지] 장미꽃의 의미 [1] 불씨 2023.12.05 630
4332 등 뒤로 문이 닫히면 새로운 문이 열린다 [3] 어니언 2023.12.28 644
4331 작아도 좋은 것이 있다면 [2] 어니언 2023.11.30 647
4330 화요편지 - 생존을 넘어 진화하는, 냉면의 힘 종종 2022.07.12 652
4329 충실한 일상이 좋은 생각을 부른다 어니언 2023.11.02 668
4328 [내 삶의 단어장] 오늘도 내일도 제삿날 [2] 에움길~ 2023.06.12 671
4327 역할 실험 [1] 어니언 2022.08.04 677
4326 [수요편지] 미시적 우연과 거시적 필연 [1] 불씨 2023.11.07 679
4325 [늦은 월요 편지][내 삶의 단어장] 2호선, 그 가득하고도 텅빈 에움길~ 2023.09.19 680
4324 [내 삶의 단어장] 엄마! 뜨거운 여름날의 수제비 에움길~ 2023.11.13 682
4323 용기의 근원인 당신에게 [1] 어니언 2023.12.14 684
4322 [수요편지] 허상과의 투쟁 [1] 불씨 2022.12.14 686
4321 [수요편지] 모른다는 사실을 모르고 있는 것 [1] 불씨 2023.12.27 686
4320 케미가 맞는다는 것 [1] 어니언 2022.09.15 688
4319 [월요편지-책과 함께] 존엄성 에움길~ 2023.09.25 689
4318 [수요편지] 커뮤니케이션이 잘 되는 조직문화 불씨 2023.10.11 691
4317 [월요편지-책과 함께] 인간에 대한 환멸 [1] 에움길~ 2023.10.30 6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