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 제산
  • 조회 수 793
  • 댓글 수 2
  • 추천 수 0
2019년 4월 8일 22시 59분 등록

중학생 큰아이는 요즘 한국문학을 읽습니다. 아이가 읽는 걸 보고 아주 오랜만에 저도 다시 한국문학을 집어 들었습니다. 이번 주에는 염상섭 작품 속 등장인물에 대해 소개하겠습니다. 

 

 염상섭은 한국 리얼리즘 문학의 뿌리라 평가받습니다. 횡보(橫步, 모로 걷다)라는 호가 보여주듯이 그의 작품 속에는 자유를 향한 이상과 식민지 현실 사이에서 갈팡질팡 방황하는 주인공들이 등장합니다.


<표본실의 청개구리(1921)>의 주인공은 표본실에서 해부되어 사지를 판에 찔린 채 칠성판 위에 전시된 청개구리처럼 무기력합니다. 식민지 암울한 시대적 상황에 절망한 주인공은 평양과 남포로 탈출을 시도합니다. 그곳에서 지적인 광인 김창억을 만납니다. 그는 톨스토이즘과 윌슨주의를 내세워 세계 평화를 논합니다. 물질주의와 인간의 타락을 개탄합니다. <표본실의 청개구리>는 염상섭의 첫 작품입니다. 작품 속 주인공과 광인은 이십 대 초반의 염상섭의 모습, 식민지 불안하고 우울한 조선의 지식인을 대변합니다.    


<만세전(1922)>의 주인공인 동경 유학생 이인화는 고향에 아내가 위독하여 급히 귀국길에 오릅니다. 조선인 상권이 일본인들에게 넘어가 쫓겨나 살고 있는 조선인들을 만나고, 조선 혈통을 수치스럽게 여기는 이들을 보고 절망합니다. 식민지 조선이 근대화되었다며 기뻐하는 이들을 보고 탄식합니다. 보통학교 교사인 형의 타락상과 정치적인 야망을 위해 총독부에서 기생충적인 친일파가 되어 있는 아버지를 목격하고 크게 실망합니다. 모국을 상징하는 아내의 죽음으로 주인공 이인화는 자신이 식민지의 아들이라는 현실에 눈을 뜹니다.


<두 파산(1949)>은 식민지 시대와 해방을 거치며 친구였던 두 여성이 파멸로 치닫는 과정을 사실적으로 보여줍니다. 일제 강점기 기득권층으로 재산을 모은 한 여성은 해방 후 고리대금업자가 되어 정직하게 살고자 노력하는 다른 여성을 재정적으로 파산시킵니다. 한 여성의 도덕적 파산과 다른 여성의 재정적 파산, 두 여성의 파산을 신랄하게 보여줍니다. 
    

“염상섭을 읽으라”고 하셨던 중학교 1학년 담임선생님과의 약속을 이제야 지켰습니다. 지금의 나라는 어떤 상황에 놓여있으며, 나는 어디쯤 서 있는 걸까요? 한 번 생각해 봐야겠습니다. 


IP *.202.114.135

프로필 이미지
2019.04.09 08:36:57 *.102.129.147

오늘도 자녀와 함께한 독서 이야기 공유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프로필 이미지
2019.04.11 07:32:33 *.38.21.218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116 핀테크는 왜 '개인금융의 미래'라 불리는가?(2편)-레이니스트 [2] 차칸양 2017.10.10 796
4115 [금욜편지 26- 1인회사 연구소 (하편)] 수희향 2018.03.02 796
4114 [일상에 스민 문학] 통증의 미학 [6] 정재엽 2018.04.18 796
4113 [자유학년제 인문독서] 26. 책과 멀어진 아이가 다시 책과 친해지는 법 제산 2019.06.03 796
4112 가족처방전 - 명절에 시댁에 가지 않습니다, 열네 번째 이야기 제산 2019.09.30 796
4111 [월요편지 108] 혼자 있을 때 과연 나쁜 사람이 있을까? [1] 습관의 완성 2022.05.15 796
4110 목요편지 -5월을 보내며 운제 2018.05.31 797
4109 [금욜편지 128- 마지막 편지] [2] 수희향 2020.03.20 797
4108 [월요편지 94] 나를 믿지 못하는 마음 [1] 습관의 완성 2022.02.07 797
4107 새로운 시도 하나 [4] 어니언 2022.03.17 797
4106 가족처방전 - 명절에 시댁에 가지 않습니다, 열일곱 번째 이야기 제산 2019.10.21 798
4105 화요편지 - 함께라면 어디라도, '다음 달에는' [1] 종종 2022.05.10 798
4104 [라이프충전소] 나만의 오리지널리티를 구축하는 법 2. 많이 모방할 것 [1] 김글리 2022.05.27 798
4103 백열여섯번째 편지 - 1인 기업가 재키의 나비 3기 재키제동 2017.09.08 799
4102 달력에 담긴 꿈, 그녀를 응원합니다! [4] 차칸양 2018.11.20 799
4101 [자유학년제 인문독서] 14. 엄마는 중학교 때 무슨 책 읽었어? [1] 제산 2019.02.18 799
4100 [수요편지] 개와 같이 [1] 장재용 2019.05.08 799
4099 [자유학년제 인문독서]27. 자유학년제, 인문독서를 해야 하는 이유 제산 2019.06.09 800
4098 목요편지 - 2019년 후반전을 위하여 운제 2019.06.27 800
4097 [화요편지]영혼의 응급실에서 아난다 2020.02.25 8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