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손지혜
- 조회 수 2988
- 댓글 수 5
- 추천 수 0
얼마 전에 모 포털사에서 제공하는 ‘XXX 톡’에서 유부녀 여배우 N양의 사진을 보았다.
깜짝 놀랐다. 1년 전 결혼할 때 TV를 사지 않아서 그 동안 보지 못했던 그녀의 얼굴은 이상하게 확 변해 버린 충격인 모습이었다.
그녀의 새로운 변한 얼굴은 이러했다.
눈은 앞 트임을 했는지 눈의 앞 꼬리에는 어색한 상처가 있었고 눈이 너무 커져 버려서인지 오히려 전체 얼굴과 조화를 이루지 못한 크기만 한 눈이 되어 있었다.
코의 실루엣은 부자연스럽고, 억지로 높인 탓에 코 주변의 살들이 땡겨 올라가 흉한 모습이었다. 대표적인 성형 실패자 마이클잭슨의 코를 보는 듯 했다.
피부는 보톡스를 맞았는지 울퉁불퉁 했고, 입술은 보톡스로 맘껏 뒤집어져 말하기에도 불편해 보였다.
거기에 숨이 막힐 듯 발라 놓은 메이크업은 보는 사람의 가슴마저 답답하게 했다. 시쳇말로 긁어내면 몇 컵은 나올 듯 한 모습이었다.
무엇이 그녀를 자꾸 성형을 하도록 충동질 하는 것일까?
배우라는 직업 특성상 그녀는 주변의 젊고 예쁜 여자연예인들을 많이 보아왔을 것이다. 그로 인해 본인의 외모와 자주 비교를 하게 되고 그녀는 그녀들만큼, 아니 그보다 더욱 예뻐지기 위해 수술대에 계속 올라갔으리라고 쉬이 짐작이 가능하다.이는 그녀뿐 아니라 대부분의 여배우들이 겪는 문제이기도 할 것이다.
솔직히 그녀는 데뷔 초부터 예쁜 여배우 군에 속하는 쪽이 아니었다. 그러나 그녀는 자그마한 역할들이지만 맛깔스럽게 잘 연기를 해 냈고 그런 모습들에 나부터도 좋은 호감을 가지고 있었다. 그대로만 해나간다면 배우로서 장수할 수 있는 포지션이었다.
하지만 그녀는 배우 생활을 계속 해내가면서 되려 스스로의 페이스를 잃고 그녀만의 길을 놓쳐 버린 듯 하다.
그녀는 그녀가 왜 배우를 하고 있는지에 대해서 근본으로 돌아가 고민을 하고 그녀의 인생을 가꾸어 나갔어야 한다. 조셉캠벨의 이야기처럼 육체의 질보다 의식의 질을 더 가꾸었어야 한다는 말이다. ”사람들은 자신을 덧없는 육체와 동일시하는 경향이 있지만, 자기 육체를 단순한 의식의 수레로 여기고, 의식을 우리 모두를 통해 현현하는 존재로 여길 수도 있다.(신화와 함께하는 삶)”
사실 매력적인 얼굴이 주는 호감은 인간의 본능인지 무시할 수 없는 부분이기도 하다.
하지만 요즘은 그러한 경향들이 도를 넘어서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 ‘몸매와 얼굴이 예뻐야 진짜 착한 거다.’ ‘착한 얼굴, 착한 몸매’ 라는 말이 흔히 쓰이고 있다. 과연 ‘외모지상주의’라는 말이 나올법한 모습들이다.
그러나 그 매력적인 얼굴에서 평가를 끝내는 것, 그 모습 자체에서 옳고 그름을 평가해 버리는 것. 더 나아가 그 사람 자체를 순수하게 바라보려는 단초마저 잘라 버리는 그러한 의식수준은 문제이지 않을까?
무조건 성형을 하는 것에 반대하는 입장은 아니다. 본인이 심각하게 느끼는 콤플렉스가 있고 그로 인해 위축을 느낀다면 마음을 고치듯 그 부분을 고쳐 본인이 만족하게 된다면 그것은 더욱 자신감에 넘치는 삶을 살 수 있는 기회이기에 충분히 가능한 부분이라고 본다.
다만 어디서나 문제인 넘침의 문제이다. 그 수준을 넘어 오로지 온갖 관심은 얼굴로 가 있는 것, 또 사회의 분위기가 그것을 더더욱 부추기기에 문제인 것이다.
어쨌든 자신 스스로도 피폐해지는 것을 느낀다면 멈추고 다시 생각해 볼 일이다. 그때는 이미 마음이 병이 들어 있는 상태일 테니까.. 또 오로지 사람들이 외모로 판단된다면 본인 스스로를 먼저 돌아볼 일이다.
결국 지속적으로 스스로를 돌아보고, 타인을 보기 전에 ‘너 자신을 알라’는 마음 가짐을 가지고 내적 가치를 소중하게 생각한다면 어느 정도 극복할 수 있는 부분들이 아닐까?
IP *.34.17.31
깜짝 놀랐다. 1년 전 결혼할 때 TV를 사지 않아서 그 동안 보지 못했던 그녀의 얼굴은 이상하게 확 변해 버린 충격인 모습이었다.
그녀의 새로운 변한 얼굴은 이러했다.
눈은 앞 트임을 했는지 눈의 앞 꼬리에는 어색한 상처가 있었고 눈이 너무 커져 버려서인지 오히려 전체 얼굴과 조화를 이루지 못한 크기만 한 눈이 되어 있었다.
코의 실루엣은 부자연스럽고, 억지로 높인 탓에 코 주변의 살들이 땡겨 올라가 흉한 모습이었다. 대표적인 성형 실패자 마이클잭슨의 코를 보는 듯 했다.
피부는 보톡스를 맞았는지 울퉁불퉁 했고, 입술은 보톡스로 맘껏 뒤집어져 말하기에도 불편해 보였다.
거기에 숨이 막힐 듯 발라 놓은 메이크업은 보는 사람의 가슴마저 답답하게 했다. 시쳇말로 긁어내면 몇 컵은 나올 듯 한 모습이었다.
무엇이 그녀를 자꾸 성형을 하도록 충동질 하는 것일까?
배우라는 직업 특성상 그녀는 주변의 젊고 예쁜 여자연예인들을 많이 보아왔을 것이다. 그로 인해 본인의 외모와 자주 비교를 하게 되고 그녀는 그녀들만큼, 아니 그보다 더욱 예뻐지기 위해 수술대에 계속 올라갔으리라고 쉬이 짐작이 가능하다.이는 그녀뿐 아니라 대부분의 여배우들이 겪는 문제이기도 할 것이다.
솔직히 그녀는 데뷔 초부터 예쁜 여배우 군에 속하는 쪽이 아니었다. 그러나 그녀는 자그마한 역할들이지만 맛깔스럽게 잘 연기를 해 냈고 그런 모습들에 나부터도 좋은 호감을 가지고 있었다. 그대로만 해나간다면 배우로서 장수할 수 있는 포지션이었다.
하지만 그녀는 배우 생활을 계속 해내가면서 되려 스스로의 페이스를 잃고 그녀만의 길을 놓쳐 버린 듯 하다.
그녀는 그녀가 왜 배우를 하고 있는지에 대해서 근본으로 돌아가 고민을 하고 그녀의 인생을 가꾸어 나갔어야 한다. 조셉캠벨의 이야기처럼 육체의 질보다 의식의 질을 더 가꾸었어야 한다는 말이다. ”사람들은 자신을 덧없는 육체와 동일시하는 경향이 있지만, 자기 육체를 단순한 의식의 수레로 여기고, 의식을 우리 모두를 통해 현현하는 존재로 여길 수도 있다.(신화와 함께하는 삶)”
사실 매력적인 얼굴이 주는 호감은 인간의 본능인지 무시할 수 없는 부분이기도 하다.
하지만 요즘은 그러한 경향들이 도를 넘어서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 ‘몸매와 얼굴이 예뻐야 진짜 착한 거다.’ ‘착한 얼굴, 착한 몸매’ 라는 말이 흔히 쓰이고 있다. 과연 ‘외모지상주의’라는 말이 나올법한 모습들이다.
그러나 그 매력적인 얼굴에서 평가를 끝내는 것, 그 모습 자체에서 옳고 그름을 평가해 버리는 것. 더 나아가 그 사람 자체를 순수하게 바라보려는 단초마저 잘라 버리는 그러한 의식수준은 문제이지 않을까?
무조건 성형을 하는 것에 반대하는 입장은 아니다. 본인이 심각하게 느끼는 콤플렉스가 있고 그로 인해 위축을 느낀다면 마음을 고치듯 그 부분을 고쳐 본인이 만족하게 된다면 그것은 더욱 자신감에 넘치는 삶을 살 수 있는 기회이기에 충분히 가능한 부분이라고 본다.
다만 어디서나 문제인 넘침의 문제이다. 그 수준을 넘어 오로지 온갖 관심은 얼굴로 가 있는 것, 또 사회의 분위기가 그것을 더더욱 부추기기에 문제인 것이다.
어쨌든 자신 스스로도 피폐해지는 것을 느낀다면 멈추고 다시 생각해 볼 일이다. 그때는 이미 마음이 병이 들어 있는 상태일 테니까.. 또 오로지 사람들이 외모로 판단된다면 본인 스스로를 먼저 돌아볼 일이다.
결국 지속적으로 스스로를 돌아보고, 타인을 보기 전에 ‘너 자신을 알라’는 마음 가짐을 가지고 내적 가치를 소중하게 생각한다면 어느 정도 극복할 수 있는 부분들이 아닐까?
댓글
5 건
댓글 닫기
댓글 보기
VR Left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632 | [03] 신앙 고백 [7] | 정산 | 2008.04.21 | 3154 |
631 | [홍스컬럼 6] 나이지리아 [7] | 홍스 | 2008.04.21 | 2878 |
630 | [03] 다시 캠벨로 돌아가자 [7] | 거암 | 2008.04.21 | 2813 |
629 | (03) 불꽃같은 삶, 불꽃같은 인생 [2] | 이은미 | 2008.04.21 | 3288 |
628 | (03)존재하는 모든 것은 사라진다 [7] | 이한숙 | 2008.04.21 | 2806 |
» | [03] 전 소중하니까요~ [5] | 손지혜 | 2008.04.21 | 2988 |
626 | [03]도전적 실험 - ”네가 바로 그것이다”체험해 보기 그리고 말로 표현해 보기 [5] | 오현정 | 2008.04.21 | 3474 |
625 | [03]아름다운 눈물 [9] | 양재우 | 2008.04.21 | 3728 |
624 | 우주정거장과 신화 [6] | 유인창 | 2008.04.20 | 2965 |
623 | [03] 인연의 끈을 잡고 [9] | 최지환 | 2008.04.20 | 3177 |
622 | [50] 남덕(南德) [5] | 교정 한정화 | 2008.04.17 | 2902 |
621 | [02]「매트릭스」에서 신화 찾기 [5] | 정산 최현 | 2008.04.14 | 3499 |
620 | (06) 강을 지나 바다에 닿은 그들 [8] | 지희 | 2008.04.14 | 2938 |
619 | [02]황금손 미다스왕의 실수 [10] | 양재우 | 2008.04.14 | 3760 |
618 | 아버지 [17] | 홍스 | 2008.04.14 | 3089 |
617 | (02) 기독교에만 구원이 있는가 2 [15] | 이한숙 | 2008.04.14 | 3211 |
616 | [02]파괴, 그 새로운 창조의 시작 [6] | 오현정 | 2008.04.14 | 2928 |
615 | <컬럼5>매트릭스, 기독교 그리고 믿음 [7] | 거암 | 2008.04.13 | 4320 |
614 | [02] 스스로 구르는 바퀴 [6] | 손지혜 | 2008.04.13 | 2827 |
613 | [02] 나에게 빨간날은... [12] | 최지환 | 2008.04.13 | 2848 |